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803Y1 - 출납용 동전함 - Google Patents

출납용 동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803Y1
KR200353803Y1 KR20-2004-0008922U KR20040008922U KR200353803Y1 KR 200353803 Y1 KR200353803 Y1 KR 200353803Y1 KR 20040008922 U KR20040008922 U KR 20040008922U KR 200353803 Y1 KR200353803 Y1 KR 200353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box
coin
box body
l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홍청
Original Assignee
육홍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홍청 filed Critical 육홍청
Priority to KR20-2004-0008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동전 개수를 나타내는 눈금(13)이 새겨진 다수개의 호형 수장칸(11)이 형성되고 전면 내벽은 단턱(8)이 형성되며 후면벽은 경사면이나 단턱(9)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는 동전의 액면가 표시부(4)가 형성된 동전함 본체(1)와, 상기 동전함 본체에 결합 분해되는 뚜껑(2)으로 된 출납용 동전함에 있어서, 상기 수장칸중 500원권과 50원권 수장칸(11a)(11c)의 측면에 보조 수장칸(15)(16)을 각각 나란하게 형성하여 동전을 여유있게 수장할 수 있게하고, 동전 개수 표시 눈금(13)은 밝은 색상의 스크린 인쇄를 하여 음각된 숫자가 잘 보이게 하고, 본체(1)의 전후 측벽 상단에는 광고용 수평플랜지(17a)(17b)와 필기구 꽂이공(22)을 형성하며, 본체(1) 좌우 양측면 상단에 수평플랜지(17c)(17d)를 형성하거나, 그 대신에 본체 좌우 양측면 중앙 상부에는

Description

출납용 동전함{Box for incomings and outgoings of coin}
본 고안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나 회사 또는 슈퍼마켓과 마트등 영업장에서 동전을 계산, 수납, 인출 및 보관하기에 편리한 동전 출납용 동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동전을 취급하는 은행 등 금융기관의 금전출납계원(일명 텔러)들이 사용하기에 아주 편리한 출납용 동전함으로써, 500원짜리, 100원짜리, 50원짜리 및 10원짜리 동전을 각각의 전용칸에 넣거나 인출하면서 계산하기도 편리한 금전 출납용 동전함(일명 텔러 박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선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02282호(공고번호96-8626), "출납용 동전함"을 더욱 편리하게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선등록된 출납용 동전함의 구조 및 기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장방형의 동전함 본체(1) 내부 공간에 동전 크기별로 다수개의 수장칸(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장칸(11)의 저면(12)은 호형으로 되며, 각 수장칸(11)을 구획하는 칸막이(6) 상면이나 수장칸(11)의 저면(12)에는 눈금(13)이 새겨지고,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전면벽 내측 전체에는 소정폭의 단턱(8)이 형성되고, 후면벽 내측에는 단턱이나 경사면(9)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 또는 단턱(9)의 상측부에는 해당 동전의 액면가를 숫자로 표시한 액면가 표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동전함 본체(1)에 결합 분해되는 뚜껑(2)을 착탈 자재되게 결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선등록된 출납용 동전함은 동전함 본체(1)가 동전의 수요가 많은 100원권 수장칸(11b)이나 10원권 수장칸(11d)은 아예 두개로 하였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여유있게 동전을 수장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수요가 적은 500원권이나 50원권 수장칸은 1칸(11a)(11c)으로 하기에는 거기에 수장하는 동전의 양이 수요에 비하여 조금 부족하고 두칸으로 하기에는 칸이 너무 많고 또한 이로인해 동전함이 너무 커지게 되어 취급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동전함 본체(1)를 책상위에 올려 놓고 사용시에 동전함 본체가 너무 평면으로 놓이게 되어 수납된 동전이 눈에 쉽게 띄지 않아 사용 및 취급에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데 동전을 넣고 뺄때 동전함 용기 본체(1)의 후단이 약간 위로 들려서 동전함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놓이게 되면 동전을 보고 넣고 빼기가 쉬울뿐 아니라 동전이 앞쪽으로 밀려 내려와 자연적으로 정돈이 되고 동전 개수와 금액 계산도 편리하게 되지만, 동전함(용기)이 평평하게 놓여있으면 동전이 수장칸(11)내에서 가지런히 세워지지 않고 흐트러질 뿐 아니라 전면에 놓인 것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폐단이 있게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동전함은 수장칸(11) 측면이나 바닥면(12)에 표기되어 수장된 동전의 수량을 알려주는 숫자표시도 잘 보이지 않아서 자세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동전의 수량을 쉽게 파악하기가 어려운 결점도 있었다.
또한 동전함 본체(1)에 뚜껑(2)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동전함 본체(1)의 좌우 양벽면 상단에 형성된 선형돌기(3)에 뚜껑(2)의 좌우 양측의 절곡단부(5)에 형성된 선형요부(4)를 착탈되게 결합하기가 쉽지 않아서 잘못하면 부숴지거나 손을 다치거나 갑자기 뚜껑이 열려 그 용기 속의 동전을 쏟아지게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출납용 동전함에 있어서, 수요가 적지만 필요한 수량만큼 수장하기가 어중간한 500원권(짜리)과 50원권(짜리)수장용 수장칸의 결함을 개선하여 500원권과 50원권 수장함 옆에 보조 수장칸을 형성하여 필요한 만큼 500원짜리와 50원짜리를 수장할 수 있도록하고, 동전함의 후면벽은 약간 들리도록하여 동전함을 바닥에 놓았을 때 동전과 수장함 내부가 잘 보이면서 동전을 수장 또는 인출하기가 쉽고 동전의 수량 파악과 금액의 계산도 쉽게 하도록 하고 동전의 수량을 나타내주는 수장칸 내의 숫자 표시부는 밝은 색상으로 스크린 인쇄하여 인쇄되지 않은 음각된 숫자를 쉽게 판독하여 동전의 갯수를 쉽게 파악하고 따라서 금액도 쉽게 계산할 수 있게하며, 뚜껑(2)과 수납함 본체(1)의 결합부를 쉽게 착탈될 수 있게하여 뚜껑(2)과 본체(1)의 취급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본체(1)전후방의 일정 위치에 쉽게 육안으로 보일 수 있는 광고표시부와 필기구 꽂이 구멍도 설치하여 광고문구나 문양을 표시하면서 필기구도 꽂이 구멍에 꽂았다가 필요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한 출납용 동전함을 제공코저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은 본 고안 동전함 본체의 일예시 사시도.
도 1(b) 는 본 고안 동전함 본체의 타예시 사시도.
도 2(a) 는 도1(a)의 일예시 저면 사시도.
도 2(b) 는 도1(b)의 일예시 저면 사시도.
도 3(a) 는 도1(a)의 또 다른 예의 저면 사시도.
도 3(b) 는 도1(b)의 또 다른 예의 저면 사시도.
도 4(a) 는 도1(a)용 뚜껑의 사시도.
도 4(b) 는 도4(a)에서 수직돌기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도1(b)용 뚜껑의 사시도.
도 5(b)는 도5(a)에서 수직돌기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도1(a)의 A-A선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함 본체 2 : 뚜껑
6 : 칸막이 7,7' : 칸막이
8 : 단턱 9 : 경사면
11 : 수장칸 11a : 500원권 수장칸
11c : 50원권 수장칸 12 : 바닥면
13 : 눈금 14 : 액면가 표시부
15,16 : 보조수장칸 17a,17b,17c,17d : 전후좌우 수평 플랜지
18,18' : 수직돌기 19,19' : 축받이
20,20' : 축 21 : 판형 받침대
S : 후방 받침부 22 : 꽂이 공
23,23' :자형 홈턱 24,24' : 수직돌기
25 : 색칠 26,26' : 절곡부
27,27' : 내향돌기 28a,28b,28c,28d : 걸림돌기
장방형의 본체(1) 내부 공간에 동전 크기별로 다수개의 호형 수장칸(11)이형성되고, 각 수장칸(11)을 구획하는 칸막이(6)의 측면이나 수장칸(11) 바닥면(12)에는 동전 개수 표시용 눈금(13)이 새겨지고,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전면벽 내측 전체에는 소정폭의 단턱(8)이 형성되며, 후면벽 내측에는 경사면이나 단턱(9)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또는 단턱(9)의 상측부에는 해당 동전의 액면가를 숫자로 표시한 액면가 표시부(14)가 형성된 동전함 본체(1)와, 상기 동전함 본체(1)에 결합 분해되는 뚜껑(2)으로 구성된 출납용 동전함에 있어서, 상기 동전함 본체(1)의 한칸으로만 된 500원권 수장칸(11a)과 50원권 수장칸(11c)의 측면에 그 수장칸들과 나란하게 칸막이(7)(7')에 의해 경계를 이룬 장방형 보조 수장칸(15)(16)을 각각 형성하고, 각 수장칸(11)의 저면이나 측면에 표시된 동전 개수 표시용 눈금(13) 부위는 밝은색칠(25)로 스크린 인쇄하여 인쇄되지 않은 음각된 숫자 표시가 선명하게 나타나 보이도록 하며, 용기의 전후면벽 상단에는 광고문구 표시용 전후방 수평 플랜지(17a)(17b)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수평 플랜지(17b)의 일정위치에는 필기구 꽂이용 꽂이공(22)을 형성하며, 동전함 좌우측벽에는 상단에 뚜껑 결합용 수평플랜지(17c)(17d)를 형성하거나, 그 대신에 측벽면 상부 중앙에 뚜껑 결합용자형 홈턱(23)(23')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동전함 본체(1) 후방 저면은 평평하게 그대로 두거나, 그 후방 저면의 좌우 양측에 본체(1)와 일체로 일정 높이의 원추형 수직돌기(18)(18')를 성형하거나, 좌우 양측 축받이(19)(19')에 장착된 축(20)(20')에 의해 절첩 및 직립이 가능하게 절첩식 판형 받침대(21)를 설치하는 것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후방 받침부(S)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2)의 전후단은 절곡부가 없이 개방하고, 좌우양단만은 절곡부(26)(26')를 형성하되, 상기 좌우단 절곡부(26)(26')에는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좌우 측벽의 상단에 수평플랜지(17c)(17d)가 형성되어 있을 때는 그 수평플랜지에, 그 수평플랜지가 없이 그 좌우 측벽 상부 중앙에자형 홈턱(23)(23')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홈턱에, 대응되게 억지끼움될 수 있는 내향돌기(27)(27')를 돌설하고, 뚜껑 저면의 수평플랜지(17a)(17b)...들 내측 4모서리에는 동전함 본체(1) 내벽에 걸리도록 돌설된 짧은 걸림돌기(28a)(28b)(28c)(28d)만을 형성하거나, 상기 동전함 본체(1)에 후방받침부(S)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그 저면 전후방중 어느 일방의 양측에 한쌍의 원추형 수직돌기(24)(24')를 상기 걸림돌기들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출납용 동전함은 종래의 선출원 특허된 동전함처럼 사용하되, 수장칸이 하나씩밖에 없는 500원짜리와 50원짜리 수장칸(11a), (11c)의 측면에 나란히 칸막이(7)를 경계로 하여 장방형 보조수장칸(15)(1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500원짜리나 50원짜리 동전을 정식 수장칸(11a)(11c)에 각각 수장하고도 별도로 그 옆에 형성된 보조 수장칸(15)(16)에도 동전을 더 많이 수장할 수가 있어서 동전 수량의 부족없이 동전을 수장, 보관 및 사용할 수가 있게되고, 각 수장칸(11)의 저면에 표시한 동전수량 표시 눈금(13)위에는 밝은 색칠(25)을 스크린 인쇄하였기 때문에 인쇄되지 않은 음각된 숫자들이 선명하게 보이게 되므로 동전의 갯수 파악이 용이하고, 따라서 동전 액수의 계산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동전함 본체(1) 전후 좌우에 형성된 광고문구 표시용 수평 플랜지(17a)(17b) ...에는 각종 광고문구를 직접 인쇄하거나 광고지를 부착하거나 광고문구를 양각이나 음각되게 본체(1)와 함께 성형할 수가 있어서 동전함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수평 플랜지(17a)(17b)...들중 후방 수평 플랜지(17b)의 일정위치에는 필기구 꽂이용 꽂이공(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종 필기구를 꽂아두었다가 필요시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좌우 측벽 상단에 수평플랜지(17c)(17d)가 형성되어 있거나, 좌우 측벽 중앙 상부에 뚜껑 결합용자형 홈턱(23)(23')이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2)을 본체(1)에 결합시에 뚜껑(2)의 좌우 양단 절곡부(26)(26')에 내향돌설된 내향돌기 (27)(27')가 상기 좌우 수평플랜지(17c)(17d)가 있을 경우에는 그 수평플랜지에 유연한 플라스틱의 탄력에 의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뚜껑 저면 4모서리에 돌설된 걸림돌기(28a)(28b)(28c)(28d)가 본체(1)의 내벽에 걸려서 뚜껑(2)이 전후 좌우 어디로도 미끄러지거나 분해되지 않게 되고, 본체 측벽 상단에 수평플랜지(17c) (17d)가 없이 그 측벽 중앙 상부에자형 홈턱(23)(23')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내향돌기(27)(27')가 상기 홈턱에 유연한 플라스틱의 탄력에 의해 쉽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이와같이 일단 결합만 되면 쉽게 열리지 않게 되지만, 이를 다시 열고져 할 때는 뚜껑(2)의 양단 내측을 엄지로 누르면서 다른 손가락들로 뚜껑의 좌우 양단을 들어 올리게 되면 플라스틱의 유연한 탄력에 의해 쉽게 열리게 되므로 착탈과 밀폐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동전함 본체(1)의 후방 저면의 좌우 양측에 원추형 수직돌기(18)(18')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동전함을 사용시에 동전함 본체(1)를 바닥에 놓기만 하면 후방이 상기 수직돌기(18)(18') 높이만큼 들리게 되므로 동전이 흐트러지지 않고 전방으로 밀려 내려와 가지런히 정리가 되면서 동전의 개수 파악은 물론 액수 파악도 용이한 장점이 있고, 또 상기 원추형 수직돌기(18)(18') 대신에 동전함 본체 후방 저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축받이(19)(19')에 장착된 축(20)(20')에 의해 절첩 직립되는 판형 받침대(21)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동전함 본체(1)를 바닥에 놓을 때 그 판형 받침대(21)를 펴서(전개하여)세운 상태에서 놓게되면 역시 본체(1)후방이 그 받침대(21) 높이만큼 들리게 되어 상기 원추형 수직돌기(18)(18')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뚜껑은 좌우 양측의 절곡부(26)(26')에 내향돌설된 내향돌기(27)(27')에 의해 상기한 바와같이 동전함 본체(1)의 좌우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 (17c)(17d)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4모서리 저면에 돌설된 걸림돌기(28a)(28b) (28c)(28d)에 의해 본체(1) 내측면에서 걸려 4방으로 밀리지 않게 결합되거나, 상기 좌우플랜지(17c)(17d)가 없을 경우에는, 본체 좌우 양측면 상부 중앙에 형성된자형 홈턱(23)(23')에 억지끼움되므로 완벽하게 착탈이 되며, 또한 상기 동전함 본체(1) 후방 저면에 원추형 수직돌기(18)(18')나 판형 받침대(21)가 없을 때에 대비하여 뚜껑(2)의 저면에 원추형 수직돌기(24)(2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닥에 본체(1)를 놓기전에 수직돌기(24)(24')가 후방으로 가도록 뚜껑(2)을 제쳐놓은 후 동전함 본체(1)를 그 위에 올려놓게 되면 위로 향한 뚜껑(2) 저면의 원추형 수직돌기(24)(24')에 동전함 본체(1)의 후방 저면이 받쳐지게 되어 후방이 들리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본체(1) 저면에 원추형 수직돌기(18)(18')나 판형받침대(21)의 경우와 같이 동전을 전면으로 쏠리게 하여 정리되도록 하면서 동전의 계산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출납용 동전함은 종전의 동전함과 같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 500원과 50원권의 취급이 용이하고 동전함 본체(1)가 전면으로 기울어지게 놓이므로 동전의 수장 및 계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뚜껑(2)은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한번 닫으면 쉽게 해체되지 않아 동전이 쏟아질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전함 본체(1)의 전후 상단에는 광고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종 광고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필기구 꽂이공까지 있어서 필기구를 꽂아 두게되면 필요시에 필기구를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장방형의 본체(1) 내부 공간에 동전 크기별로 다수개의 호형 수장칸(11)이 형성되고, 각 수장칸(11)을 구획하는 칸막이(6)의 측면이나 수장칸(11) 바닥면(12)에는 동전 개수 표시용 눈금(13)이 새겨지고,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전면벽 내측 전체에는 소정폭의 단턱(8)이 형성되며, 후면벽 내측에는 경사면이나 단턱(9)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또는 단턱(9)의 상측부에는 해당 동전의 액면가를 숫자로 표시한 액면가 표시부(14)가 형성된 동전함 본체(1)와, 상기 동전함 본체(1)에 결합 분해되는 뚜껑(2)으로 구성된 출납용 동전함에 있어서, 상기 동전함 본체(1)의 한칸으로만 된 500원권 수장칸(11a)과 50원권 수장칸(11c)의 측면에 그 수장칸들과 나란하게 칸막이(7)에 의해 경계를 이룬 장방형 보조 수장칸(15)(16)을 각각 형성하고, 각 수장칸(11)의 저면이나 측면에 표시된 동전 개수 표시용 눈금(13) 부위는 밝은색칠(25)로 스크린 인쇄하여 인쇄되지 않은 음각된 숫자 표시가 선명하게 나타나 보이도록 하며, 용기의 전후면벽 상단에는 광고문구 표시용 전후방 수평 플랜지(17a)(17b)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수평 플랜지(17b)의 일정위치에는 필기구 꽂이용 꽂이공(22)을 형성하며, 동전함 좌우측벽에는 상단에 뚜껑 결합용 수평플랜지(17c)(17d)를 형성하거나, 그 대신에 측벽면 중앙에 뚜껑 결합용자형 홈턱(23)(23')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납용 동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함 본체(1) 후방 저면은 평평하게 그대로 두거나, 그 후방 저면의 좌우 양측에 본체 (1)와 일체로 일정 높이의 원추형 수직돌기 (18)(18')를 성형하거나, 좌우 양측 축받이(19)(19')에 장착된 축(20)(20')에 의해 절첩 및 직립이 가능하게 절첩식 판형 받침대(21)를 설치하는 것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후방받침부(S)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납용 동전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은, 전후단은 절곡부가 없이 개방하고, 좌우양단만은 절곡부(26)(26')를 형성하되, 상기 좌우단 절곡부(26)(26')에는 상기 동전함 본체(1)의 좌우 측벽의 상단에 수평플랜지(17c)(17d)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수평플랜지에, 그 수평플랜지가 없이 그 좌우 측벽 상부 중앙에자형 홈턱(23)(23')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홈턱에 대응되게 억지끼움될 수 있는 내향돌기(27)(27')를 돌설하고, 뚜껑 저면의 수평플랜지(17a)(17b)...들 내측 4모서리에는 동전함 본체(1) 내벽에 걸리도록 돌설된 짧은 걸림돌기(28a)(28b)(28c) (28d)만을 형성하거나, 상기 동전함 본체(1)에 후방받침부(S)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그 저면 전후방중 어느 일방의 양측에 한쌍의 원추형 수직돌기(24)(24')를 상기 걸림돌기들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출납용 동전함.
KR20-2004-0008922U 2004-03-31 2004-03-31 출납용 동전함 KR200353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22U KR200353803Y1 (ko) 2004-03-31 2004-03-31 출납용 동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22U KR200353803Y1 (ko) 2004-03-31 2004-03-31 출납용 동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803Y1 true KR200353803Y1 (ko) 2004-06-22

Family

ID=4934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922U KR200353803Y1 (ko) 2004-03-31 2004-03-31 출납용 동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67A (ko) 2019-11-22 2021-06-01 강권 금전등록기의 동전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67A (ko) 2019-11-22 2021-06-01 강권 금전등록기의 동전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4938A (en) Punch card viewer
US2975905A (en) Display rack
CA2169110A1 (en) Trading Card Carrying and Display Case
US3953090A (en) Memorandum sheet dispenser
US2735541A (en) mosler
US20010040111A1 (en) Gift wrap organizer
KR200353803Y1 (ko) 출납용 동전함
US5848686A (en) Collating structure
US3245522A (en) Utility tray
US3099389A (en) Toy post office
US11278905B2 (en) Microscope slide file position flag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3265077A (en) Coin stacking and handling device
CN201967929U (zh) 一种储钱罐
US6502692B1 (en) Multiple coin holder
US20130087606A1 (en) Reference apparatus
US7299919B1 (en) Displayable indicia box
KR200300453Y1 (ko) 티켓 파일
KR200154932Y1 (ko) 다용도 저금통
KR200229565Y1 (ko) 금액이 환산되는 현금 보관함
JPH0117093Y2 (ko)
JPH0237702Y2 (ko)
JP3071198U (ja) 名刺等のカード入れ容器
KR200427825Y1 (ko) 업소 진열용 명함꽂이
US20070209253A1 (en) Music reference sheet storage and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930005534Y1 (ko) 주화 정돈 계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