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834Y1 -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834Y1
KR200349834Y1 KR20-2004-0004772U KR20040004772U KR200349834Y1 KR 200349834 Y1 KR200349834 Y1 KR 200349834Y1 KR 20040004772 U KR20040004772 U KR 20040004772U KR 200349834 Y1 KR200349834 Y1 KR 200349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layer
insulation material
sound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정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Priority to KR20-2004-000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시공되는 차음층과; 상기 차음층 상부에 시공되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과; 상기 기포콘크리트층 상부에 시공되는 온돌파이프층와; 상기 온돌파이프 층 상부에 시공되는 마감몰탈층으로 이루어진 층간 차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상기 철근 콘트리트 슬래브 상부에 안착 시공되어 차음을 하게 되는 차음재와, 상기 차음재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차음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로 이루어진 차음재층; 및 상기 차음재층의 유동방지부재 상부에 도포 시공되어 차음 및 단열을 하게 되는 폴리우레탄폼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고무칩, EVA칩, 스티로폼칩, 에어쿠션볼로 이루어진 차음재를 안착시키고, 이 차음재 상부에는 망 등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로써 차음재를 안착시켜 차음재층을 시공한 다음, 이 고정부재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층을 시공하여 차음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시공비가 저렴하게 들며, 건축공정이 효율적이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차음뿐만 아니라 단열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BETWEEN FLOOR PREVENTION SOUND STRUCTURE OF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의 바닥인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고무칩, EVA(Ethylene Vinyl Acetate)칩, 스티로폼칩 , 에어쿠션볼로 이루어진 차음재를 안착시키고, 이 차음재 상부에는 망 등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로써 차음재를 안착시켜 차음재층을 시공한 다음, 이 유동방지부재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층을 시공하여 차음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시공비가 저렴하게 들고, 건축공정이 효율적이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차음뿐만 아니라 단열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인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층간 소음은 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에 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부에 적정 두께로 시공되는 차음층(100)과; 차음층(100) 상부에 시공되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200)과; 기포콘크리트층(200) 상부에 시공되는 온돌파이프층(300)과; 온돌파이프층(300) 상부에 시공되는 마감몰탈층(4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감몰탈층(400) 상부에는 바닥재(50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음층(100)은 고무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시트로 제작하게 되는 데, 그 두께가 20mm을 넘지 않은 범위에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층간 차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마감몰탈층에 이르는 방진, 방음구조를 통하여 층간소음의 차음을 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는 층간 차음구조의 최상층인 마감몰탈층 상부의 바닥재가 상호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이 증폭되어 실내 또는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고무 또는 EVA로 시트를 제작하여 시공하게 되었으나, 이는 두께가 20mm이내로 제작된 시트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 이를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고, 시트의 열결부위를 테이프 등으로 연결한 후,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을 시공하게 됨으로써 시공에 따른 공정이 비효율적이고, 공정기간이 늘어나게 되어 시공비가 증가되었으며, 또한 단열이 우수하지 못하게 되었고, 시트의 이음새를 통하여 층간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비가 저렴하고, 차음 및 단열이 우수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시공되는 차음층과; 상기 차음층 상부에 시공되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과; 상기 기포콘크리트층 상부에 시공되는 온돌파이프층과; 상기 온돌파이프 층 상부에 시공되는 마감몰탈층으로 이루어진 층간 차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상기 철근 콘트리트 슬래브 상부에 안착 시공되어 차음을 하게 되는 차음재와, 상기 차음재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차음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로 이루어진 차음재층; 및 상기 차음재층의 유동방지부재 상부에 도포 시공되어 차음 및 단열을 하게 되는 폴리우레탄폼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3b,3c,3d는 도 2의 차음층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써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슬래브 10 : 차음층
20 : 차음재 21 : 고무칩
22 : EVA칩 23 : 스티로폼칩
24 : 에어쿠션볼 30 : 유동방지부재
40 : 차음재층 50 : 폴리우레탄폼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3b,3c,3d는 도 2의 차음층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써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적정 두께로 시공되어 차음을 하게 되는 차음층(10)과; 차음층(10) 상부에 시공되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60)과; 기포콘크리트층(60) 상부에 시공되는 온돌파이프층(70)과; 온돌파이프층(70) 상부에 시공되는 마감몰탈층(8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감몰탈층(80) 상부에는 바닥재(90)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차음층(10)은 철근 콘트리트 슬래브(1) 상부에 안착 시공되고,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 에어쿠션볼(24)로 이루어진 차음재(20)와; 차음재(20) 상부에 안착되어 차음재(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30)로 이루어진 차음재층(40); 차음재층(40)의 유동방지부재(30)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적정 두께(약 10mm)로 직접 도포 시공하여 형성된 폴리우레탄폼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음재층(40)은 차음재(20)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조합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각 구성요소들, 즉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 에어쿠션볼(24)을 각각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데, 그 두께가 10mm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음재(20)의 구성요소들 중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은 그 크기는 최대한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쿠션볼(24)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중공 또는 원형볼로 형성되며, 외력을 받아 다시 복원되는 복원력이 구비되고, 최대 직경이 10mm을 넘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쿠션볼(24)은 합성수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재질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30)는 차음재(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음재(2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예로 거물망, 방충망 등의 망 종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폼층(50)은 유동방지부재(3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직접 도포 시공하여 형성됨에 따라 이음새가 없고, 전체가 한 폼으로 되어 차음및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의원액을 직접 도포 시공하여 차음층(10)을 구성하게 된다. 즉,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적정 두께(20mm이내)로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시공하여 폴리우레탄층(50)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차음층(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층간 차음구조가 시공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층간 구조물인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적정 두께로 차음층(10)을 시공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차음재(20)를 구성하고 있는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 에어쿠션볼(24)을 적정 비율 및 간격을 유지하고, 최대 두께가 10mm가 유지되도록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음재(20) 상부에 차음재(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거물망, 방충망 등 망 종류의 유동부지부재(30)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차음재층(40)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 다음으로 유동방지부재(30)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약 10mm정도의 두께가 유지되도록 골구로 도포 시공하게 된다. 그러면,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이 굳게되면서 전체가 한 폼으로 폴리우레탄폼층(50)이 형성됨으로써 차음 및 단열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차음층(10)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음층(10) 상부에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60)을 시공하고, 기포콘크리트층(60) 상부에 온돌파이프층(70)을 시공한 다음, 온돌파이프층(70) 상부에 상부에 마감몰탈층(80)을 시공한 후, 이 마감몰탈층(80) 상부에 바닥재(90)를시공하게 됨으로써 건축물 층간 차음구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차음층(10)이 시공된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로부터 마감몰탈층(70)에 이르는 방진, 방음구조를 통하여 층간소음의 차음을 할 수 있게 되고, 차음층(10) 최상층의 폴리우레탄폼층(50)에서 차음을 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차음재층(40)의 차음재(20)를 구성하고 있는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 에어쿠션볼(24)에 의해 소음이 흡수되어 차음이 이루어져 하층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a,3b,3c,3d에서와 같이 차음재층(40)은 차음재(2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 즉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 에어쿠션볼(24)을 콘크리트 슬래브(1)에 각각 안착시켜 시공하게 됨으로써 각 구성요소들의 재질의 특성, 즉 흡수력에 의해 차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차음재(20)의 구성요소들 중 고무칩(21), EVA(Ethylene Vinyl Acetate)칩(22), 스티로폼칩(23)은 그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하여 그 두께가 10mm를 넘지 않토록 시공하게 된다.
즉, 크기가 최대한 작은 칩들을 두께가 10mm을 넘지 않은 범위에서 적층시켜 시공하고, 이에 유동방지부재(40)를 안착시킨 다음, 폴리우레탄폼층(5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에어쿠션볼(24)은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중공 또는 원형볼로 형성되며, 최대 직경이 10mm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쿠션볼(24)은 밀폐된 공기의 압축팽창을 이용하여 충격이나 진동을 자체 흡수할 수 있는 원리로서, 방음, 방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에어큐션볼(24)은 합성수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자체 복원력이 구비된 재질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직접 도포 시공하여 차음층(10)을 구성하게 된다. 즉, 폴리우레탄폼의 원액을 적정 두께(20mm이내)로 콘크리트 슬래브(1) 상부에 직접 시공하여 폴리우레탄층(50)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차음층(10)이 형성되어 차음 및 단열을 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층 상부에 고무칩, EVA(Ethylene Vinyl Acetate)칩, 스티로폼칩, 에어쿠션볼로 이루어진 차음재를 안착시키고, 이 차음재 상부에 망 등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로써 차음재를 안착시켜 차음재층을 시공한 다음, 이 고정부재 상부에 폴리우레탄폼층을 시공하여 차음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시공비가 저렴하게 들며, 건축공정이 효율적이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전체가 한 폼으로됨으로써 차음뿐만 아니라 단열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7)

  1.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시공되는 차음층과; 상기 차음층 상부에 시공되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층과; 상기 기포콘크리트층 상부에 시공되는 온돌파이프층; 상기 온돌파이프층 상부에 시공되는 마감몰탈층으로 이루어진 층간 차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10)은,
    상기 콘트리트 슬래브(1) 상부에 안착 시공되어 차음을 하게 되는 차음재(20)와, 상기 차음재(20)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차음재(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30)로 이루어진 차음재층(40); 및
    상기 차음재층(40)의 유동방지부재(30) 상부에 도포 시공되어 차음 및 단열을 하게 되는 폴리우레탄폼층(5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20)는 적정 크기의 고무칩(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20)는 적정 크기의 EVA칩(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20)는 적정 크기의 스티로폼칩(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20)는 적정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복원력이 구비된 에어쿠션볼(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30)는 적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10)은 상기 콘트리트 슬래브(1) 상부에 적정 두께로 직접 시공되는 상기 폴리우레탄폼층(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2004-0004772U 2004-02-24 2004-02-24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349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72U KR200349834Y1 (ko) 2004-02-24 2004-02-24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72U KR200349834Y1 (ko) 2004-02-24 2004-02-24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834Y1 true KR200349834Y1 (ko) 2004-05-08

Family

ID=4942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772U KR200349834Y1 (ko) 2004-02-24 2004-02-24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8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80B1 (ko) 2006-08-21 2006-12-0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0886018B1 (ko) * 2007-04-30 2009-02-26 이경환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80B1 (ko) 2006-08-21 2006-12-0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0886018B1 (ko) * 2007-04-30 2009-02-26 이경환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190079758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KR101526541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349834Y1 (ko)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277719Y1 (ko) 건축물의 차음장치
KR200349835Y1 (ko)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406912Y1 (ko) 공동주택 층간 차음 바닥재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5135U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재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50017952A (ko) 아파트, 다층다가구 공동주택 또는 다층건물의 소음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84716A (ko)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0659514B1 (ko) 층간 차음구조체
KR200431403Y1 (ko) 뜬 바닥구조 방진패드를 이용한 방진방음바닥
KR200339327Y1 (ko) 주거용 건물의 바닥 차음재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200398590Y1 (ko) 차음용부재
KR100450351B1 (ko) 건축물의 차음장치
KR200343320Y1 (ko) 건축용 차음설비의 흡음부재
KR20040066230A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