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53Y1 -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 Google Patents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53Y1
KR200351753Y1 KR20-2004-0004846U KR20040004846U KR200351753Y1 KR 200351753 Y1 KR200351753 Y1 KR 200351753Y1 KR 20040004846 U KR20040004846 U KR 20040004846U KR 200351753 Y1 KR200351753 Y1 KR 200351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
ratchet lever
lever
strap
sports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오상
Original Assignee
유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상 filed Critical 유오상
Priority to KR20-2004-0004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trap, e.g. ratchet strap
    • A43C11/148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trap, e.g. ratchet strap characterised by special protection means to prevent damage or accidental loosening of th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단순화와 외형 축소에 따른 의장감 개선, 및 클로오에 의한 스트랩의 잠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기판에 스트랩을 1피치씩 끌어당겨 조이는 래칫 레버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1피치씩 조여드는 스트랩의 톱니마다 거는 방향으로 쏠리게 한 클로오를 단일 기판에 수용하여 버클의 구조단순화와 외형 축소 및 의장감을 높이고, 복귀한 래칫 레버가 클로오를 눌러 스트랩을 건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게 구성한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Ratchet lever type buckle for sports sho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나 몰드 스케이트화, 스노우 보드나 스키용 부츠와 같이 주로 경질 스포츠화에 장착하는 래칫 레버-클로오(스토퍼)형 버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조단순화와 클로오에 의한 스트랩의 잠금기능 강화를 도모한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은 결착끈의 불편을 덜고, 나아가 조임능력에 한계가 있어 다소 불편하게 느껴지던 암·수부재형 결착구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이 보다 진일보된 버클로는 실용신안공보 제179904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의 버클은 스트랩 긴장용 래칫 레버와 스트랩의 톱니를 걸고 또는 톱니 걸림을 해제하는 클로오가 분리되어 있으며, 스포츠화에는 일렬로 배열시켜 부착하게 된다.
래칫 레버와 클로오가 분리되면 스포츠화에 고정되는 기판이 2개 소요되므로 자재와 금형 및 조립비용이 증가하고, 외형도 늘어나 스포츠화 상에서의 점유면적이 클 뿐 아니라 버클이 부착된 스포츠화의 겉모양도 투박스럽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단순화와 외형 축소에 따른 의장감의 개선, 및 클로오에 의한 스트랩의 잠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 과제는, 단일 기판에 스트랩을 1피치씩 끌어당겨 조이는 래칫 레버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1피치씩 조여드는 스트랩의 톱니마다 거는 방향으로 쏠리게 한 클로오를 단일 기판에 수용하여 버클의 구조단순화와 외형 축소 및 의장감을 높이고, 복귀한 래칫 레버가 클로오를 눌러 스트랩을 건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게 한 스포츠화용 래칫-복수 클로오형 버클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스트랩이 삽인된 상태로 나타낸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 3은 스트랩이 잠가진 상태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4는 래칫 레버를 조작하여 스트랩을 피치 이동시킬 때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5는 클로오를 눌러 스트랩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6은 인라인 스케이트화에 본 고안이 적용된 경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11: 레버 돌쩌귀
12: 클로오 돌쩌귀 20: 래칫 레버
23: 견인턱 24: (노브의) 저면
25: 레버 스프링 30: 클로오
33: 걸림턱 34: 클로오 스프링
40: 레버축 50: 클로오축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복수 클로오형 버클은 단일 기판(10)과 래칫 레버(20), 클로오(30)로 이뤄진다. 도면 부호 (11)은 레버 돌쩌귀, (12)는 클로오 돌쩌귀, (40)은 레버축, (50)는 클로오축, (60)은 스트랩, (61)은 톱니, (62)는 스트랩의 선단을 표시한다.
도 2에서, 기판(10)은 래칫 레버(20)를 설치하기 위한 선단의 레버 돌쩌귀(11)와 클로오 설치용 후단의 클로오 돌쩌귀(12) 및 판면의 대스포츠화용 부착공(13)을 가진 것이다.
래칫 레버(20)는 기판(10)에 평행하게 접힌 상태에서 기판(10)의 정해진 각도만큼 위쪽으로 제칠 때마다 기판(10)과 래칫 레버(20) 사이에 끼워진 스트랩(60)을 1피치씩 끌어 당겨 조이는 것으로, 손가락 끝으로 걸어 당기는 노브(21)와, 이 노브(21)의 반대쪽에 위치해 레버 돌쩌귀(11)의 축공(11a)에 부합하는 축공(22), 및 상기 축공(22)의 외곽에 위치하여 스트랩(60)의 톱니(61)를 1피치씩 끌어당길때 쓰이는 견인턱(23)이 한 몸체를 이룬다. 상기 노브(21)의 저면(24)은 래칫 레버(20)가 복귀한 상태에서 스트랩(60)의 톱니(61)에 걸린 클로오(30)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시킬 있게 걸림턱(33) 위를 눌러주게 한다.
클로오(30)는 클로오 돌쩌귀(12)의 축공(12a)에 부합하는 축공(31)과, 축공(31)의 앞쪽에 위치하는 노브(32) 그리고 축공(31)의 후단에 위치하는 걸림턱(33)이 한 몸체를 이룬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지 아니한 도면 부호 (25)는 래칫 레버(20)와 함께 레버축(40)에 축설치되어 래칫 레버(20)가 항상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레버 스프링, (34)는 클로오(30)와 함께 클로오축(50)에 설치되어 클로오(30)가 항상 복귀 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클로오 스프링이다.
조립은 다음 순서로 진행한다. 먼저, 한쪽 레버 돌쩌귀(11)의 축공(11a)에 레버축(40)의 선단을 끼워 넣고, 축공(11a)의 안쪽으로 들어 간 레버축(40) 부분에 레버 스프링(25)과 그것의 양쪽 축공 사이에 끼워진 축공(22)을 끼운 다음에 반대편 축공(11a)을 관통시키고, 반대편 축공(11a) 외측에서 코킹 등의 방법으로 레버축(40)의 선단을 마무리하여 되빠지지 않게 한다.
래칫 레버(20)를 위로 완전히 제친 상태에서 이번에는 클로오 돌쩌귀(12)의 축공(12a)으로 클로오축(50)의 선단을 끼워 넣고, 상기 축공(12a)의 안쪽으로 들어 간 클로오축(50) 부분에 일측 클로오 스프링(34)과 클로오(30), 반대편 클로오 스프링(34)의 순으로 끼운 다음에 반대편 클로오 돌쩌귀(12)의 축공(12a)으로 클로오축(50)의 선단을 관통시켜 코킹 등의 방법으로 되빠지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조립하고 래칫 레버(20)에서 손을 떼면 래칫 레버(20)는 레버 스프링(25)에 의해 복귀하여 노브(21)가 클로오(30)의 걸림턱(33)쪽 윗부분을 누르게 된다.
이 버클에 스트랩(60)을 조립하려면, 먼저 위쪽으로 래칫 레버(20)를 완전히 제친다. 그러면 견인턱(23)이 들려서 톱니(61)에 거치적거리지 않는 상태로 반전되고 레버 스프링(25)은 탄력적으로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랩(60)의 선단(62)을 견인턱(23)쪽 밑으로 들이민다. 이때, 클로오(30)는 톱니(61) 하나가 걸림턱(33) 밑을 통과할 때마다 크리크음을 내면서 일시적으로 들렸다가 그 톱니(61)가 지나가고 나면 클로오 스프링(34)에 의해 즉시 복귀하여 당해 톱니(61)의 뒤를 걸게 된다. 스트랩(60)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된 후 래칫 레버(20)에서 손을 뗀다. 그러면 래칫 레버(20)는 레버 스프링(24)의 팽창성 탄력에 의해 복귀하고, 이에 따라 견인턱(23)은 당해 위치의 톱니(61)를 걸고 노브(21)는 클로오(30)를 눌러 걸림턱(33)에 걸린 톱니(61)를 안정시킨다. 그러나 래칫 레버(20)의 견인턱(23)은 톱니(51) 위로 떨어져 있으므로 톱니(61)가 거치적 거리지 않는다(도 3).
도 4와 같이 래칫 레버(20)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위쪽으로 완전히 제친다. 이 과정에서 견인턱(23)은 래칫 레버(20)의 선회각도에 부응하여 톱니(61)를 1피치 끌어 당긴다. 이때도 클로오(30)는 스트랩(60)의 톱니(61)가 1피치 이동할 때의 힘에 클로오 스프링(36)의 탄력을 이기고 톱니 하나가 지나갈 때마다 걸림턱(33)이 일시적으로 들렸다가 당해 톱니가 지나가는 즉시 클로오 스프링(34)에 의해 복귀하여 그 톱니(61)의 뒤를 걸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랩(60)을 1피치 조인 후 래칫레버(20)를 내리면 도 3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조작을 되풀이하여 원하는 만큼 스트랩(60)을 조여서 버클이 장착된 스포츠화의 착용상태를 긴장시키는 것이다.
한편, 래칫 레버(20)가 복귀한 상태에서 어느 때고 스트랩(60)을 풀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클로오(30)의 노브(32)를 손가락끝으로 눌러서 걸림턱(33)이 들리게 해 걸고 있던 톱니(61)를 떠나게 한다. 래칫 레버(20)의 견인턱(23)은 톱니(61)에 걸리지 않은 상태다. 이렇게 걸림턱(33)에 의한 톱니(61)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크랩(60)의 후단을 잡아당기면 결착이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은 단일 기판에 스트랩을 1피치씩 끌어당겨 조이는 래칫 레버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1피치씩 조여드는 스트랩의 톱니마다 거는 방향으로 쏠리게 한 클로오가 설치됨에 따라 버클의 구조가 단조롭고 외형도 축소되는 데다 의장감도 향상된다. 또, 복귀한 래칫 레버가 클로오를 눌러 스트랩을 건 상태를 안정시켜 스포츠화의 착용상태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준다.

Claims (1)

  1. 레버 돌쩌귀(11)와 클로오 돌쩌귀(12)를 가진 기판(10)과; 복귀 시의 노브(21)가 클로오(30)의 걸림턱(33) 위를 눌러주도록 기판(10)의 레버 돌쩌귀(11)에 레버 스프링(25)과 함께 레버축(40)으로 설치된 견인턱(23) 일체형 래칫 레버(20)와; 스트립(60)의 톱니(61) 잠금용 걸림턱(33) 일체형으로서 클로오 스프링(34)과 함께 클로오축(50)으로 기판(10)의 클로오 돌쩌귀(12)에 설치된 클로오(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클로오형 버클.
KR20-2004-0004846U 2004-02-24 2004-02-24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KR200351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46U KR200351753Y1 (ko) 2004-02-24 2004-02-24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46U KR200351753Y1 (ko) 2004-02-24 2004-02-24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753Y1 true KR200351753Y1 (ko) 2004-06-01

Family

ID=4943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46U KR200351753Y1 (ko) 2004-02-24 2004-02-24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210B2 (en) Locking device for a buckle
US5944337A (en) Automatic binding device
US4761898A (en) Footwear fastener and ski boot equipped therewith
CA2568276C (en) Unit for coupling and releasing the wrist strap to/from the handgrip of a pole for sporting activities like skiing, trekking and the like
US4082312A (en) Cross country ski binding
US6709003B2 (en) Tool free system for adjusting the mounting location of an engagement member
US9351539B2 (en) Controlled release buckle
US8667651B2 (en) Combined diving utensil
US4575955A (en) Shoe, in particular a ski shoe, incorporating a flex and side and forward lean adjustment device
EP0161441A1 (en) Ratchet pawl device for coupling with a serrated strap of a closure lever, particularly for ski boots
US20030141679A1 (en) Easily adjusted skateboard shoe
US4748751A (en) Ski boot with a foot securing device
NO318691B1 (no) Frasparkfremmende anordning for ski
CA2251276A1 (en) Shoe construction providing spring action
AU721825B1 (en) An in-line skate structure
EP3280287B1 (en) Ski boot and strap combination providing enhanced lateral performance
JPS6253161B2 (ko)
US7909352B2 (en) Article including a button which is movable between at least two positions
KR200351753Y1 (ko)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형 버클
EP1228791A3 (en) Snowshoe buckle
NO129236B (ko)
GB2237747A (en) Swimming flipper
US6609276B1 (en) Buckle device for a skate
KR200351754Y1 (ko) 스포츠화용 래칫 레버-복수 클로오형 버클
CH712179A2 (it) Calzatura sportiva, in particolare scarpone da sci o snow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