KR200356494Y1 -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 Google Patents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94Y1
KR200356494Y1 KR20-2004-0009409U KR20040009409U KR200356494Y1 KR 200356494 Y1 KR200356494 Y1 KR 200356494Y1 KR 20040009409 U KR20040009409 U KR 20040009409U KR 200356494 Y1 KR200356494 Y1 KR 200356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olumn
plate
rotating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리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to KR20-2004-0009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에 관한 것으로, 등주 내부에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안정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는, 점검구가 구비되며, 등주 내부에 안정기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등주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키되, 회동각도가 수평 각도 이상으로 제한되도록 상부에는 라운드부분, 하부에는 멈춤턱을 구비하여서 된 회동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회동판이 구비된 안정기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이상의 안정기를 등주 내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되어 가로등 안정기의 설치작업능률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Light Post with Ballast Supporter}
본 고안은 가로등이나 보안등 등에 사용되는 안정기를 등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이나 수은등과 같은 방전등은 아크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전등은 아크방전을 일으킬 때 램프의 전압을 그대로 인가하게 되면 부하특성에 의해 전류가 계속 증가하므로 전류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안정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안정기는 등주 외주의 상측이나 등주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등주 외부에 설치된 안정기의 대표적인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100) 외부의 상부에 안정기를 보관하는 케이스(101)를 설치하여 이 케이스(101) 내부에 안정기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관케이스(10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어 케이스(101)를 교체해 주어야 하며, 케이스(101) 내로 빗물이 스며들어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정기가 등주(100) 상부에 설치되므로 안정기를 점검하는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주(10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102) 상부에 설치된 핀이나 볼트(103)에 안정기(104) 상부에 형성된 걸이구(105)를 걸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안정기(104)를 등주 내주 벽면에 설치하므로 높게 설치하여야 할 필요는 없으나, 설치를 위하여 한손으로 안정기(104)를 들고 등주(100)의 점검구(102)를 통해 내부로 넣은 다음 안보이는 상태에서 상방의 볼트(103)에 걸이구(105)를 걸어야 하는데, 안정기(104)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등주(100)의 내부가 협소하고 어두워 손의 감각으로 안정기(104)에 형성된 걸이구(105)를 핀이나 볼트(103)에 걸기가 용이하지 않아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안정기(104)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복수개의 안정기(104)를 등주(100) 상부로 더 높이 설치되어 있는 핀이나 볼트(103)에 각각 걸어야 하므로 작업의 난이도가 더욱 가중되고 작업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려운 작업에 지친 작업자가 심한 경우 안정기의 정상적인 설치를 포기하고 등주 내부 바닥에 안정기를 설치하고 점검구(102)를 폐쇄하는 경우까지 발생하여 우천시에 부식 등이 발생되게 되며,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등주 내부에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이상의안정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주 외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등주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의 개략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회동판이 복수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안정기 설치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등주 2: 점검구
3: 개폐판넬 4: 안정기
5: 볼트 10: 안정기 거치대
11: 고정판 12: 절곡면
13: 결합공 13a: 돌기부
14: 결합수단 14a: 힌지핀
15: 내측면 16: 체결공
17: 회동판 18: 절곡면
19: 결합공 19a: 요입부
20: 라운드부분 21: 내측면
22: 멈춤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점검구가 구비되며, 등주 내부에 안정기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등주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키되, 회동각도가 수평 각도 이상으로 제한되도록 상부에는 라운드부분, 하부에는 멈춤턱을 구비하여서 된 회동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고정판(11)이 "ㄷ"자 단면으로 절곡되어 절곡면을 구비하고, 이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이 "ㄷ"자 단면으로 절곡되어 절곡면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힌지핀으로 되어, 힌지핀이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판과 회동판을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결합공이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형성되어 힌지핀의 관통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판에 고정되는 회동판과 결합수단이 복수개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의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의 개략도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등주(1)는 점검구(2)가 구비되고, 점검구(2)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안정기 거치대(10)가 설치되며, 안정기 거치대(10)에는 안정기(4)가 거치된다.
상기 점검구(2)는 등주(1) 일측에 설치되어 등주(1) 내부에 설치된 기기들을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판넬(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넬(3)은 등주(1)에 나사로 체결되어 있다. 이 개폐판넬(3)은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수단(미도시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기(4)는 상기 안정기 거치대(10)에 의해 거치되며, 아크방전을 일으킬 때 부하특성에 의해 전류가 계속 증가되어 램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정기 거치대(10)는 'ㄷ'자로 절곡된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정판(11)과 회동판(17)이 서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고정판(11)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12)에 복수개의 결합공(13)이 서로 대응되게 상하로 형성되고, 선택된 결합공(13)에는 힌지핀(14a)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1)의 내측면(15)에는 등주(1)에 설치된 핀이나 볼트(5)에 결합되는 체결공(16)을 형성하거나 등주(1) 내벽에 고정판(11)의 내측면(15)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회동판(17)은 절곡면(18) 단부에 결합공(19)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1)의 결합공(13)에 결합수단(14)에 의해 결합되는데 도 4에서는힌지핀(14a)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고정판(11)과 상기 회동판(17)이 힌지결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의 결합공(13) 대신에 돌기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17)에 형성된 결합공(19) 대신에 요입부(19a)가 형성되어, 이 돌기부(13a)와 요입부(19a)가 서로 힌지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절곡면(18) 단부의 상부는 라운드부분(20)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17)이 상부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분(20) 하부의 절곡면 모서리 즉 멈춤턱(22)이 상기 회동판(17)의 내측면(21) 단부가 고정판(11)의 내측면(15)에 닿게 되어 상기 고정판(11)과 상기 회동판(17)이 90ㅀ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회동판(17)이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정기(4) 설치시에는, 상기 회동판(17)이 점검구(2) 상부로 설치되는 안정기(4)에 의해 상방으로 눌리면서 회동하며 안정기(4)를 상기 회동판(17)보다 높게 들어올리면, 상기 회동판(17)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고정판(11)과 상기 회동판(17)이 90ㅀ를 이루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 정지된다. 이때, 작업자는 안정기(4)를 회동판(17)위에 놓음으로써 안정기(4)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회동판(17)이 복수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등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안정기(4)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되는 안정기(4)가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복수개의 회동판(17)과 고정판(11)을 결합공(1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힌지핀(14a)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도 7은 이러한 본 고안의 실제 안정기 설치단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7a는 안정기 설치시 회동판(17)이 안정기(4)에 의해 상부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안정기(4) 설치시 회동판(17)이 하부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안정기(4)가 회동판(17)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먼저, 작업자가 개폐판넬(3)을 열고 안정기(4)를 잡은 팔을 점검구(2)에 넣고 안정기를 들어올려 안정기(4)의 이면이 등주에 설치된 안정기 거치대(10)의 고정판(11)에 닿도록 하면서 안정기(4)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이렇게 되면 고정판(11)과 90ㅀ를 이루던 회동판(17)이 안정기(4)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다(도 6a). 이어서, 안정기(4)를 회동판(17)보다 더 높게 밀어 올리게 되면, 안정기(4)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었던 회동판(17)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다시 고정판(11)과 90ㅀ를 이루는 상태로 복귀된다(도 6b). 이러한 상태는 회동판(17)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멈춤턱(22)이 고정판(11)의 내측면(15)에 부딪히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작업자가 이러한 상태를 쉽게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충격음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안정기(4)를 자중에 의해 회동된 회동판(17)의 상부에 거치함으로써 안정기(4)의 거치가 완료된다(도 6c). 또한, 등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안정기(4)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최상측의 회동판(17)으로부터 차례로 안정기(4)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거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안정기(4)를 안정기 거치대(10)의 고정판(11)에 대면서 밀어 올리고 자중에 의해 회동된 회동판(17)에 거치시킴으로써 안정기(4)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동판이 구비된 안정기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이상의 안정기를 등주 내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되어 가로등 안정기의 설치작업능률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점검구(2)가 구비되며, 등주(1)내부에 안정기(4)가 구비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등주(2)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고정판(11)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수단(14)으로 결합시키되, 회동각도가 수평 각도 이상으로 제한되도록 상부에는 라운드부분(20), 하부에는 멈춤턱(22)을 구비하여서 된 회동판(1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고정판(11)이 "ㄷ"자 단면으로 절곡되어 절곡면(12)을 구비하고, 이에 복수개의 결합공(13)이 형성되며,
    전기 회동판(17)이 "ㄷ"자 단면으로 절곡되어 절곡면(18)에 결합공(19)을 형성하며,
    전기 결합수단(14)은 힌지핀(14a)으로 되어, 힌지핀(14a)이 결합공(13,19)을 관통하여 고정판(11)과 회동판(17)을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고정판(11)에 형성된 결합공(13)이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형성되어 힌지핀(14a)의 관통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11)에 고정되는 회동판(17)과 결합수단(14)이 복수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KR20-2004-0009409U 2004-04-06 2004-04-06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KR200356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409U KR200356494Y1 (ko) 2004-04-06 2004-04-06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409U KR200356494Y1 (ko) 2004-04-06 2004-04-06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494Y1 true KR200356494Y1 (ko) 2004-07-15

Family

ID=4934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409U KR200356494Y1 (ko) 2004-04-06 2004-04-06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15B1 (ko) * 2008-01-24 2008-05-07 주식회사 엠.에이 전기조명 가로등용 안정기 고정유닛
KR101038196B1 (ko) * 2010-07-23 2011-05-31 주식회사현진라이팅 안정기 걸이대와 일체화된 가로등 지주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15B1 (ko) * 2008-01-24 2008-05-07 주식회사 엠.에이 전기조명 가로등용 안정기 고정유닛
KR101038196B1 (ko) * 2010-07-23 2011-05-31 주식회사현진라이팅 안정기 걸이대와 일체화된 가로등 지주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757B1 (ko) 낙하 및 탈락 방지를 위한 터널 등기구용 잠금장치
RU2412316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ержателя доски для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загрузки и подъема материалов
US7080923B2 (en) Surface mount fluorescent strip light fixture retrofit kit and method
KR200356494Y1 (ko) 안정기 거치대를 구비한 등주
KR101166213B1 (ko)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보안등 지지장치
KR101065124B1 (ko) 가로등 철주의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KR100866078B1 (ko) 형광램프를 이용한 고효율 터널등
KR100827815B1 (ko) 가로등용 안정기 고정유닛
KR101120561B1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JPH0845330A (ja) 照明器具
KR100934102B1 (ko) 전기박스가 구비된 가로등주
JP2000322903A (ja) 照明器具及び道路灯
KR200214814Y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장착장치
JP4151349B2 (ja) 照明器具
KR101968698B1 (ko) 엘이디 가로등용 조명장치
KR20200057313A (ko) 터널 조명용 등기구
JP4563924B2 (ja) 照明器具
KR20090130539A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200363281Y1 (ko) 광고판의 결합구조
JP5842150B2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50000708U (ko) 터널용 무전극 램프
KR100704073B1 (ko) 굴절식 가로등
KR100819148B1 (ko) 침수방지용 가로등 누전차단기
RU2242670C2 (ru) Светильник и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крепления
KR200442758Y1 (ko) 터널용 무전극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