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383Y1 - 패트망옹벽 - Google Patents

패트망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83Y1
KR200348383Y1 KR20-2003-0040344U KR20030040344U KR200348383Y1 KR 200348383 Y1 KR200348383 Y1 KR 200348383Y1 KR 20030040344 U KR20030040344 U KR 20030040344U KR 200348383 Y1 KR200348383 Y1 KR 20034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pat
retaining wall
pe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근 filed Critical 최영근
Priority to KR20-2003-004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트망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트선(11)을 중복되게 꼬며 보강테두리(30)에 의해 사각형 혹은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된 패트망(10)의 내측 후방에 섬유매트(20)를 위치시켜 뒷채움 되는 흙이 상기 패트망(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태로 석재(5)를 채워서 완성하는 옹벽에 있어서, 상기 패트망(10)과 패트망(10)의 덮개와 측부를 밀폐시켜 고정하는 조임쇠(12)와 보강테두리(30)가 폐플라스틱(PET병)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되며, 상기 섬유매트(20)는 볏집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장섬유부직포가 부착되고, 상기 패트망(10)은 지름이 0.5cm-1cm이며, 상기 보강테두리(30)는 지름이 3cm-5cm로 가공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채워진 석재의 전방으로 흙과 판상의 잔디를 차례로 배치하여 개비온 옹벽의 전면으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자재를 폐플라스틱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함으로써 폐자재의 재활용이라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패트망옹벽{A pet net breast}
본 고안은 패트망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면에 잔디 등의 식물이 살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여 외관이 미려하며, 폐플라스틱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함으로써 폐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비온은 돌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철망으로 형성된 박스인 것으로, 그 내부에 돌을 채워 넣음으로써 중량이 된 개비온은 도로변 옹벽구조물이나 비탈면의 침식방지 및 하천법면 시설물 등 그 용도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은 망눈의 모양에 따라 크게 육각망 개비온과 사각망 개비온으로 분류되며, 각종 토목공사시 절개지나 성토부 및 절토부 등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 및 개비온 옹벽 등을 시공하고 있다.
상기한 개비온 옹벽의 경우 공사진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공사현장 주변에서 개비온 박스에 채워질 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뒷채움도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등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저렴하게 공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늘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개비온 옹벽은 특수아연도금 철선으로 중복되게 꼬아서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한 망과 망을 상호 결속하고, 망 내부에는 옹벽 뒤쪽에 채워지는 흙이 내입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위치시킨 다음 돌(조약돌 또는 깬 돌)을 채워서 완성하는 옹벽 구조물로서 어떤 시공조건이나 환경 여건에도 적응력이 뛰어나고 내부식성, 내화학성으로 내구성이 강한 환경 친화적인 옹벽 구조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아연도금이 강화되고 고강도의 철판망으로 형성된 철판망 개비온이 점점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철판망은 철판에 일정 모양의 절단선을 프레싱한 후 철판을 늘려 망을 형성시킨 엑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인 것으로 각종 기기의 안전망이나 공장의 바닥망 또는 낙석방지용펜스등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기종의 개비온옹벽의 일례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2-0017773호는 철판망과 보강 테두리에 의해 다면체의 케이스로 형성된 보강토 상자 돌망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한쪽 면에는 그 한쪽 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연장시킨 저항력 증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항력 증강부는 케이스의 한쪽 면을 이루는 철판망에서 연장 형성하며, 상기 저항력 증강부는 케이스의 하면에 결속구로 결합 고정되도록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고 장방형의 철판망 양쪽가장자리에 보강테두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상자 돌망태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개비온옹벽은 다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모서리부에 결속구로 결속을 하였어도 결속력이 약하여 육중한 석재들의 하중에 손상이 되기 쉬우며, 특히 철망에 아연도금을 하는 지금의 상태로는 재료비의 상승으로 인한 시공단가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개비온 옹벽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패트망옹벽의 노출부 측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여 외관이 미려한 환경 친화적인 패트망옹벽을 제공하고 또한 다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모서리부에 보강테두리를 설치하며 무엇보다도 사용자재를 폐플라스틱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함으로써 시공단가의 감축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패트선을 중복되게 꼬며 보강테두리에 의해 사각형 혹은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된 패트망의 내측 후방에 섬유매트를 위치시켜 뒷채움 되는 흙이 상기 패트망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태로 석재를 채워서 완성하는 옹벽에 있어서, 상기 패트망의 덮개와 측부를 밀폐시켜 고정하는 조임쇠와 보강테두리가 폐플라스틱(PET병)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PET)재질로 되며, 상기 섬유매트는 볏집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장섬유부직포가 부착된 것이며, 상기 패트망은 지름이 0.5cm-1cm이며, 상기 보강테두리는 지름이 3cm-5cm로 가공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망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패트망옹벽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패트망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패트망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 : 석 재 10 : 패트망
11 : 패트선 12 : 조임쇠
20 : 섬유매트 30 : 보강테두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패트망옹벽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패트망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패트망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패트망옹벽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인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패트선(11)을 중복되게 꼬며 보강테두리(30)에 의해 사각형 혹은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된 패트망(10)의 내측 후방에 섬유매트(20)를 위치시켜 뒷채움 되는 흙이 상기 패트망(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상태로 석재(5)를 채워서 완성하는 옹벽에 있어서, 상기 패트망(10)과 패트망(10)의 덮개와 측부를 밀폐시켜 고정하는 조임쇠(12)와 보강테두리(30)가 폐플라스틱(PET병)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PET)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패트망옹벽의 주요 구성요소인 패트망(10)과 조임쇠(12)와 보강테두리(30)의 재질을 산업현장에서 흔히 배출되는 폐플라스틱(PET병)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PET)을 이용함으로써 폐자재의 재활용이라는 이점이 있게된다.
또한 석재(5)를 패트망(10)의 내측부에 포설할때에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조임쇠(12)와 견고한 보강테두리가 모서리부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섬유매트(20)는 볏집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장섬유부직포가 부착되어 뒷채움 되는 흙이 상기 패트망(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패트망(10)은 지름이 0.5cm-1cm로 제작되며, 상기 보강테두리(30)는 지름이 3cm-5cm로 가공되어 제작되게 된다.
그리고 부식물 비료 또는 부엽토가 혼합된 흙을 사용하여 식물의 자생력을 높일 수 있도록 패트망 속에 채워지는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부에 흙을 채워 패트망옹벽의 내구성을 보강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토목공사시 절개지나 성토부 및 절토부등에 적용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옹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고안에 의하면 기존 시공되고 있는 개비온 옹벽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한 옹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옹벽의 전면으로 녹지를 조성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환경친화성의 패트망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트망옹벽은 채워진 석재의 전방으로 흙과 판상의 잔디를 배치하여 패트망옹벽의 전면으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자재를 폐플라스틱을 가공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함으로써 폐자재의 재활용이라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패트선(11)을 중복되게 꼬며 보강테두리(30)에 의해 사각형 혹은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된 패트망(10)의 내측 후방에 섬유매트(20)를 위치시켜 뒷채움 되는 흙이 상기 패트망(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태로 석재(5)를 채워서 완성하는 옹벽에 있어서, 상기 패트망(10)과 패트망(10)의 덮개와 측부를 밀폐시켜 고정하는 조임쇠(12)와 보강테두리(30)가 폐플라스틱(PET병)을 재활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망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매트(20)는 볏집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장섬유부직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망옹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트망(10)은 지름이 0.5cm-1cm이며, 상기 보강테두리(30)는 지름이 3cm-5cm로 가공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망옹벽.
KR20-2003-0040344U 2003-12-27 2003-12-27 패트망옹벽 KR20034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44U KR200348383Y1 (ko) 2003-12-27 2003-12-27 패트망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44U KR200348383Y1 (ko) 2003-12-27 2003-12-27 패트망옹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075A Division KR20050066727A (ko) 2003-12-27 2003-12-27 패트망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83Y1 true KR200348383Y1 (ko) 2004-04-28

Family

ID=4934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344U KR200348383Y1 (ko) 2003-12-27 2003-12-27 패트망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46B1 (ko)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46B1 (ko)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eisen The role of geosynthetics i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An overview
CA2713304C (en) Erosion control ballast and soil confinement mat
EP0889173A1 (en) Reinforcement frame fo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structures utilizing the same reinforcement frame
KR100737768B1 (ko) 식생게비온판넬
KR100753958B1 (ko)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200348383Y1 (ko) 패트망옹벽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209477B1 (ko) 친환경 블록 개비온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58928B1 (ko)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20050066727A (ko) 패트망옹벽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097B1 (ko) 칼라 투수콘 개비온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칼라 투수콘 개비온 조립체
KR101035264B1 (ko) 연속섬유보강토를 활용한 식생호안의 조성방법
WO2006025657A1 (en) Vegetation type non woven fabric, revetment structure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H10159102A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CN207727597U (zh) 一种林业防护用护坡装置
JPH0756330Y2 (ja) 地盤構築材
KR101130240B1 (ko) 철망을 이용한 바닥면의 시공방법
CN201103085Y (zh) 塌陷区植被双面加筋土挡墙
JP3643114B2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KR200253330Y1 (ko)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20110088020A (ko) 생태복원매트가 결합된 매트리스 개비온
KR101091728B1 (ko) 친환경 레진블록
Theisen The expanding role of geosynthetics i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