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91Y1 -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91Y1
KR200351791Y1 KR20-2004-0006553U KR20040006553U KR200351791Y1 KR 200351791 Y1 KR200351791 Y1 KR 200351791Y1 KR 20040006553 U KR20040006553 U KR 20040006553U KR 200351791 Y1 KR200351791 Y1 KR 200351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breathing
cover plate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환
Original Assignee
김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환 filed Critical 김인환
Priority to KR20-2004-0006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나 각종 재난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비상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각함체상의 본체 상부에 통공이 형성된 덮개판을 형성하고, 그 하부 내측에는 부직포 및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 활성탄, 부직포를 순차 형성하며, 마우스피스측과 근접된 본체 일측에는 승강구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통로를 복수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함으로서,
상측 전면의 덮개판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므로 충분한 호흡공기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배출을 가능케하여 보다 원활한 호흡을 가능케 하고, 다층의 정화층에 의해 오염공기의 정화능력을 배가시키며, 비교적 단순하고 간결한 구성에 의해 휴대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켜 매우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Potable breath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funtion}
본 고안은 화재나 각종 재난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비상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흡을 용이케 하면서도 정화작용이 뛰어난 것이다.
화재 발생시 대부분의 인명피해는 불에 의한 직접적인 인체 손상에 의한 것 보다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장애가 주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나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각종 마스크나 방독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물지로 된 마스크는 연기나 유독가스를 정화 차단하는 기능이 미약하여 인명의 보호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방독면은 연기나 유독가스의 차단 및 공기정화기능은 뛰어나지만 그 크기가 너무 커서 일반인들이 휴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가이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파이프상의 본체내에 공기정화용 필터체를 내장한 비상 호흡기를 구성하여, 비상시 이를 입에 물고 필터체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휴대용 비상 호흡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용 비상 호흡기는 단순히 파이프상의 본체내에 공기정화용 필터를 내장하여 이 필터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본체를 입에 물때 본체와 입술간에 틈새가 형성되기 쉬워 이 틈새를 통해 정화되지 않은 유독가스가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인체내의 공기 배출시에도 본체내의 필터를 통과시켜 배출하거나 입술을 벌려 호흡하여야 하므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매우 불편한 것이며, 호흡기의 사용시 코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코를 손으로 쥐거나 의식적으로 코를 이용한 호흡을 멈춰야 하는 번거로움 및 사용중 입으로부터 호흡기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21106호와 같이, 입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 이탈방지수단과, 인체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 입술과 본체간의 틈새 및 콧구멍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수단, 조명수단을각각 구성한 비상 호흡기를 제안하여, 이에 의해 공기의 정화작용이 뛰어나면서도 호흡을 용이케 하며, 사용중의 이탈 방지는 물론 어두운 장소에서도 대피로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한 비상 호흡기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호흡기는 다층의 필터체가 내장된 종방향의 호흡통로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야 하므로 그 호흡에 큰 어려움이 있으며, 배출시에도 좁은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하여야 하므로 원환한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며, 회전되는 후레쉬 및 각기 분할된 코마개 등 불필요한 구성 및 복잡한 구성에 의해 사용시 번거롭거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각함체상의 본체 상부에 통공이 형성된 덮개판을 형성하고, 그 하부 내측에는 부직포,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 활성탄, 부직포를 순차 적층하며, 마우스피스측과 근접된 본체 일측에는 승강구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통로를 복수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함으로서,
상측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므로 충분한 호흡공기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배출을 가능케하여 보다 원활한 호흡을 가능케 하고, 다층의 정화층에 의해 오염공기의 정화능력을 배가시키며, 비교적 단순하고 간결한 구성에 의해 휴대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켜 매우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결합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측단면도로서,
도 3a는 비상 호흡기의 종방항 중앙부 단면도
도 3b는 비상 호흡기의 종방향 측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작동설명도로서,
도 4a는 흡입시 작동도
도 4b는 배출시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사용상태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2' : 통공
3 : 격벽 4 : 호흡통로
5 : 안치요홈 6 : 삽입요홈조
7 : 통기공 8 : 덮개판
9 : 부직포 10 :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
11 : 활성탄 ` 12 : 부직포
13 : 배터리 14 : 발광다이오드
15 : 조명커버 16 : 코마개
17 : 마우스피스 18 : 배출통로
19 : 개폐구 20 : 배출커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비상 호흡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a는 비상 호흡기의 종방항 중앙부 단면도, 도 3b는 비상 호흡기의 종방향 측부 단면도이다.
본체(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통공(2)(2')을 갖는 횡상의 격벽(3)에 의해 하측으로 호흡통로(4)와 상측으로 안치요홈(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한 안치요홈(5)의 주연에는 삽입요홈조(6)를 형성하여 이에 전면에 통기공(7)이 형성된 덮개판(8)을 결합하되,
덮개판(8)과 안치요홈(5)의 공간에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부직포(9),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10), 활성탄(11), 부직포(12)를 순차 적층하고,
본체(1)의 일측면에는 배터리(13)와 발광다이오드(14)를 갖는 조명커버(15)를 결합하고, 본체(1)의 타측면에는 코마개(16)가 삽탈되는 마우스피스(17)를 결합하며,
상기한 본체(1)의 상부에는 상기 호흡통로(4)와 연통된 배출통로(18)를 형성하여, 그 배출통로(18)에는 승강되는 개폐구(19) 및 배출커버(20)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의 종방향 단면도와 같이, 본 고안 비상 호흡기는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횡상의 격벽(3)에 의해 하부 호흡통로(4)와 상부 안치요홈(5)으로 분할되어 상기 안치요홈(5)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격벽(3)의 통공(2)(2')을 통해 호흡통로(4)로 유입되어 본체(1) 일측의 마우스피스(17)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한 안치요홈(5)에는 그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부직포(9),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10), 활성탄(11), 부직포(12)가 순차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부직포(9)에 의해서는 유입되는 이물질 및 분진이 걸러지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그 하부의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10)는 일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하부의 활성탄은 흡입공기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물질 및 분진 등을 재차 정화되게 하면서도 이를 통과하는 잔여분진 등은 그 하측의 부직포(12)에 의해 또다시 정화되므로 호흡통로(4)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정화상태를 갖는 공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입공기는 사용자의 구강호흡에 의해 마우스피스(17)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입되어 호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공기의 배출시에는 역시 마우스피스(17)를 통해 내뿜어진 공기가 호흡통로(4)로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배출이 쉬운배출통로(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도 4b의 도시와 같이 마우스피스(17)를 통해 배출된 호흡공기는 그 호흡통로(4)로 배출되어 상대적으로 용이한 배출로를 갖는 배출통로(18)로 우선 배출되는데, 다양한 부직포(9)(12) 및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10), 활성탄(11)이 적층된 유입측보다는 아무런 장해요소가 없는 배출통로(18)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한 배출통로(18)에는 승강되는 개폐구(19)가 삽입되어 있어, 외부공기의 유입시에는 유입방향에 따라 그 개폐구(19)가 하향압압력을 받게 되므로 그 배출통로(18)로는 외부공기의 유입이 되지 않고, 반대로 호흡배출시에는 호흡통로(4)를 통해 압력의 호흡공기가 상기한 개폐구(19)를 상승시켜 그 배출통로(18)를 개방시키므로 배출커버(20)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마우스피스(17)를 입에 물고 구강호흡을 하게 되면 넓은 면적의 덮개판(8)에 형성된 통기공(7)을 통해 다량의 외부공기가 정화유입되는 것이며, 호흡의 배출시에는 사용자의 입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 배출통로(18)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마우스피스(17)에는 별도의 코마개(16)가 삽입되어 있어 비상 호흡시 그 코마개(16)를 마우스피스(17)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코를 막아 무의식중에 코를 통한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본체(1)의 타측면에 결합된 조명커버(15)에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4)가 배터리(1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한 발광다이오드(14)를 통해 소정 거리의 시야확보 및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염된 외부공기의 탁월한 정화능력은 물론 보다 수월한 호흡을 가능케 하므로 비상시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보다 용이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는, 상측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므로 충분한 호흡공기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배출을 가능케하여 보다 원활한 호흡을 가능케 하고, 다층의 정화층에 의해 오염공기의 정화능력을 배가시키며, 비교적 단순하고 간결한 구성에 의해 휴대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켜 매우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통공(2)(2')을 갖는 횡상의 격벽(3)에 의해 하측으로 호흡통로(4)와 상측으로 안치요홈(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한 안치요홈(5)의 주연에는 삽입요홈조(6)를 형성하여 이에 전면에 통기공(7)이 형성된 덮개판(8)을 결합하되,
    덮개판(8)과 안치요홈(5)의 공간에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부직포(9), 호프카라이트 카트리지(10), 활성탄(11), 부직포(12)를 순차 적층하고,
    본체(1)의 일측면에는 배터리(13)와 발광다이오드(14)를 갖는 조명커버(15)를 결합하고, 본체(1)의 타측면에는 코마개(16)가 삽탈되는 마우스피스(17)를 결합하며,
    상기한 본체(1)의 상부에는 상기 호흡통로(4)와 연통된 배출통로(18)를 형성하여, 그 배출통로(18)에는 승강되는 개폐구(19) 및 배출커버(20)를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20-2004-0006553U 2004-03-11 2004-03-11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200351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53U KR200351791Y1 (ko) 2004-03-11 2004-03-11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53U KR200351791Y1 (ko) 2004-03-11 2004-03-11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791Y1 true KR200351791Y1 (ko) 2004-05-28

Family

ID=4934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553U KR200351791Y1 (ko) 2004-03-11 2004-03-11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33B1 (ko) 2013-01-31 2013-08-07 이정식 구난호흡기
WO2015023033A1 (ko) * 2013-08-12 2015-02-19 Sheen Cheol 휴대용 미니 마스크 장치
KR102052952B1 (ko) * 2019-05-02 2020-01-08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33B1 (ko) 2013-01-31 2013-08-07 이정식 구난호흡기
WO2015023033A1 (ko) * 2013-08-12 2015-02-19 Sheen Cheol 휴대용 미니 마스크 장치
KR102052952B1 (ko) * 2019-05-02 2020-01-08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24169B2 (en) Respirators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KR102036025B1 (ko)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WO2003035181A1 (en) Inhalation protection apparatuses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US8066005B2 (en) Complex respirator
CN104757711B (zh) 防护型环保口罩
KR102301192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20180002283A (ko) 웨어러블 공기 정화 겸 가습장치
KR100579691B1 (ko) 휴대용 다용도 방연/방독 마스크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200351791Y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호흡기
KR100519464B1 (ko)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CN207167846U (zh) 一种口罩
KR101540231B1 (ko) 분리형 가스 정화 장치
KR200285213Y1 (ko) 삽입형 간이 마스크 장치
KR100932838B1 (ko)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CN105105369B (zh) 液体过滤式口罩
KR100641710B1 (ko) 다기능성 마스크
KR101641635B1 (ko) 가스 정화 장치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101461173B1 (ko) 코마스크와 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GB2105177A (en) A head and face protecting hood
KR200351789Y1 (ko) 휴대용 비상호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