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397Y1 - 온열 매트 - Google Patents

온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97Y1
KR200348397Y1 KR20-2004-0000891U KR20040000891U KR200348397Y1 KR 200348397 Y1 KR200348397 Y1 KR 200348397Y1 KR 20040000891 U KR20040000891 U KR 20040000891U KR 200348397 Y1 KR200348397 Y1 KR 200348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ntilation member
thermal mat
mat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욱
Original Assignee
양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욱 filed Critical 양만욱
Priority to KR20-2004-0000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인 온열 매트를 더운 날씨 또는 여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온열 매트에 관한 것으로,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부로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버지 상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 매트(M)의 커버지(C)저면으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차로 상, 하 배치되는 한 쌍의 망사포(12, 14) 사이에 직교된 형태로 다수의 탄성 지지대(16)가 일체로 형성된 통풍부재(10)가 상기 커버지와 재봉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서늘한 날씨, 겨울에는 온열 매트에 다수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상면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다가 봄, 가을의 한낮 또는 무더운 여름에는 상기 통풍부재가 결합된 부분을 상면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풍부재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웠을 경우 선풍기,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차가운 바람을 통풍부재로 향하게 하면 바람이 통풍부재로 유입되어 통풍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부위로 땀이 배지 않으면서 시원하게 온열 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열 매트{A Warmer Mat}
본 고안은 온열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온열 매트를더운 여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온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열 매트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커버지 표면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사체가 부착되어 있고, 커버지 내부에는 온열매트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내장재 및 온열에 필요한 발열수단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온열 매트의 구조는, 도 1 ~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지(100)와 상기 커버지(100) 사이에 구비된 발열수단(30) 및 상기 커버지(100) 상면에 부착되는 원적외선 방사체(600)로 구성된다.
상기 온열 매트(700)의 커버지(100)는 일반적으로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수단(300)은 미도시한 온도 조절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의 열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면상발열체 또는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면상발열체 또는 발연선의 상, 저면으로 각각 누전을 방지하는 절연지(400, 420)가 면 접촉된 형태로 위치되고, 누전을 재 차단하기 위한 동망(500)이 상기 발열선의 상면으로 위치되는 절연지(420)의 상면과 면 접촉된 형태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300)의 하부로는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쿠션(200)이 상기 발열수단(300) 저면으로 위치되는 절연지(400)의 저면과 면 접촉된 형태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 온열 매트(700)의 커버지 상면으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원적외선 방사체(600)는 발열수단(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원적외선이 더 발산됨으로써, 그 위에 눕거나 앉아 있는 사용자의 신체 깊숙이 투과되도록 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주된 기능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600)는 천연옥이나 바이오 세라믹 또는 황토 등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지압을 하기 위해 상부가 만곡된 바둑알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온열 매트(700)는 그 위에 사용자가 누워 미도시한 전원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전원이 발열수단(300)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소정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발열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원적외선 방사체(700)를 가열 또는 예열함에 따라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지(100)의 상부로 전도된 열에 의해 사용자의 체온이 유지됨과 동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신체 깊숙이 투과됨에 따라 소기의 목적하는 찜질을 받아 신체의 피로를 말끔하게 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통상의 온열 매트는 차가운 날씨 또는 겨울철에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무더운 여름의 경우에는 온열 매트를 사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보관만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낮엔 덥고, 아침, 저녁으로 서늘한 봄, 가을과 계절이 바뀌는 시기인 환절기의 경우 아침, 저녁으로 온도 조절기를 통해 온열 매트의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한낮 또는 무더운 여름에는 온열 매트 위에 앉거나 누워있는 경우에는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관계로 온열 매트와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땀이 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온열 매트 일면 즉, 온열 매트의 상면에 원적외선 방사체가 다수 부착된 면의 반대면 인 저면에 공기 또는 선풍기,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그 내부로 유입되어 통풍될 수 있도록 이중구조를 갖는 통풍부재를 결합하여 무더운 여름에도 시원하게 온열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온열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온열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온열 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부재가 온열 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통풍부재 12, 14: 망사포
16: 탄성 지지대 C: 커버지
M: 온열 매트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부로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버지 상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 매트의 커버지 저면으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차로 상, 하 배치되는 한 쌍의 망사포 사이에 직교된 형태로 다수의 탄성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통풍부재가 상기 커버지와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매트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라 온열 매트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종래에 따른 온열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종래에 따른 온열 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부재가 온열 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열 매트는 도 3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부로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버지 상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 매트(M)의 커버지(C) 저면으로 통풍부재(10)를 배치 한 다음 상기 통풍부재(10)의 각 일단과 상기 온열 매트(M)의 커버지(C)의 각 일단이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기 통풍부재(10)는, 한 쌍의 망사포(12, 14), 탄성 지지대(16)로 이루어지고, 본 고안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한다.
상기 망사포(12, 14)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물과 같은 비슷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풍부재(10)는, 한 쌍의 망사포(12, 14)를 상부, 하부로 각각 위치시킨다. 이는 나중에 유입될 공기 또는 바람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상, 하부로 각각 위치된 한 쌍의 망사포(12, 14) 사이에 상기 망사포(12, 14) 재질과 동일한 탄성 지지대(16)를 다수 연결한다.
상기 탄성 지지대(16)는 상, 하부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망사포(12, 14)를 연결 고정함과 동시에 나중에 사용자가 통풍부재(10)의 상면으로 앉거나 누웠을 때쿠션감을 주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통풍부재(10) 즉, 한 쌍의 망사포(12, 14)와 그 사이에 일체로 다수 연결되는 탄성 지지대(16)는 금형을 통해서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풍부재(10)를 온열매트(M)의 저면 즉, 다수의 원적외선 방사체가 부착되는 온열 매트(M) 상면의 반대면 인 저면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통풍부재(10)의 각 일단에 상기 온열매트(M)의 저면 커버지(C)의 일단을 부분 덮은 상태에서 실(S)로 재봉을 하여 견고히 고정함으로서 완성이 되며, 이때 상기 통풍부재(10)는 온열 매트(M)의 저면으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온열 매트의 사용방법은, 서늘한 날씨, 겨울에는 온열 매트(M)에 다수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상면으로 사용하다가 봄, 가을의 한낮 또는 무더운 여름에는 상기 통풍부재(10)가 결합된 부분을 상면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통풍부재(10)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웠을 경우 선풍기(미도시), 에어컨(미도시)에서 배출되는 차가운 바람을 통풍부재(10)로 향하게 하면 바람이 통풍부재(10)로 유입되어 통풍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부위로 땀이 배지 않으면서 시원하게 온열 매트(M)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온열 매트는, 서늘한 날씨, 겨울에는 온열 매트에 다수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상면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다가 봄, 가을의 한낮 또는 무더운 여름에는 상기 통풍부재가 결합된 부분을 상면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풍부재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웠을 경우 선풍기,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차가운 바람을 통풍부재로 향하게 하면 바람이 통풍부재로 유입되어 통풍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부위로 땀이 배지 않으면서 시원하게 온열 매트(M)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부로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버지 상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 매트(M)의 커버지(C)저면으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차로 상, 하 배치되는 한 쌍의 망사포(12, 14) 사이에 직교된 형태로 다수의 탄성 지지대(16)가 일체로 형성된 통풍부재(10)가 상기 커버지와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매트.
KR20-2004-0000891U 2004-01-13 2004-01-13 온열 매트 KR200348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891U KR200348397Y1 (ko) 2004-01-13 2004-01-13 온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891U KR200348397Y1 (ko) 2004-01-13 2004-01-13 온열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97Y1 true KR200348397Y1 (ko) 2004-04-29

Family

ID=494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891U KR200348397Y1 (ko) 2004-01-13 2004-01-13 온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11190U (en) Assembled heating pad
US20080182071A1 (en) Dual purpose mat
KR101475491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KR200348397Y1 (ko) 온열 매트
KR102051429B1 (ko)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KR200437382Y1 (ko) 열전달을 위한 공기층을 갖는 온수 매트
US4903356A (en) Bedclothes
KR101441229B1 (ko)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KR200491794Y1 (ko) 통풍 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온열 매트
KR200358567Y1 (ko) 사계절용 매트
KR200485217Y1 (ko) 열기 또는 냉기 전달이 용이한 올 폼 매트
KR200272818Y1 (ko) 침구매트
CN204500080U (zh) 皮毛一体化冬夏两用远红外保健弹性电热薄床垫
JP4377795B2 (ja) 就眠用加温具
KR100736454B1 (ko) 사계절용 매트
KR102391035B1 (ko) 온수매트
KR200178969Y1 (ko) 냉온방 겸용 매트
KR200347298Y1 (ko) 온열 매트
JP3142141U (ja) 寝具用マット
KR200226600Y1 (ko) 사계절용 매트
KR100541019B1 (ko) 옥매트가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0398091Y1 (ko) 온열장치가 내장된 대자리
KR200296266Y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부분 발열형 돗자리 구조
TWM603313U (zh) 冬夏兩用石墨烯發熱墊
US20200237110A1 (en) Structure of inflatable mattress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