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609Y1 -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 Google Patents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609Y1
KR200353609Y1 KR20-2004-0007148U KR20040007148U KR200353609Y1 KR 200353609 Y1 KR200353609 Y1 KR 200353609Y1 KR 20040007148 U KR20040007148 U KR 20040007148U KR 200353609 Y1 KR200353609 Y1 KR 200353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ads
ceramic
electrical stimulation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홍
Original Assignee
이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홍 filed Critical 이상홍
Priority to KR20-2004-0007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복수 부위에 다채널 모드로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복부, 허리 및 등부분에 다면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도자패드를 이용하여 다채널 모드방식으로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신경과 근육을 강화시키는 미용기구의 기능과,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기구의 기능을 제공하는 다면 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는 하나의 벨트 내에 인체의 복수 부위를 동시에 다면 접촉하여 다채널 모드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치료와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타인의 도움없이 복합적인 치료와 운동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Integrated Electric Stimulating Belt with Multi-face Contacts}
본 고안은 인체의 복수 부위에 다채널 모드로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多面 接觸式 電機 刺戟 belt)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복부, 허리 및 등부분에 다면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도자패드를 이용하여 다채널 모드방식으로 저주파 등의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기구의 기능과, 신경과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미용기구의 기능을 제공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에 관한 것이다.
국민생활에 있어 소득수준이 점차로 향상되는 반면에, 주변의 환경이 나날이 악화되는 현대 생활에서 대체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어서,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많은 기기가 다양한 상품으로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중에서 저주파 치료기(低周波 治療機 ; low frequency therapier) 또는 저주파 자극기(低周波 刺戟機 ; low frequency stimulator)라고 불리우는 장치는 저주파 발생장치(發生裝置)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도자(導子)라고 불리우는 도전성 패드(導電性 pad ; 이하 도자패드라 칭함)를 통하여 인체의 특정부위를 자극함으로써 통증이나 비만을 물리적으로 치료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인체에는 다수의 경혈들이 있고, 이러한 경혈점에 지압이나 마사지에 의해 자극을주면 자극부위에서 인체의 반응이 활성화되면서 각종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통증완화 및 혈액순환 장애 개선 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자침과 같은 저주파 자극 장치가 이러한 경혈점을 자극하는 치료기로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 장치는 지방세포와 지방세포 내의 지질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신체의 국부적인 생리적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오토 텐스(auto TENS) 기능과 오토 펄스(pulse) 기능에 의해, 근육계와 신경계에 펄스파, 롤링파, 오토파 등의 전기자극을 가해 진동, 문지름, 두드림, 누름, 신축 등의 다양한 물리적 요법의 특성으로 신경 치료와 근육 수축 운동을 행하면서 비만해소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때 전기적 자극으로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는 항염증 효과(anti-inflammatory effect), 주울 효과(Joule-effect), 전해질과 에너지 효과(Electrolytic and energy effect). 신경 호르몬 효과(neuro-hormonal effect)를 수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주파 자극 장치들은 등록특허 제135345호 "발바닥용 저주파 치료기"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자패드가 2개로 이루어진 단순형 저주파 자극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단순형은 신체의 특정부위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등록실용 제261415호(출원일 2001년 10월 19일)의 "다이어트용 저주파 자극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해결 방법으로 벨트의 내면에 한쌍의 도자패드 만을 부착하고 배와 허리에 걸쳐 착용하고, 벨트를 신체의 등부분에서 벨크로 패스너(Velcro fastner)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벨트형 전기 자극기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벨트의 체결부위가 등부분에 위치되도록 장치가 구성되어, 손을 몸의 뒤로 돌려 등부분의 비가시 영역에서 벨트를 체결하여 도자패드를 신체에 착용시켜야 하므로 체결이 매우 불편하고, 벨트를 신체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없어서 많은 경우에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제대호 체결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단점이 많다.
또한 도자패드가 벨트에 단순히 평편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체결한 후 신체에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여 저주파 전류가 불규칙하게 통전되므로 전기 자극 효과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국소전류가 가해져 따끔거리는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도자패드가 벨트 내면의 복부 부위에 단순히 1쌍 내지 2쌍만 부착되어 있어 복부치료 위주(다면적 접촉이 아닌 단순면 접촉)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채널 모드의 구동방식에 의해 복부와 허리 및 등부분을 모두 함께 체계적으로 다양하게 자극할 수 없어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복합적인 치료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남녀노소 별로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치료부위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도자패드의 크기와 위치가 일률적 구성되어 있어 도자패드의 간격을 세밀하게 적절히 조절할 수 없고 전체 벨트의 길이를 폭 넓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 벨트의 소재를 실리콘 고무시트와 같은 무거운 벨트재료에 도전성 실리콘 패드재를 성형하여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가공된 금속재 도자를 기계적 방식으로 부착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개수와 중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벨트형 전기 자극기의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복부용 도자패드, 요부용 도자패드 및 등부분용 도자패드; 상기 도자패드들이 부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벨트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후면 조절부; 및 상기 도자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는 상기 벨트부 상에 소정의 배열방식으로 부착되어 복수의 인체 피부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후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인체에 착용된 후 상기 체결부에 의해 복부의 전면에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체의 자극 대상 부위에 적합하도록 유연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어떠한 벨트용 소재에도 봉접(縫接) 또는 접착식 방법으로 부착시킬수 있는 유연하고 경량인 도자패드를 구비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자패드의 피부 접촉강도를 증대하기 위하여 도자패드를 피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도자패드를 상기 벨트에 부착하여 다채널 모드의 자극 방식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복부운동과 함께, 허리와 등부분이 상호 연관된 복합적인 자극효과 및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궁극적인 목적은 결국, 사용자가 전기 자극 벨트를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적절히 가변시켜 인체의 복부전면에서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게 하고, 도자패드가 피부에 강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 실시예의 벨트부 반대면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등부분 벨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후면 조절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벨트부에 있어서, 후면 조절부의 다른 구성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자패드를 밀어주는 푸시부에 대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자패드를 밀어주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면 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벨트부 120 : 체결수단
130 : 도자패드 132 : 복부용 도자패드
134 : 요부용 도자패드 136 : 등부분용 도자패드
140 : 후면 조절부 150 : 연결 케이블
160 : 연결부 200 : 전기신호 발생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100)는 인체에 착용되는 벨트부(110), 상기 벨트부(110)를 인체에 착용하여 고정시키도록 체결하는 체결부(120), 상기 벨트부(120) 상에 부착되는 다수의 도자패드(130),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130)가 부착되는 상기 벨트부(12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후면 조절부(140) 및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130)에 전기 자극 전류를 전달하는 연결케이블(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10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신체의 복부, 허리 및 등부분을 감싸는 벨트부(110)를 신체에 착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이를 견고히 체결하는 체결부(120)를 포함하며 이 체결부(120)는 한 쌍의 체결부재(122,124)를 구비한다. 체결부재(122,124)는 자유자재로 길이조절이 용이한 벨크로 패스너(Velcro fastner) 방식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찍찍이, 또는 매직테이프로 불리우는 벨크로 패스너는 루프부재(122)와후크부재(124)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재 간 위치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재(122, 124)는 루프부재와 후크부재의 어느 하나에 각각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20)은 예를 들면, 혁대나 멜빵에 쓰이는 버클조절 방법과 같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에 의한 기타 체결방법도 가능하다. 벨트부(110)에는 다수의 도자패드(130)가 소정의 배열 방식에 의해 복부, 허리, 등부분의 각 부위 별로 나누어 배열된 후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들 복수의 도자패드(130)는 복부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복부용 도자패드(132)쌍, 허리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요부용 도자패드(134)쌍 및 등부분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등부분용 도자패드(136)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대체로 상기 벨트부(110)의 내피(112) 표면에 견고히 부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130)들이 벨트부(110)에 부착되는 방식은 실박음질에 의한 봉접(縫接)방식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 상기 도자패드(130)들을 접착제 접착방식, 열프레스에 의한 열융착 방식 또는 초음파 융착 방식 등 기타 적절한 방식으로 벨트부(110)의 내피(112)에 부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신체의 피부나 근육을 전기적으로 자극하기 위해서 전기 에너지를 특정 패턴으로 변환하여 발생시키는 저주파와 같은 전기신호 발생장치(200)가 필요하다. 상기 전기 신호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된 특정 패턴의 전기적 신호는 적절한 세기의 전류로 제어되어 연결케이블(150)을 통해 도자패드(132,134,136)에 공급된다. 상기 벨트부(110)는 땀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더러워지지 않도록 가볍고 부드러운 방수처리된 직물을 이용하여 외피와 내피의 겹으로 봉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처리된 직물이 아닌 가죽이나 기타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고무 소재 등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예시된 상기 도자패드(130)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 소재를 부드러운 가요성 박판형으로 성형하여 전극판부재를 만들어, 이 전극판부재가 피부와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주고자 하는 부분(도자패드(130)의 빗금친 부분이며 실제로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유효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영역(상기 도자패드(13)의 빗금친 유효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예를 들면,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부전도성(不電導性) 피막을 입혀 절연피복층을 형성하여 절연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전도성 피막은 절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피복층은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하지 않고, 별도의 절연피복층을 성형하여 만든 후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전극판부재에 접합시킬 수 있다. 도자패드(132,134,136)들은 벨트부(110) 내피의 정해진 위치에 배열하여 봉접한 후에 적절한 전기적 결합부재에 의한 연결방식, 예를 들면, 리벳 또는 아이레트(eyelet)와 단자링과 같은 구성요소를 사용한 연결방식에 의하여 벨트부(110)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직물의 사이에 배열된 도선(미도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남녀노소에 따라 체형의 차이가 많으므로, 상기 벨트부(110)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도자패드 쌍도 사용자의 신체규격에 맞추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등부분 도자패드(136)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벨트부(110)의 일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후면 조절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벨크로 패스너(142,144)로 적절히 가변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벨트부(110)를 양분하여 분리한 후 한편의 벨트부 단부에 벨크로 패스너 일측부재를 봉접하고, 다른 한편의 벨트부에 벨크로 패스너의 타측부재를 봉접하여 등부분에 위치하는 후면에서 벨크로 패스너(124,126)로 간격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자패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된 "U"자형 또는 "C"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160)를 양분된 벨트부 사이에 구비하여 이 연결부(160)의 내부로 도선이 통과하므로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다. 연결부(160)는 방수처리된 직물이나 유연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이 있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남녀노소의 체형에 맞추어 도자패드(134) 간의 간격을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벨트부(110)를 신체에 착용한 후 이에 부착된 도자패드(130)가 피부에 정확히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자극이 효율적으로 보장되고 접촉성이 양호하도록 도자패드(130)를 피부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푸시부(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140)는 예를 들면, 탄성이 좋은 합성수지, 스폰지, 및 고무소재를 사용하여, 중앙부위가 볼록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벨트부(110)의 직물(112) 내면에서 도자패드의 뒷면을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부(140)는 도 6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쿠션(air cushion) 방식을 이용하여 공기의 탄성으로 벨트부에 부착되어 있는 도자패드를 항상 피부방향으로 확실히 밀착되도록 유지되는 에어쿠션 푸시부(14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판스프링 방식의 푸시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는 저주파 자극부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 자극부 및 열선과 같은 발열수단을 내장한 온열자극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력선에 의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석 자극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는 다수의 도자패드(132,134,136)를 복부, 요부, 배부(背部)에 두루 갖추고 있으므로, 복합적인 다채널 구동 제어 모드로 복부 허리 및 척추를 포함한 등부분에 골고루 신경 치료와 근육 운동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신호 발생장치(200)의 프로그램을 임의로 가변하여 순차적 또는 반복적으로 전기신호의 모드를 다양하게 조합하고 변화시켜 가장 효율적인 치료와 운동을 통하여 복부 비만 등을 제거하고,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복부에 2쌍의 도자패드를 채용하여 4채널, 허리부에 1쌍의 도자패드를 채용하여 2채널, 등부분에 1쌍의 도자패드를 하나의 벨트부에 채용하여 2채널로 구성함으로써 8채널, 또는 10채널 이상의 다채널 방식의 다양한 구동 모드로 복부, 허리부, 등, 척추 등을 하나의 일체형 자극 장치에 의해 체계적으로 동시에 치료하거나 운동시켜줌으로써, 치료와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타인의 도움이 없이 사용자의 신체 전면에서 직접 본 고안의 벨트(100)를 스스로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7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도자패드를 8개 부착한 8채널 구동모드의 전기자극 벨트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도자패드의 형상과 수량은 필요에 따라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가감하여 각 부위별로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벨트(100)는 복부와 허리 둘레에 착용하는 예를 들어 주로 설명하였으나, 인체의 다른 부위 즉, 허벅지 또는 종아리에 착용하여 해당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도록 벨트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 자극 벨트는 피부미용 관리에 사용되는 초음파 마사지기, 갈바닉 이온형 마사지기, 페이스 리프터(face lifter)와 같은 안면근육 강화기, 및 바이오 치료주파 발생기 등을 구비하는 복합 미용기구에 함께 포함시켜 종합미용관리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예시되었으나, 그러한 실시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되는 도면들은 설명 목적만을 위한 것이므로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축척(scale)과 구성요소의 위치가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및 균등물을 포함한 유사한 구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를 제공함으로써, 다채널 방식의 다양한 구동 모드로 복부, 허리부, 등, 척추 등을 하나의 일체형 자극 장치에 의해 다면적으로 동시에 치료하거나 운동시킴으로써, 치료와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복부용 도자패드, 요부용 도자패드 및 등부분용 도자패드;
    상기 도자패드들이 부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벨트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후면 조절부; 및
    상기 도자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는 상기 벨트부 상에 소정의 배열방식으로 부착되어 복수의 인체 피부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후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인체에 착용된 후 상기 체결부에 의해 복부의 전면에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가 상기 벨트부에 봉접식으로 부착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를 피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싱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자패드에 다수 채널 자극 방식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부여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에 초음파 자극부, 자석 자극부 및 온열 발생부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구비되는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KR20-2004-0007148U 2004-03-16 2004-03-16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KR200353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48U KR200353609Y1 (ko) 2004-03-16 2004-03-16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48U KR200353609Y1 (ko) 2004-03-16 2004-03-16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609Y1 true KR200353609Y1 (ko) 2004-06-18

Family

ID=4943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148U KR200353609Y1 (ko) 2004-03-16 2004-03-16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6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109A (ko) 2016-12-12 2018-06-20 박종식 부항 일체형 전기마사지기
KR20200123056A (ko) * 2017-12-19 2020-10-28 박성하 의료용 장갑 및 의료용 장갑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109A (ko) 2016-12-12 2018-06-20 박종식 부항 일체형 전기마사지기
KR20200123056A (ko) * 2017-12-19 2020-10-28 박성하 의료용 장갑 및 의료용 장갑 제조방법
KR102370274B1 (ko) * 2017-12-19 2022-03-03 박성하 의료용 장갑 및 의료용 장갑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363B2 (en) Neurostimulation for treating pain, improving function and other nervous system related conditions
KR101628804B1 (ko) 근육 운동용 저주파 자극기
US20090048642A1 (en) Neurostimulation
US20060085056A1 (en) Method and means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cutaneous sensory receptors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US20100318009A1 (en) Therapeutic device that provides stimulation to an immobilized extremity
GB252124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urostimulating devices for treating pain, improving function and other nervous system related conditions.
KR20190042394A (ko) 저주파 마사지기
KR20090098541A (ko)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KR101527137B1 (ko) 전기자극용 패드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KR20110035377A (ko) 시변자기장을 이용하는 복부패드
KR20200067637A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근육 마사지 장치
KR200353609Y1 (ko) 다면접촉식 일체형 전기 자극 벨트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CN110693689A (zh) 基于靶向调控的头皮神经康复训练装置及其训练方法
US201703606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physical discomfort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CN211750950U (zh) 基于靶向调控的头皮神经康复训练装置
WO200709660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urostimulation
CN109200462B (zh) 一种用于增强运动表现的经颅直流电刺激装置和方法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339987Y1 (ko) 물리치료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