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95Y1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95Y1
KR200354095Y1 KR20-2004-0009584U KR20040009584U KR200354095Y1 KR 200354095 Y1 KR200354095 Y1 KR 200354095Y1 KR 20040009584 U KR20040009584 U KR 20040009584U KR 200354095 Y1 KR200354095 Y1 KR 200354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input
adapter
input module
adapt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대
Original Assignee
류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대 filed Critical 류성대
Priority to KR20-2004-0009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10)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소형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소모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가며 사용해야 했다. 특히, 전기 거품기 또는 보풀 제거기 등 배터리의 소모가 많은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수시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했다.
배터리(10)의 사용은, 가정용 전기에 비하여 비용을 크게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배터리만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자제품의 경우,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도 될 만큼 이동성을 요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배터리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제품 사용의 융통성을 꾀하기 어렵고,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한다.
또한 배터리(10) 속에는 환경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배터리의 과용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과 보조 모듈(20)에 대한 것으로, 배터리(10)만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자제품에 적용하여,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을 도입하면, 배터리(10)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소형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지장이 없는 상황일 경우, 가정용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물질 배출을 감소하게 되는 이득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omitted}
배터리(10)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소형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소모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가며 사용해야 했다. 특히, 전기 거품기 또는 보풀 제거기 등 배터리의 소모가 많은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수시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했다.
배터리(10)의 사용은, 가정용 전기에 비하여 비용을 크게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배터리만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자제품의 경우,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도 될 만큼 이동성을 요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배터리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제품 사용의 융통성을 꾀하기 어렵고, 효율적인 사용을 막는다.
또한 배터리(10) 속에는 환경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배터리의 과용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배터리의 전원 공급 역할을 대신하여, 가정용 전기 전원으로부터 어댑터를 통하여 얻은 DC전원으로 배터리처럼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은, 배터리(10)만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자제품에서도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 도1 : 일반 배터리의 사시도
- 도2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의 사시도
- 도3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의 사시도
- 도4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어댑터의 사시도
- 도5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존의 어댑터와 그 외 부가장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6 : 일반 배터리를 담은 배터리 박스의 사시도
- 도7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과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을 담은 배터리 박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일반 배터리
(20)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
(21)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20)의 (+)극과 (-)극을 합선시키기 위해 내장된 전선
(30)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31)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외부 전원 입력 소켓
(32)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과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의 (+)극 단자를 연결하는 내부 전선
(33)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과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의 (-)극 단자를 연결하는 내부 전선
(40)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어댑터
(41) - 전기 콘센트 플러그 부
(42) - 출력 전압 선택 스위치
(43) -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에 체결되는 전원 출력 플러그
(50) - 기존의 가정용 어댑터
(51) - 전기 콘센트 플러그 부
(52) - 기존의 가정용 어댑터의 출력 플러그
(53) - 기존의 가정용 어댑터의 출력 플러그와 체결되는 소켓
(54) - 기존의 가정용 어댑터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전압변환장치
(55) - 출력 전압 선택 스위치
(60) - 배터리 박스
배터리(10)만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자제품에는, 배터리(10) 이외의 외부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단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제안하는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은 기존의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터리 박스(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반배터리(10)와 동일한 전체 외형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은,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1개의 배터리(10)만을 삽입하는 전자제품 이외에도, 2개 이상의 배터리(10)를 직렬연결로 삽입해야 하는 전자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모듈(20)도 필요하다.
배터리(10)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제품에는 배터리(10)를 삽입하기 위한 배터리 박스(6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배터리 박스(60)에는 해당 전자제품의 용량에 맞게 1개의 배터리(10)만을 삽입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배터리(10)를 직렬연결로 삽입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6과 도7에 제시된 배터리 박스(60)는 4개의 배터리(10)를 직렬연결로 삽입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병렬연결로 삽입하는 배터리 박스의 설계는 매우 드문 경우인데, 이 경우에 해당하는 도면은 생략하였다.
도6은 4개의 배터리를 직렬연결로 삽입하는 배터리 박스(60)에 기존의 일반 배터리(10)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7은 동일한 배터리 박스(60)에 본고안이 제안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과 보조 모듈(20)을 사용하여, 기존의 일반 배터리(10)를 갈음한 것이다.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을 배터리 박스(60)에 적용함에 있어, 해당 배터리 박스(60)가 삽입된 배터리의 직렬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경우, 도7과 같이, 한 개의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을 배터리 박스(60)에 삽입하고, 나머지 배터리(10)삽입 공간에는 보조 모듈(20)로 채워 넣는다. 어댑터 전원 입력모듈(30)은 배터리 박스(60)의 배터리 삽입부들 중, 임의의 삽입부에 체결하면 되며, 나머지의 배터리 삽입부에는 모두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20)로써 채워지도록 적용한다. 만약, 해당 배터리 박스(60)가 삽입된 배터리의 병렬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된 것이라면, 한 개의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만을 배터리 박스(60)에 삽입하고, 나머지의 배터리 삽입부에는 빈 채로 두어야 한다.
도7에서, 배터리 박스(60)에 삽입된 하나의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에는 전원 출력 플러그(43)가 체결된다. 이 전원 출력 플러그(43)로부터 입력받은 DC전원의 (+)극은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 단자로 연결된 내부 전선(32)과 결부되며, DC전원의 (-)극은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 단자로 연결된 내부전선(33)과 결부된다.
도7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 박스(60)가 삽입된 배터리의 직렬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을 통하여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 내부로 입력되어진 DC전원은 배터리 박스(60)의 나머지 공간에 채워진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20)의 내부 합선 전선(21)으로써 해당 전자제품의 전기회로로 완성된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로써 완전히 기존의 배터리(10)의 역할을 갈음하게 된다.
만약, 배터리 박스(60)가 삽입된 배터리의 병렬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을 통하여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 내부로 입력되어진 DC전원은 배터리 박스(60)의 나머지 빈 공간에 관계없이 해당 전자제품의 전기회로로 완성된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로써 완전히 기존의 배터리(10)의 역할을 갈음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 박스(60)가 삽입된 배터리의 병렬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배터리 삽입 공간에 보조 모듈(20)을 채워 넣게 되면, 외부 전원 입력단(31)의 (+)극과 (-)극이 합선되는 회로가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도7의 배터리 박스(60)에 삽입된 하나의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에 체결되는 전원 출력 플러그(43)는 도4에서 제시한 별도로 제작된 어댑터(40)로부터 제공받거나, 도5에서 제시한 것처럼, 기존의 어댑터(50)를 그대로 활용하도록 설계된 어댑터 출력 DC전압 변환장치(54)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4의 별도로 제작된 어댑터(40)는 본 고안에 적합한 구조로 별도로 제작된 특수한 어댑터로써, 출력 DC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42)를 내장하고 있고,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전원 출력 플러그(43)를 직접 제공한다.
도5의 어댑터 출력 DC전압 변환장치(54)는 기존의 어댑터(50)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별도의 제품이다. 이 출력 DC전압 변환장치(54)의 어댑터 전원 입력 단자(53)에 기존의 어댑터의 출력단자(52)를 체결하고, 출력 DC 전압을 선택받기 위한 스위치(55)로 원하는 출력 DC전압을 선택하여,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전원 출력 플러그(43)로 원하는 출력 DC전원을 얻을 수 있다.
배터리(10)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소형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소모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가며 사용해야 했다. 특히, 전기 거품기 또는 보풀 제거기 등 배터리의 소모가 많은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수시로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했다. 이는, 가정용 전기에 비하여 비용이 큰 배터리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피할 수 없었던 경제적 손실이었으나, 본 고안이 제안하는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모듈(30)을 도입하면, 이러한 비효율을 막을 수 있다.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도 될 만큼 이동성을 요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배터리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소형 전자제품에, 본 고안을 도입하여, 가정용 전기로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게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굳이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지장이 없는 상황에서 가정용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물질 배출을 감소하게 되는 이득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에 있어서,
    배터리 박스(60)에 삽입될 수 있기 위해, 비탄성체의 부재를 이용하여, 일반 배터리(10)와 동일한 규격으로 성형되며,
    외부로부터 DC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 부과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의 (+)극 단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전선(32)을 포함하고,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 부과 외부 전원 입력 소켓(31)의 (-)극 단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전선(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
  2.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20)에 있어서,
    배터리 박스(60)에 삽입될 수 있기 위해, 비탄성체의 부재를 이용하여, 일반 배터리(10)와 동일한 규격으로 성형되며,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30)의 (+)극 부와 (-)극 부를 서로 합선시키는 내부 전선(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보조 모듈(20)
KR20-2004-0009584U 2004-04-07 2004-04-07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KR200354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84U KR200354095Y1 (ko) 2004-04-07 2004-04-07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84U KR200354095Y1 (ko) 2004-04-07 2004-04-07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95Y1 true KR200354095Y1 (ko) 2004-06-23

Family

ID=4943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84U KR200354095Y1 (ko) 2004-04-07 2004-04-07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7441A (zh) * 2018-09-19 2019-09-17 杭州光力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7441A (zh) * 2018-09-19 2019-09-17 杭州光力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9513B (en) Power converter that supplies multiple output voltages via adaptor
CN107331896B (zh) 一种锂电池及充电宝
RU2004130466A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тва низ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WO2002011266A3 (en) Wall switch device and power outlet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charging station
KR960019933A (ko) 직류 출력을 갖는 벽 콘센트
US20020154528A1 (en) AC to DC adapter with AC receptacle
EP2506376A3 (en) Relay, relay unit and electrical junction box
MX2007009090A (es) Bloque de distribucion de potencia conmutable protegido con fusibles.
KR200354095Y1 (ko) 배터리의 역할을 갈음하는 어댑터 전원 입력 모듈
ATE233962T1 (de)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 ein/ausgabemodul
CA2316488A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non-symmetrical terminal collar
WO2002001694A3 (de) Elektronische schaltung für ein energieversorgungsgerät, insbesondere für ein ladegerät für akkumulatoren
US9307664B2 (en) Zero power consumption connector for power adapter and power connector
CN1328828C (zh) 具有充电和操作连接装置的电池电连接线及其使用方法
WO2005050804A3 (en) Low voltage electronic motor wire termination
CN201126898Y (zh) 一种开关插座
CN202772069U (zh) 一种带插拔式防雷模块的电气开关、漏电保护装置
CN201307772Y (zh) 用于小型电子设备的电源供应装置
CN201600644U (zh) 具有模块化转换电路的个人用电脑电源装置
JP2004187467A (ja) 携帯電話用の臨時電源
KR200188842Y1 (ko) 셀룰러 폰용 휴대 전원 장치
KR200206747Y1 (ko) 밧데리 충전 겸용 멀티탭
CN220628915U (zh) 一种用于充电控制的电源电路
CN219760279U (zh) 一种小型插座配电箱
CN216015125U (zh) 开关组件及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