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57Y1 - 장식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57Y1
KR200347757Y1 KR20-2004-0001977U KR20040001977U KR200347757Y1 KR 200347757 Y1 KR200347757 Y1 KR 200347757Y1 KR 20040001977 U KR20040001977 U KR 20040001977U KR 200347757 Y1 KR200347757 Y1 KR 200347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culpture
decorative
lighting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20-2004-000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8Office articles, e.g. bookmarks, desk lamps with drawers, stands for books or music s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 기구를 적용하는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부에 장식용 전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와 연질 금속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이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형성되어 연질 금속선의 굴곡에 의해 각 조형물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식용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효과가 대폭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조명 장치{A illumination apparatus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메모리부 및 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장식용 전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질 금속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과, 상기 조형물에 내재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연질 금속선의 굴곡에 의해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식용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LED)의 조명 기구에 의해 디스플레이 효과가 대폭 증가되는 장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부에 장식용 전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와 연질 금속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이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형성되어 연질 금속선의 굴곡에 의해 각 조형물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식용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효과가 대폭 증가되는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식용 조명 장치의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리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용 조명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메모리부
3 : 전지 4 : 전구
5 : 조형물 6 : 금속선
7 : 발광 다이오드 8 : 스위치
9 : 방향제 케이스 10 : 메모 꽂이대
본 고안의 장식용 조명 장치는 메모리부(2) 및 전지(3)로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장식용 전구(4)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연질 금속선(6)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과, 상기 조형물(5)에 내재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임의로 착. 탈되는 방향제 케이스(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메모 꽂이대(10)가 구성된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조명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조명 장치의 분리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조명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장식용 조명 장치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일정한 크기의 본체(1)가 형성된다. 본체(1)는 일반적으로 돔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전원 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 장치는 조명 기구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고성능 전지(3)와 상기 전지(3)의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조명 기구의 모양과 상태를 제어하는 메모리부(2)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부(2)를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작동 스위치(8)가 상기 본체(1) 측부의 한 지점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내장된 전지(3)를 교환하기 위하여 임의로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체(1)의 상부 중앙부에 다양한 색상의 장식용 전구(4)가 형성된다. 장식용 전구(4)는 본체(1)의 전원 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식용 전구(4)는 장식의 목적에 맞는 열매나 인물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의 상부에 다수개의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이 형성되며, 상기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은 상기 본체(1)의 상부 중앙부의 장식용 전구(4)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각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은 연질 금속선(6)에 의해 본체(1)의 상부와 개별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연질 금속선(6)의 굴곡에 의해상기 각 조형물(5)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로 조절하여 장식용 조명 장치의 외형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1)의 상부와 각 조형물(5)을 연결하는 연질 금속선(6)은 일정한 직경의 동선이나 철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각 조형물(5)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선을 적용하여 본체(1) 상부와 각 조형물(5)을 연결하고 상기 동선의 단부에 발광 다이오드(LED, 7)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증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형광도료나 야광도료 등의 각종 기능성 도료가 첨가되거나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체(1) 상부에 연결되는 각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에 내재되어 상기 조형물(5) 자체를 발광시키거나 반사시키는 발광 다이오드(LED, 7)가 형성된다. 발광 다이오드(LED, 7)는 본체(1)의 전원 장치와 동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형물(5)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가 발광하면 상기 조형물(5)이 자체적으로 발광되거나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효과가 대폭 증가된다.
또한, 본체(1)의 하부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상부 외경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하부에 임의로 착. 탈되는 방향제 케이스(9)가 형성된다. 방향제 케이스(9)의 내부에는 방향제가 충전되고, 상기 방향제 케이스(9)의 측부에는 상기 충전된 방향제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의 상부의 한 지점에 L자 형상의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일정한 사이즈의 메모 꽂이대(10)가 구성된다. 상기 메모 꽂이대(10)는 메모나 연락처 안내나 광고선전 문건 등을 꽂아서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식용 조명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구성 및 기술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각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의 수효 및 형상 및 크기나 장식용 전구(4)의 형상 및 크기나 방향제 케이스(9)의 장착 부위 및 형태나 메모 꽂이대(10)를 지지하는 지지봉의 형태 및 굴곡 가능 여부 등과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당업자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식용 조명 장치를 사무실 책상이나 자동차의 테이블이나 상품 진열대 등에 거치하고, 상기 장식용 조명 장치의 본체(1) 측부의 작동 스위치(8)를 켜서 상기 본체(1) 상부의 장식용 전구(4)와 조형물(5)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를 발광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본체(1) 상부의 장식용 전구(4)가 발광하면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이 미려하게 시인되고, 조형물(5)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가 발광하면 상기 조형물(5)이 자체적으로 발광되거나 반사되어 장식용 조명 장치의 외관이 대단히 미려해진다. 상기와 같이 거치된 장식용 조명 장치의 각 연질 금속선(6)를 굴곡하여 상기 연질 금속선(6)의 단부에 결합된 각 조형물(5)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 조절하므로서 상기 장식용 조명 장치의 외형을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서 장기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장식용 조명 장치의 본체(1)에 장착되는 방향제 케이스(9)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제 성분에 의해 실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지지봉의 단부에 형성된 메모 꽂이대(10)에 메모나 연락처 안내나 광고선전 문건 등을 꽂아서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조명 장치는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부에 장식용 전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와 연질 금속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이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에 내재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형성되어 연질 금속선의 굴곡에 의해 각 조형물의 모양과 상태를 임의 조절하고 장식용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LED)가 발광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외관이 대단히 미려하고 장식 효과가 탁월하며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메모리부(2) 및 전지(3)로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가 내재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장식용 전구(4)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연질 금속선(6)으로 각각 연결되는 잎새 또는 꽃잎 조형물(5)과, 상기 조형물(5)에 내재되어 상기 전원 장치에 연계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임의로 착. 탈되는 방향제 케이스(9)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메모 꽂이대(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 장치.
KR20-2004-0001977U 2004-01-28 2004-01-28 장식용 조명 장치 KR200347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77U KR200347757Y1 (ko) 2004-01-28 2004-01-28 장식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77U KR200347757Y1 (ko) 2004-01-28 2004-01-28 장식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57Y1 true KR200347757Y1 (ko) 2004-04-17

Family

ID=4942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977U KR200347757Y1 (ko) 2004-01-28 2004-01-28 장식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53U (ko) 2017-10-13 2019-04-23 황성혜 스탠드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53U (ko) 2017-10-13 2019-04-23 황성혜 스탠드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044B2 (en) Waterproof light-emitting-diode illuminating device
US5577831A (en) Light-emitting structure of a decorative toy
CA3010527C (en) 360-degree led light-emitting flame lamp
KR20120084999A (ko) 조명 장치
KR200347757Y1 (ko) 장식용 조명 장치
US20220228734A1 (en) Touch control lamp
US6145999A (en) Battery device
JP2009252502A (ja) 発光風船の照明具
US20060250805A1 (en) String of decorative pendant lamps for sunblind decoration
JP3110114U (ja) 防水型led発光装置
KR200191504Y1 (ko) 장식탁자
US20050111224A1 (en) Swing lamp adapted to show flickering light and shade
JP3214572U (ja) 照明装置
WO2007023261A3 (en) A lamp
KR200396726Y1 (ko) 조명화병
CN2828541Y (zh) 充气彩灯
JP2005158546A (ja) 照明装置
KR102454047B1 (ko) 실내조명 및 장식기능을 갖는 상징조형물
KR200305576Y1 (ko) 난조사각을 갖는 조명램프 케이스
KR200495137Y1 (ko) 조명 꽃풍선
US20090122539A1 (en) Light-emitting decorating device
KR19980025137U (ko) 향기나는 장식등.
CN210319809U (zh) 一种可随风摇曳的照明装饰灯具
US20060203474A1 (en) Device for providing internal illumination of live flowers and other products
KR20190000953U (ko) 스탠드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