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366Y1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66Y1
KR200348366Y1 KR20-2003-0037314U KR20030037314U KR200348366Y1 KR 200348366 Y1 KR200348366 Y1 KR 200348366Y1 KR 20030037314 U KR20030037314 U KR 20030037314U KR 200348366 Y1 KR200348366 Y1 KR 200348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interdental
teeth
main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임
Original Assignee
권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임 filed Critical 권대임
Priority to KR20-2003-0037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솔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치솔과 치간치솔을 일체화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편익증진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치솔(1)은,
본체(10)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개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와 인접한 측방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공(23) 및 중앙부에 반원형의 요입홈(22)을 형성한 수납홈(20)과,
그 단면형상이 원형 내지는 다각형을 이루며 일측 선단에는 세척솔(3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대칭형의 회동돌기(32)를 형성하여 수납홈(20)의 관통공(23)과 결합을 통해 회동자유롭게 개재되는 치간치솔(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솔{Tooth stick}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치솔에 있어서, 상기 치솔에 치아사이의 이물질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간치솔을 더 구비한 치솔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솔은 식후 내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구강내 잔존하는 음식물찌꺼기나 세균등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는 양치질 도구로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한 스틱형 본체와 그 일측 선단으로 미세한 다수의 세척모가 모식된 헤드부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수행할 경우 헤드부에 모식된 치솔모 상방에 일정량의 치약을 도포하여 구강내 치아를 비롯하여 잇몸, 혀등과 접촉하여 구강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통상의 치솔을 이용한 양치질은 밀착된 치아와 치아사이를 비롯하여 구강내 깊은곳에 위치하는 어금니부위의 이물질이나 세균등을 제거하기에는 헤드부가 가지는 일정규격으로 인해 상당히 난이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치아의 손상이나 교정을 위해 시술된 보철물의 경우 통상의 치솔로서는 치아와 보철물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나 세균등의 제거가 극히 난이하여 잇몸병이나 충치등 구강질병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통상의 치솔을 통한 일반적인 양치후 치아와 치아사이를 비롯하여 치아와 보철물 사이와 같이 미세한 틈새의 이물질이나 세균등을 세척하기 적합한 치간치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치간치솔은 통상의 치솔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스틱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선단으로 그 직경이 1mm내외의 가는 샤프트가 형성되고, 그 샤프트 외주연으로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의 세척솔이 형성된 헤드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치간치솔은 헤드에 형성된 세척솔을 이용하여 통상의 치솔이 닿지 않는 구강내 깊숙한 부위인 어금니를 비롯해 치아와 치아사이, 치아와 보철물 사이를 세척한다.
이상과 같이 치간치솔은 구강내 청결성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수요가 널리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통상의 치솔과 치간치솔을 중복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안고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의 여행이나 기타 이동시 통상의 치솔과 함께 치간치솔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취급이나 보관등이 용이하지 못하고, 취급부주의에 의한 분실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치솔과 치간치솔을 일체화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편익증진 도모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의 치간치솔의 전개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치솔 10;본체
20;수납홈 21;개방부
22;요입홈 23;관통공
30;치간치솔 31;세척솔
32;회동돌기 33;고정돌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치솔의 치간치솔의 전개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치솔(1)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스틱형의 본체(10)와 본체(10) 일측 선단에 구비된 헤드(11) 상방으로 치솔모(12)를 모식하여 구성된 통상의 치솔에, 상기 치솔 헤드(11)와 상반되는 본체(10) 타측으로 채널형의 수납홈(20)을 형성하고, 이러한 수납홈(20)내방으로 치간양치에 적용되는 치간치솔(30)을 일체로 수납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납홈(20)은 일측은 치솔 본체(10)의 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개방부(21)를 이루도록 하고, 타측은 본체(10)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수납홈(20)은 중앙부에 수납된 치간치솔(30)의 전개가 용이하도록 반원형의 요입홈(22)을 대칭형으로 더 구비한다.
상기 수납홈(20)에는 치간치솔(30)의 수납상태 및 전개상태의 유지와 용이한 회동을 이루기 위해 개방부(21)와 인접한 부위에 수납홈의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다수 개의 관통공(23)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치솔 본체(10)에 형성된 수납홈(20)에 안치되어 치간양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치간치솔(30)은,
그 단면이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수납홈(20)의 전장에 상응하는 규격으로, 일측 선단에는 치아의 세척에 요구되는 세척솔(3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대칭형의 회동돌기(32)를 형성하여 수납홈(20)의 관통공(23)과 결합을 통해 회동자유롭게 개재된다.
또한 치간치솔(30)은 회동돌기(32)와 더불어 수납홈(20)의 수납상태 및 전개시 고정력 확보를 위해 회동돌기(3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돌기(33)를 더 구비하며, 이러한 회동돌기(32)와 고정돌기(33)는 수납홈(20)에 형성된 관통공(23)과 그 형성수와 위치를 동일시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치솔(1)은 초기 상태는 도 1에서와 같이 치간치솔이 본체의 수납홈에 수납된 상태로서, 사용자는 헤드에 모식된 치솔모를 통해 통상의 양치를 수행한다.
이어 통상의 양치를 완료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치간양치를 수행할 경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체 수납홈(20)에 수납된 치간치솔(30)을 사용자는 요입홈(22)을 통해 치간치솔(30)을 파지하여 전개하고, 이러한 전개후 치간치솔(30)의 전개상태 유지는 물론 치간양치시 치간치솔(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기(33)를 수납홈(20) 측방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관통공(23)과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치간치솔(30)을 전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치아와 치아사이 내지는 치아와 보철물 상간을 양치하여 통상의 치솔을 통해 세척되지 못한 이물질과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치간치솔(30)을 이용하여 치간양치를 완료한 사용자는 전개된 치간치솔(30)을 회동돌기(32)의 힌지작용으로 다시 수납홈(20)에 수납하며, 이 때 치간치솔(30)에 형성된 고정돌기(33)가 전개시 결합되는 관통공(23)과 상반되는 위치의 관통공(23)과 체결되도록 하여 수납상태 유지에 따른 통상의 치솔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인 치솔은 사용자의 치아와 치이사이의 간격이나 치아와 보철물 상간의 간격등과 같은 구강상태에 따라 치간치솔(3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치간양치를 위해 다양한 규격의 치간치솔을 동시에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통상의 치솔에 비하여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짧은 치간치솔(30) 마모시 수납홈(20)에 개재되는 치간치솔만(30) 교체함으로서 전체 치솔 교체 없이 지속적인 치간양치가 가능하여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치솔은 통상의 양치에 적용되는 치솔과 치아와 치아사이 및 치아와 보철물 상간의 양치에 적용되는 치간치솔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치솔과 치간치솔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익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스틱형의 본체(10)와 본체(10) 일측 선단에 구비된 헤드(11) 상방으로 치솔모(12)를 모식하여된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상기 치솔(1)은,
    본체(10)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개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와 인접한 측방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공(23) 및 중앙부에 반원형의 요입홈(22)을 형성한 수납홈(20)과,
    그 단면형상이 원형 내지는 다각형을 이루며 일측 선단에는 세척솔(3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대칭형의 회동돌기(32)를 형성하여 수납홈(20)의 관통공(23)과 결합을 통해 회동자유롭게 개재되는 치간치솔(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간치솔(30)은 회동돌기(32)와 근접한 위치에 고정돌기(3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KR20-2003-0037314U 2003-11-29 2003-11-29 치솔 KR200348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14U KR200348366Y1 (ko) 2003-11-29 2003-11-29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14U KR200348366Y1 (ko) 2003-11-29 2003-11-29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66Y1 true KR200348366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314U KR200348366Y1 (ko) 2003-11-29 2003-11-29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79B1 (ko) * 2010-01-26 2013-01-21 홍석관 치간 소제기가 부설된 칫솔
KR101369141B1 (ko) * 2012-08-28 2014-03-04 노창현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79B1 (ko) * 2010-01-26 2013-01-21 홍석관 치간 소제기가 부설된 칫솔
KR101369141B1 (ko) * 2012-08-28 2014-03-04 노창현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9091B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US3978852A (en) Plaque jack toothbrush
US5980542A (en) Tongue cleaner
US1784986A (en) Toothbrush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US6397858B1 (en) Dental concave and convex rake
KR200348366Y1 (ko) 치솔
KR102328578B1 (ko) 조립이 간단하고 청결하게 사용되는 회전식 칫솔.
KR100592089B1 (ko) 칫솔헤드
KR101071913B1 (ko) 구강마사지가 가능한 칫솔
US20050071939A1 (en) Dual head toothbrush
KR200466471Y1 (ko) 치석 및 치태 제거 기능을 갖는 칫솔
JPH1142116A (ja) 歯ブラシ
KR20200000359U (ko) 헤드부 교체 구조를 갖는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JP2002101955A (ja) 歯間ブラシ
KR200321486Y1 (ko) 칫솔
KR20060095054A (ko) 원통형 칫솔
RU2049418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0282476Y1 (ko) 칫솔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KR200385029Y1 (ko) 원통형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