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170Y1 -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170Y1
KR200351170Y1 KR20-2004-0005233U KR20040005233U KR200351170Y1 KR 200351170 Y1 KR200351170 Y1 KR 200351170Y1 KR 20040005233 U KR20040005233 U KR 20040005233U KR 200351170 Y1 KR200351170 Y1 KR 200351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ld
molding
packaging container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구선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생
Priority to KR20-2004-0005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유제품 음료, 주스 등의 액상의 식품을 포장 수납하는 식품포장용기를 압축에어를 통해 성형하는 식품포장용기용 압공성형(Solid phase pressure forming) 장치에 적용되는 몰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성형하는 금형 중 하측 케비티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시켜 금형을 통해 제조되는 포장용기의 하측 외주연에 용기의 적층 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내향으로 요입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 형태가 비돌출 부위가 없이 평활하게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반 정보의 인쇄나 디자인을 부여하는 라벨의 부착을 용기의 전면부 전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디자인 표현에 장애 요인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을 고급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Pressure forming mold for food package}
본 고안은 각종 유제품 음료, 주스 등의 액상의 식품을 포장 수납하는 식품포장용기를 압축에어를 통해 성형하는 식품포장용기용 압공성형(Solid phase pressure forming) 장치에 적용되는 몰드(mold)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성형하는 금형 중 하측 케비티(cavity)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시켜 금형을 통해 제조되는 포장용기의 하측 외주연에 용기의 적층 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내향으로 요입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 형태가 비돌출 부위가 없이 평활하게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반 정보의 인쇄나 디자인을 부여하는 라벨의 부착을 용기의 전면부 전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디자인 표현에 장애 요인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을 고급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음식물 및 드링크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드 및 뚜껑으로 밀봉되어 내용물을 장기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는 합성수지제의 식품용기를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열 성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며,
상기 열 성형은 열가소성수지의 플라스틱 시트(Sheet)를 가열 연화하여 어떤외력에 의해 변형시켜 냉각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으로 그 종류는 진공 에어로만 성형하는 진공성형과, 진공에어와 압축에어로 성형하는 압진공 성형, 압축에어로만 성형하는 압공 성형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압진공 성형이라 함은 높은 온도를 주어 성형하기 때문에 용기가 불투명한 반면 고온에 견디는 내열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공성형이라 함은 상, 하측 금형의 사이에 가열 연화시킨 플라스틱 시트를 밀어 넣고 플러그를 이용하여 압축에어로 눌러 용기의 형상과 일치하는 하측 금형(캐비티 몰드)에 압착시켜 성형하는 방법으로 고투명이 요구되어 지는 제품생산에 이용되어 지는 성형방법이다.
한편 포장용기의 성형 시 내용물을 충진하는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용기를 겹쳤을 때 용기 간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공정상에서 용기간의 분리 이탈이 원활하도록 하여 용기의 자동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용기의 외주면에 걸림턱(Stacking)을 구성하게 되는 바,
기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대부분의 용기(A)의 걸림턱(A")은 금형 제작 공정 및 제품 성형 시 작업상의 어려움 때문에 용기의 상부 측에 한정하여 구성되었으며 보편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걸림턱(A")이 용기(A)의 상부 측에 구성되는 용기는 금형 가공과 성형 방법이 쉬운 반면 라벨이나 인쇄를 용기 표면에 적용 부착시키는 경우 걸림턱(A") 때문에 용기 전체를 커버하는 상태로 부착시키기가 대부분 걸림턱의 바로 밑 부분까지 적용하는 것이어서 미적용 부위인 걸림턱의 상측 부위를 통해 용기안에 담긴 내용물이 보이게 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제품정도의 내용이나 디자인을 표현시키는 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또한 같은 용량의 제품일 경우라도 용기의 직경이 커서 금형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캐비티 몰드의 구조를 변경 개량하여 용기 주면에 걸림턱을 두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지 않고 안으로 요입되도록 하여 걸림턱으로 인해 용기의 표면이 단이 지지 않고 평활하게 함으로써 용기 전체 표면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디자인성을 높이고, 내용물이 보이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위쪽에 걸림턱이 있는 용기에 비해 용기 구경이 작아지므로 같은 생산능력을 가진 금형 제작 시 보다 적은 재료로 제작이 가능하고, 금형 크기와 무게가 줄어들어 운반 및 성형기 탈, 부착이 보다 쉽게 이루어 질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포장용기용 압공성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 몰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 몰드를 분리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통해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식품 포장용기를 용기를 겹쳐 놓았을 때의 단면도 예시도.
도 6은 기존의 식품 포장용기를 겹쳐 놓았을 때의 단면도 예시도.
※ 도면에 표시되어진 기호의 설명 ※
10: 캐비티 몰드 11,12: 상, 하 캐비티
20: 걸림턱 A: 포장용기
A': 걸림턱
도 1은 본 고안의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 몰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를 분리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을 통해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식품 포장용기를 용기를 겹쳐 놓았을 때의 단면도 예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본 고안은 상, 하 캐비티(11),(12)로 결합 구성되는 캐비티 몰드(10) 사이에 가열 연화시킨 플라스틱 시트를 밀어 넣고 플러그(P)를 이용하여 압축에어로 눌러 상, 하 캐비티(11),(12)의 내면에 압착시켜 포장용기(A)를 성형하는 공지의 압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측 캐비티(12)의 내주면에 내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턱(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된 용기의 하측부분에 내향으로 요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공지의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며 포장용기의 성형 시 가열 연화된 시트소재를 공지의 작동 방법과 같이 플러그(P)를 이용하여 압축에어로 눌러 포장 용기의 형상과 일치하는 상, 하 캐비티(11),(12)의 내면에 압착시켜 줌으로써 포장용기(A)를 성형하게 되는 바,
이때 하측 캐비티(12)의 내주면에 밀착 접촉하는 가열 연화된 시트는걸림턱(20)의 표면을 감싸는 상태로 하측 캐비티(12)의 내주면 전체에 피착되어 포장 용기(A)의 하측부를 이루게 되며 상측 캐비티(11)의 내주면에 접하는 가열 연화된 시트는 포장용기의 상부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기의 성형이 완료되면 열 성형 압공성형장치에서 캐비티 몰드(10)내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포장용기(A)가 붙어있는 상태로 캐비티 몰드(10)를 상호 분리시키고 별도의 용기분리구조가 캐비티 몰드(10)에서 포장용기를 분리시켜 내는 것이다.
상기에서 하측 캐비티(12)의 내주면에 구성되는 걸림턱(20)의 수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나 대략 3내지 6개 이내로 구성하게 되며 걸림턱(20)의 형상 또한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성형 후 포장용기(A)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특정부위에 구배를 주게 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포장용기(A)는 걸림턱(A')가 외주면의 내측으로 요입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인쇄나 라벨의 부착 시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뛰어난 사용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용기를 성형하는 금형 중 하측 케비티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포장용기의 하측 외주연에 용기의 적층 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내향으로 요입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 형태가 비돌출 부위가 없이 평활하게 성형되도록 하여제품의 제반 정보의 인쇄나 디자인을 부여하는 라벨의 부착을 용기의 전면부 전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디자인 표현에 장애 요인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디자인성을 높이고, 내용물이 보이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포장용기 위쪽에 걸림턱이 있는 용기에 비해 용기 구경이 작아지므로 같은 생산능력을 가진 금형 제작 시 보다 적은 재료로 제작이 가능하고, 금형 크기와 무게가 줄어들어 운반 및 성형기 탈, 부착이 보다 쉽게 이루어 질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 하 캐비티(11),(12)로 결합 구성되는 캐비티 몰드(10) 사이에 가열 연화시킨 플라스틱 시트를 밀어 넣고 플러그(P)를 이용하여 압축에어로 눌러 상, 하 캐비티(11),(12)의 내면에 압착시켜 용기(A)를 성형하는 공지의 압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제조된 포장 용기(A)의 하측부분에 내향으로 요입되는 다수개의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캐비티(12)의 내주면에 내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턱(2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KR20-2004-0005233U 2004-02-27 2004-02-27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KR200351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33U KR200351170Y1 (ko) 2004-02-27 2004-02-27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33U KR200351170Y1 (ko) 2004-02-27 2004-02-27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170Y1 true KR200351170Y1 (ko) 2004-05-22

Family

ID=4943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233U KR200351170Y1 (ko) 2004-02-27 2004-02-27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1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6082B (zh) 可重新密封的饮料容器及其制作方法
US6286705B1 (en) Container having tapered sidewall made from sheet material and lid to seal same
US3290418A (en) Method and mold for making thinwalled containers
JP6445037B2 (ja) 物体及びカップ状本体を有する物体を得る方法及び装置
US5983607A (en) Heat seal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7329445B2 (ja) 二重壁容器の改善
US3335892A (en) Foam plastic cap
NO831241L (no) Tynnvegget, sproeytestoept kunststoffbeholder med glatt, forsterket forseglingskant samt innretning til dens fremstilling
CN107428438B (zh) 具有薄外套筒的塑料杯以及包括此类杯的食品包装
KR200351170Y1 (ko) 식품 포장용기용 열 성형 압공성형몰드
US20210002018A1 (en) Packaging tray with a profiled sealing edge
CN112654486B (zh) 容器成型装置、容器成型方法、容器以及使用该容器的即时食品包装方法
US6091054A (en) Heater plat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504014B1 (ko) 용기뚜껑 및 그 제조방법
EP1544129A1 (en)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0251416Y1 (ko) 뚜껑과 한 몸으로 된 1회용 프라스틱 용기
RU155995U1 (ru) Стопа крышек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230249880A1 (en) Thermoformed tube head,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340024Y1 (ko) 식품 포장용기용 압공성형장치
US3412901A (en) Container for pouring in liquid or fluid substanc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KR200309068Y1 (ko) 포장용기
KR100296379B1 (ko) 플라스틱 사각 용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측면 배부름 현상의해소방법
Paine Moulded pulp, expanded polystyrene, moulded and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s
KR101818016B1 (ko) 용기류 제작용 사출금형
KR200292086Y1 (ko) 식품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