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304Y1 - Candle cup having handle - Google Patents

Candle cup hav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304Y1
KR200350304Y1 KR20-2004-0003116U KR20040003116U KR200350304Y1 KR 200350304 Y1 KR200350304 Y1 KR 200350304Y1 KR 20040003116 U KR20040003116 U KR 20040003116U KR 200350304 Y1 KR200350304 Y1 KR 200350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cup
handle
inner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1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광수
Original Assignee
신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수 filed Critical 신광수
Priority to KR20-2004-0003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3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304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9/00Lanterns, e.g. hurricane lamps or candle lamps
    • F21L19/006Special adaptation for protection against drau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에서 행사 또는 집회 등을 할 때 사용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컵형태의 2개의 케이스를 서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구조로 하여 바람으로 인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동 및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한편, 2개의 케이스가 바람막이를 위해 서로 전개되었을 시 상호 연통하도록 된 다수개의 통기공들로 인해 내부에는 공기가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 심지에 붙은 촛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탈 수 있게 하여 야외 행사 또는 집회 등에서의 사용을 양호하게 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to be used for an event or a meeting outdoor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cup-shaped c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candle from being blown out by the wind, and also ha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to provid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use, When the two cases are deployed to each other for the windbreak, the air vents are continuously suppli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vents, which allow the candle attached to the wick to be burned without burning out. There is a favorable effect.

Description

손잡이를 갖는 컵초{Candle cup having handle}Cup cup with handle {Candle cup having handle}

본 고안은 야외에서 행사 또는 집회 등을 할 때 사용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형태의 2개의 케이스를 서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하여 된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to be used when an event or a meeting in the open air,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that is coupled to the two cases of the cup-shaped sliding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초는 종교 행사나 각종 이벤트 및 가정용 이외에 야외에서 행사또는 예컨대, 촛불시위와 같은 집회 등에서도 주로 사용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행사 등을 위해 야외에서 초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 등으로 인해 촛불이 쉽게 꺼지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초에 종이컵 등을 끼워 사용하고 있음이 또한 사실이다.In general, it is well known that candles are mainly used in religious events, various events, and households, as well as in outdoor events, or in meetings such as candlelight demonstrations. However, when the candle is used outdoors for such an event, since the candle is easily turned off due to the wind, it is also true that people use paper cups and the like to prevent the candle from being extinguished.

그러나, 이와 같이 초에 종이컵 등을 끼워 사용할 경우에는 초가 타들어 가는 길이를 따라 종이컵 등의 내부에 위치한 초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종이컵 등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촛불이 쉽게 꺼져 다시 촛불을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관리의 소홀로 종이컵 등에 불이 붙어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using a paper cup or the like to insert a candle in this way, the hass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andle located inside the paper cup along the length of the candle burning, and the oxygen is not supplied enough to the paper cup, the candle is easily turned off again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trouble of having to put on, and the neglect of management, the paper cups, etc., catching fire and burning the hand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컵형태의 2개의 케이스를 서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구조로 하여야외에서 촛불이 꺼지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cup-shaped cases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handle that enables the candle to be used well without being extinguished. To provide cup candles.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서 내부 케이스에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갖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for installing a handle on the inner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서 내부 케이스에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또 다른 구조를 갖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having another structure for installing a handle on the inner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서 외부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내린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in the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서 외부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밀어 올린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the state pushed up the outer case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in a cup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컵 본체 11:초10: The cup body 11: Second

11a:심지 11b:파라핀 왁스11a: wick 11b: paraffin wax

12:내부 케이스 13:외부 케이스12: inner case 13: outer case

14a,14b:돌기 15a,15b:장공14a, 14b: protrusion 15a, 15b: long hole

16:구멍 17:지지돌기16: hole 17: support protrusion

30a,30b:통기공 70:손잡이30a, 30b: Ventilator 70: Hand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파라핀 왁스와 심지를 갖는 초에 있어서, 상기 초를 함유하는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외부에서 외부 케이스가 슬라이딩 되게 승강하도록 된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승강시 일치되어 상기 컵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 및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ndle having a paraffin wax and a wick so as to ignite, the cup body is configured to lift and move the outer case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containing the candl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so as to be matched when the cup body is lifted and to supply air into the cup body; And a handl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of the cup body.

이 구조에서, 상기 컵 본체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대응 형성된 돌기들에 각각 끼워진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장공들의 내에서 승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structure, the cup body is preferably lifted in the holes formed in the outer case respectively fitted to the projection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또,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fit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dvantages and other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서 내부 케이스에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갖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서 내부 케이스에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또 다른 구조를 갖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서 외부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내린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서 외부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밀어 올린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nterior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having another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handle to the cas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ndle having a handle having another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handle to the inner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in a cup candl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outer case is pushed up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in a cup candl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state.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컵초는 컵 본체 (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컵 본체(10)는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심지(11a)와 파라핀 왁스(11b)를 갖는 초(11)를 함유하는 난연성(難練性) 재질의 내부 케이스(12)와 이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설치되어 이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외부에서 슬라이딩 되게 승강하도록 된 외부 케이스(1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a cup candl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p body 10. The cup body 10 is an inner case 12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containing a candle 11 having a wick 11a and a paraffin wax 11b so as to ignite, and the inner case 1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 consists of an outer case 13 to be moved up and down to slide on the outside.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불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헐겁지 않은 크기로 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게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상하부만을 개구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승강 설치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3)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짐이 좋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13)의 형상은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외부 케이스(13)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와 달리 상기 내부 케이스(12)가 사각모양으로 형성되면 상기 외부 케이스(13) 또한 사각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와 외부 케이스 (13)의 원통 형상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된 것임을 밝혀둔다.The outer case 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be loose in size to be slidably lifted relat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 The outer case 13 opens on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as to allow the inner case 12 to be raised and lowered. The height of the outer case 13 is preferably mad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exceed the height of the inner case 12. The shape of this outer case 13 depends on the shape of the inner case 12.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inner case 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case 13 is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ontrast, when the inner case 12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outer case 13 is formed. Also, since i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it is noted that the cylindrical shapes of the inner case 12 and the outer case 13 are not limited but merely illustrated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컵 본체(10)의 승강시 일치되어 상기 컵 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2)와 외부 케이스(13)의 각각에는 그 주연부를 따르는다수개의 통기공들(30a,3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들(30a,30b)은 상기 외부 케이스(13)가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승강시 서로 연통하여 타고 있는상기 초(11)가 꺼지지 않고 계속 탈 수 있도록 상기 컵 본체(10)의 내부로 외기 즉,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외부 케이스(13)가 바람막이를 위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상측으로 밀려 올라갈 시 상기 컵 본체 (10)의 내부에 대해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통기공들(30a,30b)은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상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1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됨이 좋다.Each of the inner case 12 and the outer case 13 follows its periphery so as to coincide when the cup body 10 is lifted and to supply air into the cup body 10. 30b) is formed. The vent holes 30a and 3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outer case 13 is lift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 so that the burning candle 11 that is burned can be continuously burned without being turned off. It acts as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hat is,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In particular, when the outer case 13 is pushed upward relative to the inner case 12 for the windshield, the vents 30a and 30b supply air to the inside of the cup body 10. The upper case of the inner case 12 and the lower case of the outer case 13 may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통기공들(30a,30b)의 상호 연통은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손잡이를 갖는 컵초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대응 형성된 돌기들(14a,14b)에 각각 끼워진 상기 외부 케이스(13)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들(15a,15b)에 의해서 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상기 외부 케이스 (13)의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승강 범위는 상기 장공들(15a,15b) 내에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상기 장공들(15a,15b)에 끼워진 이 돌기들 (14a,14b)에 의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이탈됨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통기공들(30a,30b)은 상기 장공들(15a,15b)의 하단이 상기 돌기들(14a,14b)에 접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3)가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상측으로 밀려 올라갔을 시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3)와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utual communication of the vent holes 30a and 30b may be achieved by a user's arbitrary operation, but in the cup candle having 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14a and 14b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 may be provided. It is to be achieved by the long holes (15a, 15b) formed vertically long in the outer case 13 fitted in the. Thus, the lifting range of the outer case 13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 is made in the long holes 15a and 15b, and the outer case 13 is connected to the long holes 15a and 15b. These protrusions 14a and 14b fitted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inner case 12. In particular, the vent holes 30a and 30b may have the outer case 13 above the inner case 12 such that the lower ends of the long holes 15a and 15b ar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s 14a and 14b. When pushed up to the outer case 13 and the inner case 12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통기공들(30a,30b)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13)를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주의 깊게 승강시키며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장공들(15a,15b)의 하단이 상기 돌기들(14a,14b)에 접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3)를 상기 내부 케이스(11)에 대하여 밀어 올리기만 하면 상기 통기공들(30a, 30b)을 상호 연통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람막이를 위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상기 외부 케이스(13)로 인해 차단된 공기가 상호 연통된 상기 통기공들(30a,30b)에 의하여 상기 컵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컵 본체(10)의 내부에서 타고 있는 상기 초(11)는 꺼지지 않고 계속 불꽃을 내며 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efully elevate and manipulate the outer case 13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 so as to communicate the vent holes 30a and 30b with the lower ends of the long holes 15a and 15b. The ventilation holes 30a and 30b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imply pushing the outer case 13 against the inner case 11 so as to contact the protrusions 14a and 14b. Through this, the cup main body 10 is formed by the vent holes 30a and 30b in which air blocked by the outer case 13 push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 for the windshield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ince i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he candle (11) burning in the interior of the cup body 10 can be burned with a continuous flame without burning.

또한, 상기 컵 본체(10)의 내부 케이스(12)의 하부에는 손잡이(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초가(11)가 불이 붙은 상태에서 상기 컵 본체 (10)를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하여 상기 컵 본체(10)의 이동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70)의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설치 구조는 도2,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16)에 끼움 설치되는 구조로 하여 상기 컵 본체(10)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기 구멍(16)에 끼움 설치된 상기 손잡이(70)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멍(16)으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내부 쪽만으로 돌출 형성되거나(도2 참조),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부 쪽만으로 돌출 형성되거나(도3 참조)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 (12)의 내외부 양쪽 모두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7)에 의해 더 지지를 받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견고히 끼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컵 본체(10)에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구멍(16)에 대하여 탈착되게 끼움 설치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됨을 통해 분리되지 않게 끼움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구멍(70)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하부에 접착제 등의 접착으로 분리되지 않게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 handle 70 is installed below the inner case 12 of the cup body 10. The handle 70 serves to conveniently move and use the cup main body 10 by conveniently carrying the cup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thatch 11 is on fire.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inner case 12 of the handle 7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ures 2, 3 and 4. That is, the handle 70 is fitted into the hole 16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case 12 may be fitted to the cup body 10, and thus the hole 16 Protrudes from the hole 16 to only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ase 12 (see Fig. 2) or protrudes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12 so as to support the handle 70 fitted in the 3) or further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7 protruding from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2, and may be firmly fitted to the inner case 12. As such, the handle 70 installed in the cup main body 10 may be fitted to be detachably fitted with respect to the hole 16 or may not be detached through adhesive bonding. Alternatively, the hole 70 may be installed. Not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2 which is not formed may be directly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adhesive or the like.

따라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3)가 상기 내부 케이스 (11)에 대하여 상기 심지(11a)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완전히 하강되고 상기 심지 (11a)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70)를 파지한 채 야외의 행사 또는 집회 등에 참석하고 있을 때에 촛불이 꺼질 정도의 바람이 불게 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3)를 상기 장공들(15a,15b)의 하단이 상기 돌기들(14a,14b)에 접하도록 밀어 올려 상기 외부 케이스(13)가 바람막이를 하게 함으로써 바람으로 인한 촛불의 꺼짐은 방지되며, 이를 통해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연통된 상기 통기공들(30a,30b)에 의하여 상기 컵 본체(11)의 내부로는 공기가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초(11)는 꺼지지 않고 계속 탈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user has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13 is completely lowered so that the wick 11a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1 and the wick 11a is lit. When the wind blows out the candles when the outdoor event or the meeting is held while holding the handle 70, the outer case 13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 as shown in FIG. By pushing the lower end of the long holes (15a, 15b)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s (14a, 14b) to allow the outer case 13 to block the wind off of the candle by the wind is prevented, thereby through the air passage Since the air continues to be supplied into the cup body 11 by the vent holes 30a and 30b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candle, the candle 11 can be burned without being turned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컵형태의 2개의 케이스를 서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구조로 하여 바람으로 인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동 및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한편, 2개의 케이스가 바람막이를 위해 서로 전개되었을 시 상호 연통하도록 된 다수개의 통기공들로 인해 내부에는 공기가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 심지에 붙은 촛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탈 수 있게 하여 야외 행사 또는 집회 등에서의 사용을 양호하게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cup-shaped cases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a candle from being blown off by the wind,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for convenience of movement and use.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two cas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two cases are deployed for the windshield, the air is supplied continuously inside so that the candle attached to the wick can be burned without being extinguished. It is effective in making the use in the back favorable.

Claims (3)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파라핀 왁스와 심지를 갖는 초에 있어서,In candles with paraffin wax and wicks to ignite, 상기 초를 함유하는 내부 케이스에 대하여 외부에서 외부 케이스가 슬라이딩 되게 승강하도록 된 컵 본체;A cup body configured to elevate and slide the outer case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containing the candle; 상기 컵 본체의 승강시 일치되어 상기 컵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 및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so as to be matched when the cup body is lifted and to supply air into the cup body; And 상기 컵 본체의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Cup candle having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of the cup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대응 형성된 돌기들에 각각 끼워진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장공들의 내에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The cup candle with a hand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body is configured to ascend and fall within the holes formed in the outer case respectively fitted to the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컵초.The cup candle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andle is fitted into a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KR20-2004-0003116U 2004-02-09 2004-02-09 Candle cup having handle KR2003503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16U KR200350304Y1 (en) 2004-02-09 2004-02-09 Candle cup hav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16U KR200350304Y1 (en) 2004-02-09 2004-02-09 Candle cup having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304Y1 true KR200350304Y1 (en) 2004-05-13

Family

ID=4934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116U KR200350304Y1 (en) 2004-02-09 2004-02-09 Candle cup hav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30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336B1 (en) Structure of a shade for a candle
US20080158863A1 (en) Electrical Candle with Micro-Control Means
US20070003894A1 (en) Electronic candle
CN108167761A (en) Aromatic electronic candle is waved in a kind of emulation
CN106764917A (en) One kind is pneumatic to wave aromatic electronic candle certainly
KR101158787B1 (en) A cap for candle to perfect combustion and prevent of flow
KR101514993B1 (en) Candle light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200350304Y1 (en) Candle cup having handle
KR100836799B1 (en) Candlestick for incomplete combustion of candle
WO2005093026A3 (en) Candles, candl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208720056U (en) A kind of cement night-light
KR200316338Y1 (en) Candle holder
KR200215685Y1 (en) candle light
KR200419109Y1 (en) The cup for candle-light assembly
KR200355918Y1 (en) Protection Against Wind type A Candlestick
KR101667571B1 (en) Portable lantern
US20060072307A1 (en) Lantern
US20100104994A1 (en) Candle holder converter assembly
CN219889528U (en) Camping lamp with mosquito repellent function
KR200496474Y1 (en) A candlestick with card holder groove
KR200310533Y1 (en) Lamp device which temple
KR200210829Y1 (en) Candle Implement for Preventing Rain and Wind
KR200200373Y1 (en) A lamp
KR20230011730A (en) Structure of liquid vegetable c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