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261Y1 - 탈착용 슬리퍼 - Google Patents

탈착용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261Y1
KR200355261Y1 KR20-2004-0011346U KR20040011346U KR200355261Y1 KR 200355261 Y1 KR200355261 Y1 KR 200355261Y1 KR 20040011346 U KR20040011346 U KR 20040011346U KR 200355261 Y1 KR200355261 Y1 KR 200355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per
band
locking plate
protrusion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협
Original Assignee
(주)은혜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혜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은혜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4-001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단에 하측으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부를 갖고 삽입돌부의 저면에는 내측과 전후측으로 돌출된 걸림판을 갖으며 걸림판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갖는 밴드와,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전방측 좌우측단부에 밴드의 삽입돌부와 걸림판이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다수개의 형성된 삽입장공을 갖으며 저면 측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슬리퍼몸체와, 상면 선단부에 슬리퍼몸체의 결합돌기와 밴드의 체결돌기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끼움공을 갖고 저면 측단부위에 하부로 미세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밑창을 구비하는 탈착용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이런 본 고안은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슬리퍼의 착지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밴드가 슬리퍼몸체에 탈착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교환이 가능하고 밑창의 훼손시 손쉽게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물 빠짐이 원활하여 쉽게 말라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착용 슬리퍼{slipper having a separative outsole}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슬리퍼의 착지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밴드가 슬리퍼몸체에 탈착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교환이 가능하고 밑창의 훼손시 손쉽게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물 빠짐이 원활하여 쉽게 말라 사용이 간편한 탈착용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slipper)는 끈이 달려 있다거나 발에 걸치기 위한 어떤 장식도 없는, 단지 발을 미끄러뜨려 쉽게 신고 벗게 만든 신으로, 또 실내화(室內靴)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덮는 부분(운두)이 과골(骨:복사뼈)보다 위에 올라오지 않으며, 굽은 거의 없는 것부터 제법 높은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슬리퍼의 원형은 팬터플(pantofle)로서 14세기경 만들어진 것은 소재(素材)를 가공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써서 만들어 가죽 밑창을 댄 것이었는데, 중세 말에는 코르크 밑창을 대는 것으로 변했다. 그 무렵에는 또한 베네치아에서 만든 발등에만 가죽이 있고 발목 뒷부분이 없는 뮬(mule)이라는 신이 유행했다. 뮬은 빨간색 물고기의 이름인데, 이 실내화가 빨간색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뮬은 무도화(舞蹈靴) 같은 고급 신을 신고 외출할 때 오버슈즈로 사용되었고, 고급 구두의 부속품으로 판매되었다. 영국에서도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이것을 슬리퍼라 부르며 사용했다.
17세기 말 구두에 뒷굽(힐)을 달게 되면서 뮬도 굽이 있는 구두가 들어갈 수 있게 뒷굽이 개조(改造)되었고, 18세기에는 뮬이 독립하여 뒷굽이 있는 실내화가 되었다가, 다시 뒷굽이 없는 실내화로 되었다. 현재 실내화(외출시에 신기도 한다)로 만드는 슬리퍼형(型)은 다음과 같은 바, 첫째, 도르세이(d'Orsay)는 옆 운두를 잘라낸 형으로 높이는 여러 가지다. 둘째, 에베레트(Everett)는 발등 부분이 높고, 운두는 똑바로 잘려져 있다. 셋째, 로미오(Romeo)는 발목까지 오는 남자용 단화이다. 넷째, 줄리에트(Juliette)는 로미오와 같은 형의 여자용이다. 다섯째, 하이로(Hi-Lo)는 단화형으로 전이 접혀 있다. 여섯째, 카발리에(cavalier)는 발목까지 올라오는 반장화형이다. 일곱째, 풀먼(Pullman)은 여행용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여덟째, 뮬(mule)은 뒷부분이 없는 실내화형이다. 그리고 발레 슬리퍼(ballet slipper)는 발레화(靴)로서, 새틴이나 부드러운 키드(kid:새끼염소 가죽)로 만든 발레 댄서용의 특수한 신이다. 또 로마 교황(敎皇)의 슬리퍼인 뮬 뒤 파프(mule du pape)는 흰빛의 실내화로, 그 위에 십자가를 수놓았는데, 교황이 신도로부터 십자가에 친구(親口)의 예를 받을 때 신는다.
이렇게 쉽게 벗고 신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슬리퍼는 보통 집안 실내나 화장실 또는 샤워실에 놓고 장소를 한정지어서 보통 사용하고 있는 바, 화장실이나 샤워실내에서는 바닥에 물이나 수분이 너무 많아서 미끄러지기 쉬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고, 재질이 딱딱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고 발주위에 물집이 생기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리퍼의 재질이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착용감은 좋은 반면에, 발을 잡아주는 밴드가 잘 끊어져 수명이 길지 못하였고, 이로인해 슬리퍼를 새로 구입하여야 되기 ◎문에 구입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닥면이 금방 닳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슬리퍼의 착지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밴드가 슬리퍼몸체에 탈착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교환이 가능하고 밑창의 훼손시 손쉽게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 빠짐이 원활하여 쉽게 말라 사용이 간편한 탈착용 슬리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저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퍼 10 : 슬리퍼몸체
11 : 배수공 12 : 삽입장공
13 : 결합돌기 15 : 돌출턱바
16 : 배출공 20 : 밀창
21 : 미끄럼방지돌기 22 : 끼움공
23 : 물배수로 30 : 밴드
31 : 삽입돌부 32 : 걸림판
33 : 체결돌기 40 : 발 바닥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와 밴드로 이루어진 슬리퍼에 있어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양단에 하측으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부를 갖고 삽입돌부의 저면에는 내측과 전후측으로 돌출된 걸림판을 갖으며 걸림판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갖는 밴드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전방측 좌우측단부에 밴드의 삽입돌부와 걸림판이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다수개의 형성된 삽입장공을 갖으며 저면 측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슬리퍼몸체와;
상면 선단부에 슬리퍼몸체의 결합돌기와 밴드의 체결돌기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끼움공을 갖고 저면 측단부위에 하부로 미세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밑창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슬리퍼몸체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간헐적으로 끊어져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돌출턱바와, 돌출턱바의 전방선단 또는 후방선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슬리퍼몸체의 배수공이나 배출공의 하부에 위치되는 밑창의 상면에는 요부로 형성되어 배수공이나 배출공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방출 유도하는 다수개의 물배수로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탈착용 슬리퍼(1)는, 사용자의 발 바닥면(40)과 밀착되는 슬리퍼몸체(10)와, 슬리퍼몸체(10)의 상ㅂ 전방측에 결합되는 밴드(30)와, 슬리퍼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창(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퍼몸체(10)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1)과,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간헐적으로 끊어져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돌출턱바(15)를 갖고, 돌출턱바(15)의 전방선단 또는 후방선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16)을 갖으며, 전방측 좌우측단부에는 밴드(30)의 삽입돌부(31)와 걸림판(32)이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다수개의 삽입장공(12)을 갖고, 저면 측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3)를 갖으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지지격자(도시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밑창(20)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상면 선단부에는 슬리퍼몸체(10)의 결합돌기(13)와 밴드(30)의 체결돌기(33)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끼움공(22)을 갖고, 저면 측단부위에는 하부로 미세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를 갖으며, 슬리퍼몸체(10)의 배수공(11)이나 배출공(16)의 하부에 위치되는 밑창(20)의 상면에는 요부로 형성되어 배수공(11)이나 배출공(16)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방출 유도하는 다수개의 물배수로(23)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30)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양단에는 하측으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부(31)를 갖고, 삽입돌부(31)의 저면에는 내측과 전후측으로 돌출된 걸림판(32)을 갖으며 걸림판(32)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밴드(30)의 양측단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판(32)을 슬리퍼몸체(10)의 전방측에 다수개 형성된 삽입장공(12)에 억지끼움하여 삽입시키되, 걸림판(32)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된 체결돌기(33)를 삽입장공(12) 하부에서 잡아 당겨서 걸림판(32)을 삽입장공(12)상에 걸림고정시키면 걸림판(32) 상부의 삽입돌부(31)는 삽입장공(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밴드(30) 걸림판(31) 하단면의 체결돌기(33)는 슬리퍼몸체(10)의 하단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3) 사이에 위치된다.
이렇게 다수개의 걸림판(32)을 슬리퍼몸체(10)의 삽입장공(12)에 각각 삽입시켜 고정시킨 다음에는, 슬리퍼몸체(10)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3)와 결합돌기(13) 사이에 위치한 걸림판(31)의 체결돌기(33)를 밀판(20)의 다수개 끼움공(22)에 각각 맞춰서 억지끼움시키면 된다.
이런, 본 고안의 슬리퍼(1)는 실내 및 화장실 또는 실외 등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체중은 슬리퍼몸체(10) 내부의 다수개 지지격자를 통해서 슬리퍼몸체(10)의 여러 곳에서 충격이 분산되어 소멸되고 또한 흡수되면서 지지된다.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슬리퍼몸체(1)의 상면에 발바닥면(40)이 올려져 사용하던 중, 사용자의 발바닥면(40)과 슬리퍼몸체(10)의 상면에 물이 존재하면, 물은 발바닥면(40)과 슬리퍼몸체(10)의 접촉에 의해 밀착되어 물을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턱바(15)와의 공간에 모이게 된다.
이때, 돌출턱바(15)의 전후방측과 사용자의 발바닥면(40) 사이에 생긴 공간에 모인 물은 도 6a와 같이, 돌출턱바(15)의 후방측 선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16)이나, 도 6b와 같이, 돌출턱바(15)의 전방과 후방측 선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16)을 통해 슬리퍼몸체(10)의 하부로 서서히 방출된다.
이렇게 배출공(16)을 통해 슬리퍼몸체(10)의 하부로 배출된 물은 밑창(20)의 물배수로(23)를 통해 밑창(20)의 측단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밑창(20)의 하단면에는 선단부위에는 다수개의 미세한 돌기인 미끄럼방지돌기(21)가 형성되어 슬리퍼(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중, 밑창(20)이 닳아서 교환시기가 되면, 슬리퍼몸체(10)의 결합돌기(13)와 밴드(30) 걸림판(32)의 체결돌기(33)에서 닳아진 밀창(20)을 분리시킨 다음, 결합돌기(13)와 체결돌기(33)에 별도의 새로운 밀창(20) 만을 끼워 조립시키면 된다.
사용중, 밴드(30)가 닳거나 끊어지는 교환시기가 되면, 슬리퍼몸체(10)에서 밑창(20)을 분리한 후, 다수개의 삽입장공(12)에서 밴드(30)의 걸림판(32)을 빼내어 분리시킨 후, 별도의 새로운 밴드(30)를 구입하여 걸림판(32)을 삽입장공(12)에 각각 삽입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슬리퍼의 착지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밴드가 슬리퍼몸체에 탈착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교환이 가능하고 밑창의 훼손시 손쉽게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 빠짐이 원활하여 쉽게 말라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몸체와 밴드로 이루어진 슬리퍼에 있어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양단에 하측으로 다수개 돌출된 삽입돌부(31)를 갖고 삽입돌부(31)의 저면에는 내측과 전후측으로 돌출된 걸림판(32)을 갖으며 걸림판(32)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3)를 갖는 밴드(30)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1)을 갖고 전방측 좌우측단부에 밴드(30)의 삽입돌부(31)와 걸림판(32)이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다수개의 삽입장공(12)을 갖으며 저면 측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3)를 갖는 슬리퍼몸체(10)와:
    상면 선단부에 슬리퍼몸체(10)의 결합돌기(13)와 밴드(30)의 체결돌기(33)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끼움공(22)을 갖고 저면 측단부위에 하부로 미세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를 갖는 밑창(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용 슬리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퍼몸체(10)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간헐적으로 끊어져 전후방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돌출턱바(15)와;
    돌출턱바(15)의 전방선단 또는 후방선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16)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탈착용 슬리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퍼몸체(10)의 배수공(11)이나 배출공(16)의 하부에 위치되는 밑창(20)의 상면에는 요부로 형성되어 배수공(11)이나 배출공(16)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방출 유도하는 다수개의 물배수로(23)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용 슬리퍼.
KR20-2004-0011346U 2004-04-23 2004-04-23 탈착용 슬리퍼 KR200355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46U KR200355261Y1 (ko) 2004-04-23 2004-04-23 탈착용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46U KR200355261Y1 (ko) 2004-04-23 2004-04-23 탈착용 슬리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60A Division KR100568559B1 (ko) 2004-04-23 2004-04-23 탈착용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261Y1 true KR200355261Y1 (ko) 2004-07-05

Family

ID=4934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46U KR200355261Y1 (ko) 2004-04-23 2004-04-23 탈착용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2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68B1 (ko) 2010-03-10 2012-12-12 김용원 욕실용 슬리퍼
KR101291847B1 (ko) 2011-08-23 2013-07-31 한스산업 주식회사 디딤판이 장입된 안전화 중창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68B1 (ko) 2010-03-10 2012-12-12 김용원 욕실용 슬리퍼
KR101291847B1 (ko) 2011-08-23 2013-07-31 한스산업 주식회사 디딤판이 장입된 안전화 중창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072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midsole and outsole
US8205357B2 (en)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US6931766B2 (en) Footwear with a separable foot-receiving portion and sole structure
US4377042A (en) Footwear having removable sole
US10104936B2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sole
JPS6138681B2 (ko)
JP2009254875A (ja) 分離可能なアッパーおよびソール構造を有する履物
JP2008178687A (ja) モジュール式靴構造
MX2007004606A (es) Plantilla con drenaje para calzado.
JP2007014774A (ja) 靴、特に子供用靴
ES2440667A2 (es) Mejoras estructurales para calzado informal multifuncional
KR200370167Y1 (ko)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KR20110129328A (ko) 조립 슬리퍼
KR20110002134U (ko) 일체형 아웃솔이 구비되는 발가락 신발
KR100568559B1 (ko) 탈착용 슬리퍼
KR200355261Y1 (ko) 탈착용 슬리퍼
US20190223554A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20220322783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0333493Y1 (ko) 바닥면 탈착용 슬리퍼
KR200318170Y1 (ko) 밴드탈착용 슬리퍼
KR200341117Y1 (ko) 볼링화용 밑창
CA2182140A1 (en) Spa slipper
KR20050022055A (ko) 바닥면 탈착용 슬리퍼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