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218Y1 - 주걱의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주걱의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218Y1
KR200354218Y1 KR20-2004-0009803U KR20040009803U KR200354218Y1 KR 200354218 Y1 KR200354218 Y1 KR 200354218Y1 KR 20040009803 U KR20040009803 U KR 20040009803U KR 200354218 Y1 KR200354218 Y1 KR 200354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rice
water
storage unit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이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20-2004-0009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걱에 밥알이 붙지 않게 하거나 밥솥의 밥알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주걱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걱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걱에 설치되어 주걱에 밥알이 쉽게 붙지 않도록 주걱의 표면에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관을 통해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주걱에 밥알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주걱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대로 밥을 풀 수 있으며, 밥의 이송이 용이하고, 밥알이 말라붙지 않게 하여 주걱의 세척이 용이하며, 주걱은 물론, 밥솥에 들러붙은 밥알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주걱을 이용하여 기타 밥을 담는 모든 용기의 세척이 용이하며, 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주걱의 물공급장치{Water supply apparatus of a rice scoop}
본 고안은 주걱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걱에 밥알이 붙지 않게 하거나 밥솥의 밥알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주걱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서양을 비롯하여 주식이나 간식으로 널리 이용되는 밥은 반드시 쌀에 물과 열을 가하여 익혀서 취식하기 때문에 밥을 짓는 밥솥과 밥솥에서 만들어진 밥을 휘젓거나 운반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주걱이 필수적인 도구이다.
특히, 종래의 주걱은, 밥솥에서 알맞게 익은 밥을 골고루 펴서 뜸을 들이기 위해 밥을 휘젓는 용도로 활용되거나, 밥솥의 밥을 퍼서 개인용 공기 등 다른 용기로 옮겨 담거나, 밥솥이나 다른 용기 등에 남은 밥알 등을 깨끗하게 떼어 내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주걱은 일반 가정은 물론, 대형 식당이나 급식장소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로서, 나무는 물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밥을 만드는 곳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생필품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걱은, 끈적끈적한 밥알의 특성상 주걱에 밥알이 많이 들러붙게 되어 주걱을 무겁게 함으로써 주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걱 사용을 힘들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데로 밥을 푸거나 밥의 이송이 어려워지며, 밥알이 쉽게 말라붙어서 나중에 주걱을 세척하기가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밥알은 주걱은 물론, 밥솥에도 역시 들러붙게 되어 주걱뿐만이 아니라 밥솥이나 기타 밥을 담는 모든 용기의 세척을 어렵게 하고, 이렇게 들러붙는 상당량의 밥알을 먹지도 못하고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걱에 밥알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주걱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데로 밥을 풀 수 있으며, 밥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밥알이 말라붙지 않게 하여 주걱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주걱의 물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걱은 물론, 밥솥에 들러붙은 밥알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주걱을 이용하여 기타 밥을 담는 모든 용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며, 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주걱의 물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의 물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주걱 2: 물저장부
3: 공급관 4: 펌프
5: 노즐 6: 물보충 마개
7: 일방향 밸브 8: 코팅면
9: 요철 돌기 10: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걱의 물공급장치는, 주걱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걱에 설치되어 주걱에 밥알이 쉽게 붙지 않도록 주걱의 표면에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관을 통해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는, 주걱 상면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어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물보충이 가능하도록 물보충 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물저장부와 연결되어 주걱의 목부분까지 연장 설치되며, 그 선단에 노즐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물 흐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급관 내부의 수압을 승입시키도록 내부 면적이 유동적인 연질의 탄성재질이나 플랙시블관 주름관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걱은 테프론 코팅면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요철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의 물공급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의 물공급장치는, 주걱(1)에 설치되어 주걱(1)에 밥알이 쉽게 붙지 않도록 주걱(1)의 표면에 물저장부(2)에 저장된 물을 공급관(3)을 통해 펌프(4)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크게 물저장부(2)와, 공급관(3) 및 펌프(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물저장부(2)는, 주걱(1) 상면의 손잡이(10) 부분에 설치되어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물보충이 가능하도록 물보충 마개(6)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물보충 마개(6)를 열고, 소정량의 물을 보충하여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이러한 물저장부(2)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되거나,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걱(1)을 손으로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물저장부(2)는 주걱(1)의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주걱(1)의 손잡이(10)와 함께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등 이러한 물저장부(2)의 디자인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관(3)은, 상기 물저장부(2)와 연결되어 주걱(1)의 목부분까지 연장 설치되며, 그 선단에 노즐(5)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저장부(2)로부터 나온 물이 다시 물저장부(2)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내부에 일방향 물 흐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방향 밸브(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펌프(4)는, 상기 공급관(3)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급관(3) 내부의 수압을 승압시키도록 내부 면적이 유동적인 연질의 탄성재질이나 플랙시블관 주름관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펌프(4)는 상기 공급관(3)과는 별도로 형성되거나, 상기 물저장부(2)와 공급관(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상기 물저장부(2)의 물보충 마개(6)를 열어 소정량의 물을 상기 물저장부(2)에 저장한 후, 다시 물보충 마개(6)를 닫고, 상기 펌프(4)의 누름부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펌프(4)가 상기 공급관(3)의 내부 수압을 상승시켜서 그 압력으로 상기 공급관(3)의 노즐(5)을 통해 소정량의 물이 주걱(1)의 상면 표면에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관(3)에 충만된 물은 상기 일방향 밸브(7)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2)로 다시 복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펌프(4)의 누름부에서 손가락을 떼면, 상기 펌프(4)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공급관(3)의 내부 수압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수압의 하강으로 인해 감압이 발생하여 상기 펌프(4)가 상기 물저장부(2) 내에 수용된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일방향 밸브(7)에 의하여 상기 노즐(5)로부터 공기가 상기 공급관(3)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밥알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주걱(1)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어 밥알이 주걱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걱(1)이 항상 가벼워서 주걱(1)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데로 밥을 풀 수 있고, 밥의 이송이 쉬워지며, 밥알이 항상 촉촉하여 말라붙지 않아서 나중에 주걱(1)을 세척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주걱 이외에도 이러한 본 고안의 주걱의 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기타 다른 용기 붙은 밥알을 매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주걱의 물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주걱(1)은, 테프론(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 코팅면(8)이 형성되고, 주걱(1)의 상면에 요철 돌기(9)를 형성하여 밥알의 부착을 더욱 방지하게 하는 것은 물론, 주걱(1)의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주걱이나 요철 돌기의 형상은 물론, 물저장부, 공급관, 펌프 등의 구성요소가 도면에 국한되어 있으나,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인체공학적인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주걱의 물공급장치 의하면, 주걱에 밥알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주걱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대로 밥을 풀수 있으며, 밥의 이송이 용이하고, 밥알이 말라붙지 않게 하여 주걱의 세척이 용이하며, 주걱은 물론, 밥솥에 들러붙은 밥알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주걱을 이용하여 기타 밥을 담는 모든 용기의 세척이 용이하며, 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주걱(1)에 설치되어 주걱에 밥알이 쉽게 붙지 않도록 주걱(1)의 표면에 물저장부(2)에 저장된 물을 공급관(3)을 통해 펌프(4)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의 물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2)는, 주걱(1) 상면의 손잡이(10) 부분에 설치되어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물보충이 가능하도록 물보충 마개(6)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3)은, 상기 물저장부(2)와 연결되어 주걱(1)의 목부분까지 연장 설치되며, 그 선단에 노즐(5)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물 흐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방향 밸브(7)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4)는, 상기 공급관(3)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급관(3) 내부의 수압을 승압시키도록 내부 면적이 유동적인 연질의 탄성재질이나 플랙시블관 주름관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의 물공급장치.
KR20-2004-0009803U 2004-04-09 2004-04-09 주걱의 물공급장치 KR200354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03U KR200354218Y1 (ko) 2004-04-09 2004-04-09 주걱의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03U KR200354218Y1 (ko) 2004-04-09 2004-04-09 주걱의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218Y1 true KR200354218Y1 (ko) 2004-06-23

Family

ID=4943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03U KR200354218Y1 (ko) 2004-04-09 2004-04-09 주걱의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2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63B1 (ko) 2010-03-16 2012-01-31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물 분사형 밥주걱
KR101211459B1 (ko) * 2012-06-05 2012-12-12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물 분사형 밥주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63B1 (ko) 2010-03-16 2012-01-31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물 분사형 밥주걱
KR101211459B1 (ko) * 2012-06-05 2012-12-12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물 분사형 밥주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494A (en) Bath brush-backscratcher for cleansing and stimulating one's skin
US20080178404A1 (en) Grill Brush
US9138121B2 (en) Scraper attachment for sponges
DE3872768D1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ussbodenreinigungs-, und -pflegemitteln.
US6874190B2 (en) Hand-held container
US3199739A (en) Container for toilet bowl cleaning fluid and receptacle for mop
US2770828A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fluid dispensing means
US20050260028A1 (en) Spray controlled cleaning brush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O2003055372A3 (de) Wischvorrichtung zum wischen von zu reinigenden flächen
KR200354218Y1 (ko) 주걱의 물공급장치
US1887447A (en) Cleaning device
US2920333A (en) Fountain brush
US6082915A (en) Liquid filled squeegee for side view mirror
US9572477B2 (en) Handheld dishwashing device
EP1056898B1 (en) General purpose hand-held container
US7357587B2 (en) Universal liquid dispenser
CN207533623U (zh) 一种键盘清洁装置
US1860277A (en) Brush
KR100781627B1 (ko) 펌핑식 립글로스 용기
CN203524602U (zh) 一种新型拖把杆
CN2380098Y (zh) 一种清洁毛刷
JPS6033868Y2 (ja) ブラシ付蓋を有する粘性液用容器
US20230232973A1 (en) Hairbrush with portable pump container
KR0129733Y1 (ko) 세척용구
TWM649076U (zh) 配料沾附轉印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