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172Y1 -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172Y1
KR200354172Y1 KR20-2004-0007687U KR20040007687U KR200354172Y1 KR 200354172 Y1 KR200354172 Y1 KR 200354172Y1 KR 20040007687 U KR20040007687 U KR 20040007687U KR 200354172 Y1 KR200354172 Y1 KR 200354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pusher
moxibustion
sliding ba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조
Original Assignee
(주)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지 filed Critical (주)한지
Priority to KR20-2004-0007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530)에 쑥을 넣고 연소시켜서 쑥뜸 요법을 행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500)에 사용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이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는 몸체(20), 퓨셔(60) 및 다리(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몸체(20)는 바닥면(30)에 관통홀(36)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프닝(26)이 형성되며, 바닥면(30)과 오프닝(26)을 연결하는 측벽(22)이 형성되고, 바닥면(30)과 오프닝(26) 및 측벽(22)내에 이루어지는 내부공간(32)이 용기(530)의 내측면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된다. 퓨셔(60)는 몸체(20)의 바닥면(30)에 형성된 관통홀(36)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62)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바(62)의 상부에 바닥면(30)상에 밀착되는 밀판(64)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바(6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68)가 형성된다. 다리(50)는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둘러싸고, 밀판(64)이 바닥면(30)에 밀착되었을 때 슬라이딩 바(62)의 돌출길이보다 길도록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MUGWORT FORMING DEVICE FOR MOXIBUSTION}
본 고안은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방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를 위한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자는 한방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쑥뜸과 부항에 대한 효과를 인식하고 쑥뜸과 부항의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부항쑥뜸기를 특허 제0419721호에서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특허 제0419721호를 통해 본 고안자가 제안한 부항쑥뜸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자가 제안한 부항쑥뜸기(500)는 몸체(510)의 내부에 단(512)을 형성하여 용기(530, 용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510)의 하부에 용기(530)가 거치되는 상부와 연통되는 쑥뜸부(516)를 형성하며, 이쑥뜸부(516)의 주위에 내벽(514)에 의해서 쑥뜸부(516) 및 상부와 폐쇄되는 부항부(518)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 부항쑥뜸기(500)는 단(512)의 하부 및 쑥뜸부(516)의 상부에 위치되어 용기(530)와 연통되는 연기 배출공(560)이 몸체(510)의 측면에 형성하고, 커버(540)의 상부에 흡입구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써 공기 유입관(550)을 공기펌프와 흡입구에 연결하여 공기를 몸체(510)의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므로써 용기(530)의 쑥을 연소시켜서 그 열기와 연기가 쑥뜸부(516)의 하부로 이동한 뒤 연기 배출공(5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부항쑥뜸기(500)는 부항과 쑥뜸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부항요법과 쑥뜸요법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본 고안자가 제안한 부항쑥뜸기(500)는 용기(530)에서 쑥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용기(530)내의 쑥은 밀폐된 환경내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연소되므로, 쑥의 다짐정도나 크기에 따라 연소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쑥뜸시 균일한 연소조건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도 1의 부항쑥뜸기의 용기에 사용되는 쑥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자가 부항쑥뜸기(500)로 실험한 결과 쑥의 연소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기(530)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 미리 형성된 쑥봉(100)을 사용해야 하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때 쑥봉(100)은 쑥뜸시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서 연소하게 되므로 용기(530)의내측면(532)과 약간의 틈(c)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쑥봉(100)은 이 틈(c)을 고려해서 형성되어야 하는데, 쑥뜸하기 전에 용기(530)에 쑥을 넣은 상태에서 일일이 이 틈(c)을 고려하여 쑥봉(100)을 만들기에는 불편하고, 연소에 적합한 다짐정도로 형성하기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제안한 바 있는 부항쑥뜸기에 사용하는 쑥봉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 고안자가 제안한 바 있는 부항쑥뜸기와 같이 용기 등의 용기에 쑥을 넣어 연소시켜서 쑥뜸을 하는 쑥뜸기에 사용하는 쑥봉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누구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하여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자가 특허 제0419721호에서 제안한 부항쑥뜸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항쑥뜸기의 용기에 사용되는 쑥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가 구성되는 과정을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를 사용하여 쑥봉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쑥봉 형성기구를 자판기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쑥봉 형성기구 20 : 몸체
22 : 측벽 26 : 오프닝
30 : 바닥면 32 : 내부공간
34 : 가이딩 돌기 36 : 관통홀
40 : 다짐 라인 50 : 다리
60 : 퓨셔(pusher) 62 : 슬라이딩 바
64 : 밀판 68 : 스토퍼
80 : 커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용기(530)에 쑥을 넣고 연소시켜서 쑥뜸 요법을 행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500)에 사용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바닥면(30)에 관통홀(36)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프닝(2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30)과 상기 오프닝(26)을 연결하는 측벽(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30)과오프닝(26) 및 측벽(22)내에 이루어지는 내부공간(32)이 상기 용기(530)의 내측면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에 형성된 관통홀(36)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30)상에 밀착되는 밀판(64)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68)가 형성되는 퓨셔(60) 및;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둘러싸고, 상기 밀판(64)이 상기 바닥면(30)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돌출길이보다 길도록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20)의 오프닝(26)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20)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오프닝(26)을 밀폐시키는 커버(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20)는 상기 오프닝(2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측벽(22)의 내면 둘레로 형성되는 다짐 라인(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36)의 둘레로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딩 돌기(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20)와 다리(5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퓨셔(6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스토퍼(68)는 상기 퓨셔(60)를 상기 몸체(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바(62)의 하부 외측을 열가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이하 쑥봉 형성기구라 한다)는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쑥뜸을 위한 쑥봉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는 쑥봉이 사용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의 용기에서 쑥봉이 연소할 때 가장 적합한 치수와 형태로 쑥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고 구성 모두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낮은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쑥뜸용 쑥봉은 건강원 등에서 쑥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동판매기 등을 통해 쑥봉을 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더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쑥뜸기, 부항쑥뜸기 및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가 구성되는 과정을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를 사용하여 쑥봉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쑥봉(100)을 정해진 크기와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몸체(20), 몸체(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쑥봉 형성기구(10)가 서있도록 하는 다리(50) 및 몸체(20)의 내부공간(32)상에 형성된 쑥봉(100)을 몸체(20)의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퓨셔(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몸체(20), 다리(50) 및 퓨셔(6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몸체(20)와 다리(50)는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쑥봉 형성기구(10)는 용기(530, 도 2 참조)에 쑥을 넣고 연소시켜서 쑥뜸 요법을 행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500, 도 1 참조)에 사용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쑥봉(100)이 형성되었을 때 용기(530)의 내측면(532)과 약간의 틈(c)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의 몸체(20)는 바닥면(30)에 관통홀(36)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프닝(26)이 형성되며, 바닥면(30)과 오프닝(26)을 연결하는 측벽(22)이 형성되고, 바닥면(30)과 오프닝(26) 및 측벽(22)내에 이루어지는 내부공간(32)이 용기(530)의 내측면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몸체(20)에 의해 내부공간(32)에 형성되는 쑥봉(100)은 쑥을 내부공간(32)에 넣고 다졌을 때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 등의용기(530)의 내측면(532)과 틈을 가지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몸체(20)의 내부공간(32)에 형성된 쑥봉(100)을 밀어내기 위한 퓨셔(60)는 몸체(20)의 바닥면(30)에 형성된 관통홀(36)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62)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바(62)의 상부에 바닥면(30)상에 밀착되는 밀판(64)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바(6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68)가 형성된다. 이 퓨셔(60)는 전술한 몸체(20)와 동일하게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퓨셔(60)의 밀판(64)은 몸체(20)의 바닥면(30)상에 밀착되도록 하여 형성되는 쑥봉(100)의 하면이 깨끗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몸체(20)의 바닥면(30)상에 밀판(64)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밀판(64)이 바닥면(30)에 밀착되었을 때 밀판(64)의 윗면이 바닥면(30)과 일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퓨셔(60)의 작동시 퓨셔(60)의 중심이 어긋나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운동되도록 하기 위해 관통홀(36)의 둘레로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딩 돌기(34)를 형성하여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퓨셔(60)와 몸체(20)의 조립은 도 4a 내지 4c에서 보인 순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4a와 같이 별개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된 몸체(20)와 퓨셔(60)는 먼저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몸체(20)의 바닥면(30)상에 형성된 관통홀(36)을 통해 삽입시켜서 밀판(64)이 몸체(20)의 바닥면(30)상에 밀착되도록 한다(도 4b). 이와 같이 퓨셔(60)를 몸체(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의 하부 외측에 인두(200) 등으로 열가열하여 스토퍼(68)를 형성시키므로써퓨셔(60)가 몸체(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68)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 형성기구(10)를 매우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면서 제작비용을 낮추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몸체(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리(50)를 갖는다. 이 다리(50)는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둘러싸고, 밀판(64)이 바닥면(30)에 밀착되었을 때 슬라이딩 바(62)의 돌출길이보다 길도록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리(50)는 퓨셔(6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쑥봉 형성기구(10)가 서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리(50)는 후술하는 커버(80)가 더 구비되는 본 고안의 변형예와 같이 자동판매기에 적용하는데 유용한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몸체(20)의 오프닝(26)으로부터 이격되어 측벽(22)의 내면 둘레로 다짐 라인(40)을 형성한다. 이 다짐 라인(40)은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쑥을 다짐하여 쑥봉(100)을 형성할 때 매우 유용한 구성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몸체(20)의 오프닝(26)선까지 내부공간(32)에 쑥을 채워 넣은 후(도 5a 참조), 손가락 등으로 쑥을 다져서 다짐 라인(40)까지 쑥의 윗면이 오도록 한다(도 5b 참조). 따라서 쑥을 전혀 다질 줄 모르는 초보자라도 쑥뜸시 용기(530, 도 2 참조)내에서 쑥봉(100)이 잘 연소되도록 쑥을 다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짐이 완료되어 형성된 쑥봉(100)은 손가락 등으로 퓨셔(60)를 밀면 몸체(20)로부터 나오게 된다(도 5c 참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쑥봉 형성기구를 자판기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커버(8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버(80)는 몸체(20)의 오프닝(26)측에 위치되어 몸체(20)에 결합되므로써 오프닝(26)을 밀폐시킨다. 본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몸체(22)의 상부 외주상으로 돌기(28)를 형성하고 커버(80)의 외주상으로 플랜지(84)를 형성하여 커버(8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몸체(20)로부터 커버(80)가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와 같은 커버(80)는 전술한 다리(50)와 함께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를 자동판매기(300) 등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300)는 다수개의 제품을 내부에 적층시켜 놓은 상태에서 하나씩 나가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쑥봉 형성기구(10')는 커버(80)를 씌워서 내부의 쑥봉(100)을 보호하고 자동판매기(300)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에 의하면, 쑥봉이 사용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의 용기에서 쑥봉이 연소할 때 가장 적합한 치수와 형태로 쑥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쑥뜸을 위한 쑥봉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고 구성 모두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낮은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쑥뜸용 쑥봉은 퓨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커버를 씌워서 구성하여 자판기를 통해 판매할 수 있으므로 건강원 등에서 사용의 편리함을 더 할 수 있다.

Claims (5)

  1. 용기(530)에 쑥을 넣고 연소시켜서 쑥뜸 요법을 행하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500)에 사용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바닥면(30)에 관통홀(36)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프닝(2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30)과 상기 오프닝(26)을 연결하는 측벽(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30)과 오프닝(26) 및 측벽(22)내에 이루어지는 내부공간(32)이 상기 용기(530)의 내측면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에 형성된 관통홀(36)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30)상에 밀착되는 밀판(64)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68)가 형성되는 퓨셔(60) 및;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둘러싸고, 상기 밀판(64)이 상기 바닥면(30)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바(62)의 돌출길이보다 길도록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오프닝(26)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20)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오프닝(26)을 밀폐시키는 커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상기 오프닝(2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측벽(22)의 내면 둘레로 형성되는 다짐 라인(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를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36)의 둘레로 상기 몸체(20)의 바닥면(3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딩 돌기(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다리(5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퓨셔(6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스토퍼(68)는 상기 퓨셔(60)를 상기 몸체(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퓨셔(60)의 슬라이딩 바(62)의 하부 외측을 열가열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KR20-2004-0007687U 2004-03-19 2004-03-19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KR200354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87U KR200354172Y1 (ko) 2004-03-19 2004-03-19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87U KR200354172Y1 (ko) 2004-03-19 2004-03-19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172Y1 true KR200354172Y1 (ko) 2004-06-29

Family

ID=4943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87U KR200354172Y1 (ko) 2004-03-19 2004-03-19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1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4172Y1 (ko) 쑥뜸용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구
WO2007063502A3 (en) A tea mak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liquid collection chamber
EP2119546B1 (en) Thermal-electromechanical compacting apparatus for household and community use, for a vertically placed plastic material bottle and method to make the vertically placed bottle compact
CN205697199U (zh) 防倾倒的电热水壶
KR100660823B1 (ko) 찜구이기
CN206213808U (zh) 开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05410846U (zh) 烹饪器具
KR200491683Y1 (ko) 사용성이 개선된 음료 압력용기
US2687077A (en) Infusion device
CN203041626U (zh) 茶壶茶漏
KR20080004510U (ko) 석분이 충진된 구이용 불판
CN208286893U (zh) 烹饪器具和微压阀
KR200424021Y1 (ko) 찜 조리기구
CN209421756U (zh) 一种带隔热功能的双面煎锅
KR200167530Y1 (ko) 다용도 주전자
JP2004141236A (ja) コーヒー又は紅茶用ドリッパー
CN104320999B (zh) 热饮制备机
KR200336666Y1 (ko) 스팀 다리미용 훈증 통
CN206371909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和烹饪器具
CN209421758U (zh) 一种带缓冲防撞的双面煎锅
CN208425937U (zh) 电水壶
CN206729792U (zh) 一种带有保鲜功能的便携式电饭锅
KR200174070Y1 (ko) 뜸질용 쑥 제조구
CN108338656B (zh) 烹饪器具
KR200319405Y1 (ko)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