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673Y1 -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673Y1
KR200351673Y1 KR20-2004-0003980U KR20040003980U KR200351673Y1 KR 200351673 Y1 KR200351673 Y1 KR 200351673Y1 KR 20040003980 U KR20040003980 U KR 20040003980U KR 200351673 Y1 KR200351673 Y1 KR 200351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placement
jack
microphon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우 filed Critical 임선우
Priority to KR20-2004-0003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케이블의 절곡에 따른 동선의 단락으로 케이블 손상이 발생될 때 케이블과 전기기기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도의 교체용 케이블을 형성하는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자, 전기기기에서 본체와 케이블간에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당김과 굴곡에 따라 케이블내의 동선이 쉽게 단락됨으로서 고장을 야기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전자, 전기기기와 연결된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단락이 발생될 때 소정길이로 형성된 교체용케이블로 교체시켜 사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체가 용이하고 저렴한 교체비용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용이하여 제작이 간단함과 함께 접속단자들의 구조에 따라 공지의 잭과 결합이 가능하면서 잭과 결속력이 증가되도록 함으로 수리가 용이한 케이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Shiftable cable for electron and electric machinery and tools}
본 고안은 전자, 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케이블의 절곡에 따른 동선의 단락으로 케이블 손상이 발생될 때 케이블과 전기기기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도의 교체용 케이블을 형성하는 전자, 전기기기용교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의 기술발전에 의하여 전자, 전기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일예로 도시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해소 등의 목적으로 노래방이 선호되면서 많은 직장인들의 노래방 이용이 크게 증가되면서 노래방기기 즉, 마이크의 사용이 많고 또는 서로 먼저 사용할 것을 주장하며 마이크를 당기게 되면서 마이크와 연결된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당김과 굴곡에 따라 케이블내의 동선이 쉽게 단락됨으로서 고장을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단락으로 노래방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서 마이크를 교체하게 되고 이때 고가의 마이크는 고장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마이크와 함께 케이블 전부를 교체함으로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분해하고 케이블선의 단락된 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새롭게 마이크와 연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비전문가인 노래방주인이 할 때에 접속불량이 많고 또는 잘못된 접속으로 노래방기기 전체에 지대한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노래방의 마이크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 전기기기인 카세트의 이어폰, 전원코드 등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음은 주지된바 있다.
전기기기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굴절부에 수지재의 보호관 즉, 슬리브를 성형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보호관과 그 이후에 노출된 케이블의 단부측에서는 상기한 단락이 발생됨으로서 크게 개선되는 효과는극히 미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전자, 전기기기와 연결된 케이블의 최단부에서 단락이 발생될 때 소정길이로 형성된 교체용케이블로 교체시켜 사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체가 용이하고 저렴한 교체비용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용이하여 제작이 간단함과 함께 접속단자들의 구조에 따라 공지의 잭과 결합이 가능하면서 잭과 결속력이 증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중요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마이크에 적용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마이크 20; 마이크소켓 21; 잭소켓
30; 교체용 케이블 31,41; 잭
32; 케이블연결용잭소켓 40; 마이크케이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자, 전기기기 일예로 마이크를 체결하도록 하는 마이크소켓에 콘센트 또는 잭소켓을 구성하고 마이크케이블에는 잭플러그를 구성시켜 소정크기로 구성된 교체용 케이블 양측으로 구성되는 잭 또는 플러그를 구성한 교체용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마이크의 사용 등에 의하여 마이크와 근접된 위치의 케이블이 많은 사용에 따라 굴곡 등으로 케이블내의 동선 단락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교체용 케이블을 분리시키고 새로운 케이블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서 고가의 마이크와 기다란 마이크케이블 전체를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게 됨으로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중요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마이크에 적용하는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전자, 전기기기 일 실시예의 마이크(10)는 마이크본체와 케이블을 연결한 마이크소켓(20)으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이크소켓(20)의 후단부에 접속용 콘센트 또는 잭소켓(21)을 구성하며 상기 잭소켓(21)에 체결되는 플러그 또는 잭(31)을 구성한 소정길이로 형성된 교체용 케이블(30)타단부에는 접속용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교체용 케이블(30)은 가능하면 길이가 작은 것이 경제적이나,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증감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케이블(40)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에 체결되는 플러그 또는 잭(41)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설명에서 플러그와 잭 또는 콘센트와 소켓은 전기, 전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공지된바 있고 그 구성과 용도에 따른 여러 종류를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공지된 연결수단을 본 고안에 적용됨은 물론이며 접속단자도 다극형임은 물론이다.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 상기 도 4에서는 잭과 소켓을 일자형 잭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마이크케이블(40) 단부에 케이블연결용소켓(32)을 구성하고 교체용케이블(30) 상기에 끼워지는 잭(31-1)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교체용케이블(30)은 잭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전후판단 없이 자유롭게 체결할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다.
이러한 잭과 소켓을 관용된 기술에 의하여 기성품의 사용 및 구성이 간단한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마이크에 적용하는 설명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전기기기(이하 일 실시예로 마이크라 함)등에서 전기기와 전원공급용케이블 또는 이어폰, 마이크 등을 이용할 때 기기몸체와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때 본 고안은 마이크(10)에 체결되는 마이크소켓(20)에 본 고안의 양단부에 체결부재가 형성된 교체용케이블(30)을 연결하고 이 교체용케이블(30)에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마이크소켓(20)의 후단부에 구성된 접속용 콘센트 또는 잭소켓(21)에 플러그 또는 잭(31)을 구성한 소정길이로 형성된 교체용 케이블(30)을 연결하고 이 교체용케이블(3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접속용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에는 기존의 길이기 크고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마이크케이블(40)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체용 케이블(30)은 가능하면 길이가 작은 것이 경제적이나,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증감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케이블(40)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에 체결되는 플러그 또는 잭(41)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 잭 소켓(21)과 마이크케이블(40)사이에 소정길이의 별도 케이블이 구성되고 또한 이 케이블은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를 사용함으로서 마이크와 케이블의 접속부위치에서 많이 발생되는 굴곡과 당김 등으로 케이블 내의 동선이 끊어짐으로서 전원의 단락이 발생되어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마이크소켓(20)과 마이크케이블(40)사이에 체결된 교체용케이블(30)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이에 새로운 교체용 케이블(30)을 체결시키게 됨으로 마이크근접부 케이블의 단락에 의한 고장을 간단히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교체용 케이블이 소정길이로 구성되어 적은 비용으로 질좋은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어 고장이 적은 특징과 손쉽게 교체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발휘하는 고안이다.
또한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 잭과 소켓을 일자형 잭으로 구성시켜 마이크케이블(40) 단부에 케이블연결용소켓(32)을 구성하고 교체용케이블(30)에 상기에 끼워지는 잭(31-1)을 구성함으로서 교체용케이블(30)은 잭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여 전후판단 없이 자유롭게 체결할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설명에서 플러그와 잭 또는 콘센트와 소켓은 전기, 전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공지된바 있고 그 구성과 용도에따른 여러 종류를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공지된 연결수단을 본 고안에 적용됨은 물론이며 접속단자도 다극형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전자, 전기기기와 연결하는 소켓과 일체로 소정길이의 케이블을 구성하고 이 케이블 단부에 잭에 체결되는 소켓을 구비한 교체용 케이블을 구성시켜 케이블에서 단락이 발생되는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교체용 케이블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서 기지와 함께 케이블전체를 교체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교체비용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접속단자들의 접속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발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전자, 전기기기의 본체와 케이블을 연결한 마이크소켓(20)에 접속용 잭소켓(21)을 구성함과,
    상기 잭소켓(21)에 체결되는 잭(31)을 구성한 소정길이의 교체용 케이블(30)타단부에 접속용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을 구성한 교체용 케이블(30)과,
    마이크케이블(40)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연결용잭소켓(32)에 체결되는 잭 (41)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KR20-2004-0003980U 2004-02-17 2004-02-17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KR200351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80U KR200351673Y1 (ko) 2004-02-17 2004-02-17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80U KR200351673Y1 (ko) 2004-02-17 2004-02-17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673Y1 true KR200351673Y1 (ko) 2004-06-01

Family

ID=4943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980U KR200351673Y1 (ko) 2004-02-17 2004-02-17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6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9231B2 (en) Switch-equipped input-output plug
JP2008159425A (ja) ジャック
CN106207506A (zh) 一种适用范围广的接线端子及开关插座
US20140073200A1 (en) Power plug
US10020136B2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CN102117987B (zh) 连接器组件
KR101264790B1 (ko) Pcb 결합용 4극 플러그
KR200351673Y1 (ko)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KR200351674Y1 (ko) 전자, 전기기기용 교체 케이블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US8133073B2 (en) Headset and headset cable
US11050169B2 (en) Wiring terminal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WO2018198782A1 (ja) サービスプラグ
JP2006210141A (ja) 電源プラグ
KR200248044Y1 (ko) 어댑터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어댑터
JP2009259419A (ja) コネクター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EP4280390A1 (en) Connector
US11075484B2 (en) Protection sheath structure for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0374519Y1 (ko) 다수개의 소켓이 부착된 파워케이블
KR200343601Y1 (ko)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278419Y1 (ko) 결합기능강화 플러그
KR200245406Y1 (ko) 모터의 커넥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