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90Y1 -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 Google Patents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90Y1
KR200348490Y1 KR20-2004-0001082U KR20040001082U KR200348490Y1 KR 200348490 Y1 KR200348490 Y1 KR 200348490Y1 KR 20040001082 U KR20040001082 U KR 20040001082U KR 200348490 Y1 KR200348490 Y1 KR 200348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wer supply
main body
batter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0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은
Original Assignee
이창원
안상은
이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원, 안상은, 이명호 filed Critical 이창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90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내부에 소정 갯수의 건전지를 배치시킬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내부에 배치된 건전지를 고정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휴대폰에 고정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ower supply using a battery.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capable of plac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ies therein, a cover portion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fix a battery disposed therein, and a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being installed in a mobile phone. And an adhesive part for fixing, and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본 고안에 의하여, 외부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배터리가 소진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휴대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suddenly exhaust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onveniently supply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Description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Battery-powered cell phone power supply unit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휴대폰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배터리를 대신하여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는 휴대폰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of a mobile phone tha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using a normal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phone instead of the battery Relates to a power supply.

일반적으로,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휴대폰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용량은 통상 1-2일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리고, 배터리의 에너지가 모두 소진된 후에는, 휴대폰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시킨 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 경우 각 배터리의 크기 및 용량 등에 적합한 충전기가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the battery used in the mobile phon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bile phone, the capacity is usually enough to use about 1-2 days. In addition, after all of the energy of the battery is exhausted, the battery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and charged using a separate charger and then reused. In this case, a charger suitable for the size and capacity of each battery is required.

최근, 휴대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대폰을 항상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장기간 외출을 하는 등의 이유로충전기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에너지를 모두 소모한 경우에는 휴대폰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외출시나 여행시에는 휴대폰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전기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Recently, mobile phones have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nd most people always carry mobile phones.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mobile phone can no longer be used when the battery energy is consumed in the state of not having the charger for a long time, such as going out. In addition, in order to continue using the mobile phone when going out or travel there is a inconvenience to carry a separate charger.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방법 및 장치들이 제안되었다. 등록 실용 신안 제0314667호는 "일회용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배터리가 핸드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존의 배터리의 뒷면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일회용 휴대폰 배터리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 실용 신안은 기존의 배터리위에 별도로 부착하는 장치로서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고 휴대폰에 접속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14667 relates to a "disposable mobile phone battery" and proposes a disposable mobile phone battery that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existing battery while the existing battery is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However,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a device attached separately on the existing battery h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volume is large and the use is inconvenient when connecting to the mobile phone.

또한, 등록 실용 신안 제168278호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소매점 등에서 일회용 배터리를 구입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등록 실용 신안은 단자의 접속 방법 및 건전지 수납 케이스가 충전 배터리의 형상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일부 기종에만 사용될 수 있을 뿐이며, 기종에 따라 달리 구매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휴대폰의 각 기종마다 달리 제작해서 판매해야 되므로, 실제로 생산 및 판매되기에는 현실성이 없다.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68278 relates to a "disposable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has proposed a device that allows a mobile phone to be used by purchasing a disposable battery in a general retail store. However, since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follows the shap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s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terminal and the battery storage case as it is, it can be used only for some models of the mobile phon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ust be purcha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del.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is, since each model of the mobile phone must be produced and sold differently, there is no practicality to be actually produced and sol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power supply that can supply power to a mobile phone using a common battery.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power supply that can be used simply and conveniently regardless of the typ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A-A'방향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도 4는 도 1의 B-B'방향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1.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저면의 배선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wiring of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휴대폰에 장착시킨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7 is a use state showing that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mobile pho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덮개부100: cover part

110 : 본체부110: main body

120 : 접착부120: adhesive portion

130 : 누름판130: pressing plate

150 : 걸림돌기150: protrusion

152 : 걸림턱152: jamming jaw

500, 510 :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600 : 이중접착부600: double adhesive part

610 : 지지대610: suppor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특징은, 내부에 소정 갯수의 건전지를 배치시킬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내부에 배치된 건전지를 고정시키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휴대폰에 고정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를 구비한다.Features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ain body portion capable of plac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ies therein, the cover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disposed inside the cover the top of the body portion And a bonding part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a mobile phone, and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ain body. .

여기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누름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턱을 가지도록 장착시키고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배치되도록 하여, 하부의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들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누름판의 상부에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누름판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에 더욱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ressing plate is mounted to have a jaw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s are arrang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in the lower side can stably contact the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the support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l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can be more stably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More preferabl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는 상기 단자들이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preferably maintain a minimum distance from which the terminals are not short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의 양측면에 추가의 이중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중접착부는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휴대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dditional double adhesiv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the double adhesive portion preferably prevents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본 고안에 의하여, 외부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배터리가 소진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휴대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suddenly exhaust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onveniently supply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방향 및 B-B'방향에 대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본체부(110), 덮개부(100), 접착부(120),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 등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은 휴대폰 뿐만 아니라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든 단말기,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게임기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each of the AA 'direction and B-B' direction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1 to 4,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 cover portion 100, an adhesive portion 120,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500 and 510, and the like. Equipp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o natural can be used not only for mobile phones, but also for all terminals using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ame machine.

먼저,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덮개부(100)는 그 내부에 소정 갯수의 건전지(140)를 수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각 분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여 제작하는 경우 양 측면에 걸림턱(152) 및 검림돌기(150)를 각각 형성하여 본체부와 덮개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의 크기는 적어도 3개의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main body 110 and the cover 100 are to be accommodated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ies 140 therein,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or may be manufactured in one piece. I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r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locking jaw 152 and the blackening protrusion 150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to fix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 addition, the siz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preferably manufactured to a siz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three batteries.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접착부(12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를 휴대폰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부(120)는 약 1mm두께의 우레탄 발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양면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접착부(120)는 휴대폰의 뒷면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시킴으로써,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휴대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n adhesive part 120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a mobile phone. The adhesive part 120 may use a urethane foa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in addition to the double-sided adhesive may be used. The adhesive portion 120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ntire back of the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한편,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110)내에 삽입된 소정 갯수의 건전지의 전원을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로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내부의 양 측면에 + 및 - 단자인 제1, 제2 단자(160, 162, 및 일부는 도시되지 않음), 본체부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관통 단자(164, 166), 본체부 저면의 제1 및 제2 배선(300, 310),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건전지의 전원은 제1 및 제2 관통 단자(164, 166)를 통해 본체부 저면의 제1 및 제2 배선(300, 310)을 경유하여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s a first and second terminals + and-terminals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supply the power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ie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wo terminals 160, 162, and some not shown), first and second through terminals 164, 166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first and second wirings 300, 310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500 and 510 are provided. First, the power of the battery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side the main body is first and second wires 300 and 310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terminals 164 and 166. Ar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500 and 510 via &lt; RTI ID = 0.0 &gt;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본체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부내에 3개의 건전지를 삽입시키되, 이들 각각은 직렬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의 간격(d)은 적어도 상기 단자들이 단락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약 2mm정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을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들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이격시킴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이 바뀌더라도 호환성을 가지게 된다.5 is a view showing the wir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ree batteries into the body, each of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500 and 510 is preferably maintained at least so that the terminals do not short-circuit, for example, about 2 mm. There will be. In this way, by spa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to a minimum, even if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is changed to have compatibilit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500, 5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휴대폰들이 그 기종별로 배터리 팩의 턱 높이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호환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들을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어떠한 기종의 휴대폰에 사용되더라도 접촉 불량이나 단전이 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500 and 510 are formed in a “V” shape to provide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jaw height of the battery pack is different, it is desirable to have compatibility. As such,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have an “V” shape to have elastic force, so that no poor contact or power failure occurs even when used in any type of mobile pho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400, 410)의 상부에 누름판(130)을 배치시켜, 하부의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들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130)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착설시키되,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턱을 가지도록 착설시키고, 그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by placing the pressing plate 1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400, 410), the lower first and The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 can be in stabl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The pressing plate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have a jaw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below.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누름판의 상부에 지지대(6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610)는 상기 누름판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에 더욱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에 추가의 이중접착부(6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중접착부(600)는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휴대폰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이중접착부(600)는 투명 결속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6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the support 610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plate the first and second It is desirable for the cellular phone contact terminal to be more stably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cellular phone.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dditional double adhesive portion 60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the double adhesive portion 600 is that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is separated from or removed from the mobile phone Can be prevented. The double adhesive part 600 may use a transparent binding tape or the lik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700)의 저면에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장착되어야 하는 위치에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Figure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used in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7, a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and used at a position where a battery should be general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700.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본체부, 덮개부 및 건전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1번 사용후 폐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여 그 내부의 건전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영구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fter using the body part, the cover part, and the battery as a single body, and may be disposed to separate the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hereby replacing the battery therein. You can also make it permanent and repeatable.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본체부와 덮개부의 형상, 건전지의 배치 형태,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의 이격 간격 등과 같은 구성 요소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in the scope.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such as the shap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portion,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ies, the spacing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etc. have the effect of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increase and ease of use.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고안에 의하여, 휴대폰 사용자들은 외부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배터리가 소진되더라도,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휴대폰에 장착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 대하여 호환성을 갖도록 제작되었으므로, 대부분의 기종의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제작업체도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작 및 판매하면 되며, 사용자도 자신의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구입 및 사용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유통 및 판매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users can use the mobile phone by simply and conveniently attaching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to the mobile phone even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suddenly exhausts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compatible with most mobile phones, it can be used in most models of mobile phones. Therefore, the manufacturer may produce and sell a single cell phone power supply regardless of the type of cell phone, and the user may purchase and use the cell phone regardless of the type of cell phone, and thus may be distributed and sold very conveniently. .

Claims (6)

내부에 소정 갯수의 건전지를 배치시킬 수 있는 본체부;A main body part capable of plac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atteries therein;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내부에 배치된 건전지를 고정시키는 덮개부;A cover part which covers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fixes a battery disposed therein;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휴대폰에 고정시키는 접착부; 및An adhesive part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a mobile phone; And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ain body; 를 구비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With a mobile phone power supply tha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누름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턱을 가지도록 착설시키고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배치되도록 하여, 하부의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들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plat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ress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have a jaw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and the lower plate The second cellular phone contact terminal is arranged so that the lower first and second cellular phone contact terminals can stably contact the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cellular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는 상기 단자들이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maintain a minimum distance from which the terminals are not shorted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누름판의 상부에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누름판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가 휴대폰의 전원 공급 단자에 더욱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wherein the support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l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are more stable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Mobile phon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폰 접촉 단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s have a "V" shap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에 추가의 이중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중접착부는 상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가 휴대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6.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obile phone power supply further includes additional double adhesive part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double adhesive part is a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Mobile phon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KR20-2004-0001082U 2003-08-19 2004-01-15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KR200348490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65 2003-08-19
KR20030026965 2003-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90Y1 true KR200348490Y1 (en) 2004-04-29

Family

ID=4934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082U KR200348490Y1 (en) 2003-08-19 2004-01-15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9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6845B2 (en)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6127802A (en) Charger with battery retention door
US9071060B2 (en)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JP2511734B2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guide and support device
JP3907723B2 (en) Battery pack
US20060208697A1 (en) Gangable charger
KR101437948B1 (en)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US20100173188A1 (en) Hub mount modular battery pack
JPH10146213A (en) Carrying case with solar battery for portable telephone
KR200348490Y1 (en) Device of providing power for mobile phone using dry cells
CN212486139U (en) Mobile power supply with Bluetooth sound box
JPH07315138A (en) Portable telephone holder
JP3378675B2 (en) Charger that can charge battery packs of different shapes
KR200404743Y1 (en) a portable mobile phone charger
CN200976606Y (en) Mobile phone emergency standby battery
JP4346169B2 (en) Charging stand for portable game devices
CN201039441Y (en) Radio earplug and charger combined device
CN220067655U (en) Earphone charging box
CN201112512Y (en) Multifunctional charging and power-supplying system
KR200389420Y1 (en) Mobile Phone Cover with Auxiliary Battery
CN203071598U (en) Portable mobile power supply
CN217469477U (en) Magnetic attraction mobile power supply with foldable support
KR200307358Y1 (en) Portable hand phone case having electric charging function
CN214591903U (en) Bluetooth headset box that charges in cell-phone back of lamin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