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566Y1 -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566Y1
KR200351566Y1 KR20-2004-0003573U KR20040003573U KR200351566Y1 KR 200351566 Y1 KR200351566 Y1 KR 200351566Y1 KR 20040003573 U KR20040003573 U KR 20040003573U KR 200351566 Y1 KR200351566 Y1 KR 200351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uilt
product
ou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04-0003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110)를 구성하는 아웃터도어(114)에 보강프레임(128)을 설치하고, 이 보강프레임(128)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힌지브라켓(120)의 일단을 아웃터도어(114)에 설치함과 아울러 타단을 제품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이너도어(112)에 콘트롤패널(116)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품 본체에 설치된 아웃터도어(114)의 내면에 장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도어(110)의 무게가 줄어 제품의 경량화에 부합함과 아울러 도어(11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Door Hinge Structure of Built-in Type Electronic Goods}
본 고안은 붙박이형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힌지구조를 개선하여 이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무게를 절감시키며, 원활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트인 타입(Built-In Type)의 가전제품은, 주방공간 및 인테리어를 고려해 냉장고,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드럼세탁기, 전자레인지, 김치냉장고, 가스오븐, 쿡탑 등이 주로 주방의 싱크대 일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붙박이형의 가전제품들을 말한다.
이러한 붙박이형 가전제품은, 그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측면이 주변의 주방 구조물에 접하여 있기 때문에 측면으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우려도 없으므로 강도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가전제품의 무게를 전반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노출되지 않는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측면에는 갈바니(Galvanic) 강판을 설치하여,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한다.
한편, 이하부터는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그 일례로서 식기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을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보면, 상기 붙박이형 식기건조기(100)는, 외부로 노출된 그 전면에 도어(110)가 소정의 힌지를 개재하여 식기건조기(100)의 측판(1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는, 각각의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이너도어(112)와 아웃터도어(114)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도어(112)의 하부에는 소정의 힌지가 설치되며, 그 외측면 상부에는 식기건조기(100)의 작동을 조절 및 제어하는 콘트롤패널(116)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건조기용 도어(110)는, 식기건조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패널(116)을 이너도어(112)의 외측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너도어(112)의 하부에 소정의 힌지를 설치하고, 이 힌지를 식기건조기(100)의 측판(10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힌지를 식기건조기(100)의측판(102)에 설치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콘트롤패널(116)을 구성하는 민감한 전자소자들이 손상되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트롤패널(116)이 설치된 이너도어(112)의 전면에는 콘트롤패널(116)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전선이 배선된 상태에서 이너도어(112)의 힌지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힌지를 이너도어(11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너도어(112)가 일정한 강성을 지녀야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이너도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틸판으로 형성되고, 힌지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보강판을 개재한 상태에서 힌지를 설치함으로써 도어(110)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도어(110)의 무게가 전체적으로 증가되어, 경량화하고자 하는 제품의 취지와는 상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틸재의 아웃터도어에 힌지브라켓을 설치하여 가전제품의 본체에 힌지시키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이너도어에 콘트롤패널을 설치한 상태에서 아웃터도어에 장착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도어의 무게가 줄어 제품의 경량화에 부합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제품의 일례로 식기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터도어와 힌지브라켓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어가 닫혔을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어가 열렸을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기건조기 102 : 측판
110 : 도어 112 : 이너도어
112a : 테두리부 114 : 아웃터도어
114a : 플랜지부 116 : 콘트롤패널
120 : 힌지브라켓 122 : 마운팅부
122a : 마운팅홀 124 : 힌지공
126 : 걸림부 126a : 걸림턱
126b : 연결공 128 : 보강프레임
130 : 완충수단 132 : 인장스프링
134 : 와이어 136 : 안내롤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는,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터도어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보강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힌지브라켓의 일단을 아웃터도어에 설치함과 아울러 타단을 제품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이너도어에 콘트롤패널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품 본체에 설치된 아웃터도어의 내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은, 아웃터도어에 마운팅되는 마운팅홀을 갖는 마운팅부와, 제품 본체의 측판에 걸림되어 도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힌지공이 천공되어 제품 본체의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제품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과 힌지브라켓의 걸림부에 천공된 연결공에 그 양단이 각각 걸림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인장스프링 사이의 제품 본체의 일측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고자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일례로서 식기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일례로 도시한 식기건조기(100)는, 노출된 그 전면에 도어(1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는, 외측 상부에 콘트롤패널(116)이 장착된 플라스틱재질의 이너도어(112)와, 이너도어(112)가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틸재의 아웃터도어(114)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도어(114)는, 그 외주연이 각각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14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14a)에는 이너도어(112)의 테두리부(112a)가 마운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도어(114) 양측의 플랜지부(114a)에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브라켓(120)이 각각 설치 고정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20)은, 아웃터도어(114)의 플랜지부(114a)내에 삽입되어 마운팅되는 마운팅홀(122a)을 갖는 마운팅부(122)와, 도어(110)의 개방시 식기건조기(100)의 측판(102)에 걸림되어 도어(110)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걸림턱(126a)을 갖는 걸림부(126)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126)에는 후술하는 완충수단(130)의 와이어(134)가 연결되는 연결공(126b)이 천공되며, 상기 마운팅부(122)와 걸림부(126) 사이에는 식기건조기(100)의 측판(1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공(124)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도어(114)에는, 양 플랜지부(114a)에 마운팅된 양편의힌지브라켓(120)을 지지하면서 아웃터도어(114)를 보강하는 스틸재의 보강프레임(128)이 횡설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120)에는 도어(110)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130)이 구성된다.
상기 완충수단(130)은, 식기건조기(100)의 하면에 그 일단이 걸림된 인장스프링(132)이 설치되고, 이 인장스프링(132)과 힌지브라켓(120)의 연결공(126b)에 그 양단이 각각 걸림된 와이어(134)가 설치되며, 이 와이어(134)와 인장스프링(132) 사이의 식기건조기(100) 하면 일측에는 와이어(134)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36)가 구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도어(110)는, 식기건조기(100)의 조립시 힌지브라켓(120)의 마운팅부(122)를 아웃터도어(114)의 플랜지부(114a)에 삽입하여 마운팅하고, 힌지브라켓(120)의 힌지공(124)을 식기건조기(100)의 측판(10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함으로써 아웃터도어(114)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후, 힌지브라켓(120)의 걸림부(126)에 천공된 연결공(126b)에 완충수단(130)의 와이어(134)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아웃터도어(114)를 식기건조기(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에는 별도의 공정으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이너도어(112)의 외측 상면에 콘트롤패널(116)을 설치함과 아울러 콘트롤패널(116)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이너도어(112)상에 배선한 후, 이 이너도어(112)를 아웃터도어(114)의 내측면에 결합고정함으로써 도어(110)의 장착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도어(110)는, 이너도어(112)의 재질변경과 힌지를 위한 별도의 보강판이 생략됨으로써 그 무게가 현저하게 줄어 식기건조기(100)의 경량화에 부합됨과 아울러 아웃터도어(114)의 힌지 결합 후, 콘트롤패널(116)이 설치된 이너도어(112)를 아웃터도어(114)에 결합함으로써 이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도어(110)는, 힌지브라켓(120)에 와이어(134)를 매개로 연결된 인장스프링(132)의 복원력이 도어(110)의 닫힘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이 복원력은 도어(110)의 개방시 일정각도까지는 팽팽한 긴장감으로 제공되다가 도어(110)의 완전 개방시에는 그 자체 힘만으로는 도어(110)를 닫을 수 없을 정도로 상쇄되어 미약해지고, 도어(110)를 닫을 시에는 외력과 더불어 복원력이 작용하여 도어(110)를 힘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폐되는 도어(110)는, 완충수단(130)에 의해서 도어(110)의 과격한 개방이 방지되어 부드럽게 열림과 아울러 닫을 시에는 완충수단(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에 의하면, 이너도어를 플라스틱재질로 변경할 수 있고, 콘트롤패널을 장착한 후에 가전제품에 힌지된 아웃터도어에 결합함으로써 이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도어의 무게가 줄어 제품의 경량화에 부합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110)를 구성하는 아웃터도어(114)에 보강프레임(128)을 설치하고, 이 보강프레임(128)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힌지브라켓(120)의 일단을 아웃터도어(114)에 설치함과 아울러 타단을 제품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이너도어(112)에 콘트롤패널(116)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품 본체에 설치된 아웃터도어(114)의 내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120)은, 아웃터도어(114)에 마운팅되는 마운팅홀(122a)을 갖는 마운팅부(122)와, 제품 본체의 측판(102)에 걸림되어 도어(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126a)을 갖는 걸림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부(122)와 걸림부(126) 사이에는 힌지공(124)이 천공되어 제품 본체의 측판(1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120)에는 도어(110)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130)이 구성되되,
    상기 완충수단(130)은, 제품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스프링(132)과;
    상기 인장스프링(132)과 힌지브라켓(120)의 걸림부(126)에 천공된 연결공(126b)에 그 양단이 각각 걸림된 와이어(134)와;
    상기 와이어(134)와 인장스프링(132) 사이의 제품 본체의 일측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134)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KR20-2004-0003573U 2004-02-12 2004-02-12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KR200351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73U KR200351566Y1 (ko) 2004-02-12 2004-02-12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73U KR200351566Y1 (ko) 2004-02-12 2004-02-12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566Y1 true KR200351566Y1 (ko) 2004-05-27

Family

ID=4943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573U KR200351566Y1 (ko) 2004-02-12 2004-02-12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5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847B2 (en) Drum washing machine
EP2327824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EP2824233A1 (en) Washing machine
US20060059710A1 (en) Drying machine
CN101980649B (zh) 固定式家用电器、尤其洗碗机
KR101084116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WO2014161784A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KR200351566Y1 (ko)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도어 힌지구조
KR100484830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US20110012486A1 (en) Stationary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sher
KR20080008884A (ko) 냉장고 도어핸들
EP2143861B1 (en) Hinge part and household appliance
KR200351567Y1 (ko)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보강구조
KR200388873Y1 (ko) 건축용 호차
KR100511954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100989796B1 (ko) 도어스토퍼
KR20060085812A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지지구조
KR101073901B1 (ko) 건조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구조
KR100479093B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강도 보강 구조
KR100707428B1 (ko) 드럼 세탁기의 케이스
KR20090044736A (ko) 오븐용 도어
KR100851908B1 (ko) 드럼 세탁기
KR200355237Y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브라켓
KR100442273B1 (ko) 가전제품용 핸들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0309588Y1 (ko) 냉장고 상부 도어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