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911Y1 - A cup suppl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cup suppl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911Y1
KR200345911Y1 KR20-2004-0000670U KR20040000670U KR200345911Y1 KR 200345911 Y1 KR200345911 Y1 KR 200345911Y1 KR 20040000670 U KR20040000670 U KR 20040000670U KR 200345911 Y1 KR200345911 Y1 KR 200345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rame
magazine
tong mechanism
t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6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근
최기훈
Original Assignee
김동근
최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근, 최기훈 filed Critical 김동근
Priority to KR20-2004-0000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9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911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컵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12)를 구비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12)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최하단의 컵을 잡아주는 제1집게기구(2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12)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집게기구(20)에 잡혀진 컵의 상부에 구비된 컵을 지지하는 제2집게기구(30)와, 상기 제1집게기구(20)와 제2집게기구(30)가 시차를 두고 컵을 잡고 놓을 수 있도록 집게기구(20,30)를 구동하여 최하단의 컵이 배출되게 하는 구동버튼부와, 상기 관통부(12)와 연통되게 프레임(10)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매거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하였다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feed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10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12 through which a cup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is provided on the frame 10 so that a tip thereof is selectively protrud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2 to be the lowest end. The first tong mechanism 20 for holding a cup of the cup, and the cup 10 is provided in the frame 10 and its tip is selectively protruded into the interior of the through portion 12, the cup is caught in the first tong mechanism 20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for supporting the cup provided at the top of the, and the first tong mechanism 20 and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so as to hold the cup at a time difference, the tong mechanism (20, 30) And a driving button unit for discharging the lowermost cup and a magazine 60 coupled to the frame 10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art 12 and storing a plurality of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p can be stored hygienically and conveniently used.

Description

컵공급장치{A cup supplying apparatus}A cup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컵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종이컵을 다수개 적층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자가 하나씩 꺼내어 쓸 수 있도록 공급하는 컵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feed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disposable paper cups are stacked and supplied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one by one.

물, 음료 등을 덜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을 사용하는데, 특히 하나의 컵을 여러 사람이 쓰지 않도록 위생상의 이유에서 사무실이나 포장마차 등에서 종이컵을 많이 사용한다. 즉, 컵 사용자의 위생과 컵 제공자의 편의를 위해 종이컵을 사용한다.Cups are used to drink water and drinks, especially paper cups in offices and stalls for hygiene reasons, so that many people do not use one cup. In other words, paper cups are used for the hygiene of cup users and the convenience of cup providers.

하지만, 종이컵을 위생상의 이유에서 사용하기는 하지만, 보관하는 상태는 그리 위생적이지 못하다. 즉, 상기 종이컵을 따로 수납하여 보관할 만한 장치가 없어 종이컵을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두었다가 사용한다. 따라서, 종이컵의 보관과정에서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접근하거나 먼지가 종이컵에 묻게 되어 위생상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lthough paper cups are used for hygienic reasons, their storage conditions are not very hygienic. That is, there is no device to store and store the paper cup separately so that the paper cup is placed in a convenient position for use. Therefore, pests such as cockroaches in the storage process of the paper cup, or dust may be buried in the paper cup may cause a greater hygiene problem.

그리고, 종이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판매시에 종이컵이 다수개 적층되어 삽입되는 긴 비닐봉지에 그대로 둔 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비닐봉지에서 종이컵을 꺼내는 과정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keep the paper cups hygienically, a plurality of paper cups may be used as they are left in a long plastic bag that is stacked and inserted at the time of sal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paper cup from the plastic bag becomes inconvenien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컵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up supply apparatus capable of hygienically storing a cup.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관된 컵을 보다 편리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컵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feeding device that can be used to take out the stored cup more convenien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공급장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up supply apparatus to be installed and used in more various way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공급장치에서 컵을 공급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noise when feeding the cup from the cup feed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공급장치에 보관되는 컵의 갯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vary the number of cups to be stored in the cup supply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컵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게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ceps mechanism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버튼과 커버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button and a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프레임 12: 관통부10: frame 12: through part

14: 상단플랜지 14': 연통부14: upper flange 14 ': communication part

15: 하단플랜지 16: 버튼수납부15: Lower Flange 16: Button Storage

17: 회전중심축 18: 걸이부17: center of rotation axis 18: hook portion

20: 제1집게기구 21,21': 제1 및 제2 집게레버20: first tong mechanism 21,21 ': first and second tong lever

22: 회전중심공 24: 캠팔로워22: center of rotation 24: cam follower

26: 지지걸이부 30: 제2집게기구26: support hanger 30: second clamp mechanism

31,31': 제1 및 제2 집게레버31,31 ': First and second forceps

32: 회전중심공 34: 캠팔로워32: center of rotation 34: cam follower

36: 지지걸이부 40: 구동버튼36: support hanger 40: drive button

42: 누름면 45,46: 제1 및 제2캠홈42: press surface 45,46: first and second cam grooves

50: 커버 52: 관통부50: cover 52: through part

54: 버튼통공 55: 스토퍼54: button through 55: stopper

60: 매거진 60': 확장매거진60: Magazine 60 ': Expansion Magazine

62: 연결링 64: 캡62: connecting ring 64: cap

70: 배출슈트 72: 통공부70: discharge chute 72: through hole

76: 컵걸이부 78: 배출부76: cup hanger 78: discharge part

80: 수직베이스 81: 안착곡면80: vertical base 81: seating surface

84: 걸이턱 90: 수평베이스84: hanger 90: horizontal base

97: 보조컬럼97: secondary colum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최하단의 컵을 잡아주는 제1집게기구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집게기구에 잡혀진 컵의 상부에 구비된 컵을 지지하는 제2집게기구와, 상기 제1집게기구와 제2집게기구가 시차를 두고 컵을 잡고 놓을 수 있도록 집게기구를 구동하여 최하단의 컵이 배출되게 하는 구동버튼부와,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프레임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having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cup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the front end is provided in the frame selectively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portion A first clamp mechanism for holding a cup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econd tip provided at the frame to selectively protrude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to support a cup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cup held by the first clamp mechanism Clamping mechanism,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mechanism to drive the clamping mechanism to hold the cup at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rive button portion to discharge the lowermost cup, coupled to the frame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And a magazine in which a plurality of cups are stored.

상기 제1 및 제2 집게기구는 각각 한쌍의 집게레버로 구성되어 컵의 상단 가장자리 양측을 잡아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의 집게레버 선단이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ongs mechanisms is configured by a pair of tongs levers so as to hold both sides of the upper edge of the cup so that each of the tongs levers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상기 제1 및 제2 집게기구와 구동버튼부는 각각 캠과 캠팔로워에 의해 연동된다.The first and second tong mechanisms and the driving button portion are interlocked by cams and cam followers, respectively.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집게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The clampi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frame is shielded by a cover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관통부와 연통되게 배출슈트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부에는 컵의 상단부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컵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컵걸이부의 일부는 잘라내어져 배출부를 형성한다.The lower part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hute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portion of the frame,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chute is provided with a cup hanger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end of the cup, a portion of the cup hanger is cut out portion Form.

상기 메거진에는 연결링을 통해 또 다른 메거진을 연결하여 컵이 보관되는 숫자를 늘리고 상기 메거진의 최상단에는 메거진의 내부를 차폐하는 캡이 구비된다.The magazine is connected to another magazine through a connecting r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cups stored, and the top of the magazine is provided with a cap that shields the inside of the magazine.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베이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을 수직면에 지지하는 것으로 그 높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소정의 높이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A vertical base is further provided to support the frame. The vertical base supports the frame on a vertical surface, and a hooking jaw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eight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frame is selectively wal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수직베이스의 배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의 장착을 위한 안착곡면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base is formed with a mounting curved surface for mounting on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up and down.

상기 수직베이스의 하단에는 수평베이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을 수직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면에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베이스에는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컬럼이 더 구비된다.A horizontal base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ase, wherein the horizontal base supports the frame on a horizontal plane while being mounted on the vertical base, and the horizontal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lumn for supporting the fram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을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필요시에 하나씩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up can be stored more hygienically and at the same time can be taken out and used as needed,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ways.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컵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컵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게기구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버튼과 커버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ng mechanism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button and co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cip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예의 컵공급장치에는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해 공급되는 컵, 일반적으로는 종이컵의 직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up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rame 10.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frame 10 up and down.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cup, generally a paper cup, supplied by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관통부(12)와 연통되게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상단플랜지(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플랜지(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거진(60)이 장착된다. 상기 상단플랜지(14)에는 서로 마주보게 연통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집게기구(20,20)의 일측이 상기 관통부(12)로 돌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통부(14')를 벗어난 상단플랜지(14)의 부분과 대응되는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스토퍼(14s)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4s)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거진(60)이 상기 상단플랜지(14)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An upper flange 14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art 12. The upper flange 14 is equipped with a magazine 60 to be described below. The upper flange 14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portion 14 ′ facing each other. The communicating portion 14 ′ serves to allow one side of the forceps 20 and 20 to be described below to protrude into the through portion 12. A stopper 14s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4 that is out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14 '. The stopper 14s serves to reg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magazine 6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upper flange 14.

상기 관통부(12)와 연통되게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는 하단플랜지(15)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플랜지(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슈트(70)가 장착된다.The lower flange 1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art 12. The lower flange 15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chute 7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프레임(10)의 선단에는 버튼수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수납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버튼(40)이 안착된다. 상기 버튼수납부(16)의 입구에는 구동버튼(40)의 네 모서리에 대응되게 버튼가이드(16')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가이드(16')는 상기 구동버튼(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button housing portion 16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10. The button storage unit 16 is mounted to the drive button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button guide 16 ′ is formed at an inlet of the button storage unit 16 to correspond to four corners of the driving button 40. The button guide 16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rive button 40.

상기 버튼가이드(16')가 형성된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중심축(1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7)은 상기 버튼가이드(16')를 중심으로 양단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집게기구(20,30)가 설치된다.The central shaft 1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on which the button guide 16 'is formed. Two rotation center shafts 17 are formed, one at each end with respect to the button guide 16 '. The rotary center shaft 17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tong mechanisms 20 and 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프레임(10)의 후단, 즉 상기 버튼수납부(16)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걸이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8)는 상기 프레임(10)을 아래에서 설명될 수직베이스(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18)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 돌출되고 그 양단부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8)는 상하에 하나씩 쌍으로 형성된다.A hook portion 18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1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from which the button storage portion 16 is formed. The hook portion 18 allows the frame 10 to be fixed to the vertical base 80 to be described below. The hook portion 18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frame 1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both end directions thereof. The hook portions 18 are formed in pairs one at a time.

상기 프레임의 회전중심축(17)에는 제1집게기구(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집게기구(20)를 구성하는 2개의 제1집게레버(21,21')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집게레버(21,21')는 그 일측에 상기 회전중심축(17)이 관통하는 회전중심공(22)을 구비한다.The first tong mechanism 20 is installed on the center of rotation shaft 17 of the frame. That is, two first tong levers 21 and 21 'constituting the first tong mechanism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first tong levers 21 and 21 'have a rotation center hole 22 through which the rotation center shaft 17 penetrates on one side thereof.

상기 회전중심축(17)에 인접한 상기 제1집게레버(21,21')의 단부에는 캠팔로워(24)가 형성된다. 상기 캠팔로워(24)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버튼(40)의 제1캠홈(45)에 삽입되어 안내되어 상기 제1집게레버(21,21')가 구동버튼(4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다.A cam follower 2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forceps lever 21, 21 ′ adjacen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17. The cam follower 24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m groove 45 of the driving button 40 to be described below to guide the first tong levers 21 and 21 'to be driven by the driving button 40. .

상기 제1집게레버(21,21')의 선단에는 각각 지지걸이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걸이부(26)는 상기 연통부(14')를 통해 상기 관통부(12)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걸이부(26)는 상대적으로 집게레버(21,21')의 선단에서 관통부(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컵의 선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Support hangers 26 are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forceps levers 21 and 21 ', respectively. The support hanger part 26 is a part selectively projecting to the through part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14 '. The support hanger 26 relatively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12 from the tips of the forceps levers 21 and 21 'to support the tip edge of the cup.

한편, 제2집게기구(30)는 상기 제1집게기구(20)와 같이 상기 회전중심축(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집게기구(30)는 2개의 제2집게레버(31,31')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집게레버(31,31')에도 그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회전중심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집게레버(31,31') 역시 상기 회전중심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구동버튼(40)의 캠홈(46)과 연동되는 캠팔로워(34)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is installed rotatably on the rotation center shaft 17, like the first tong mechanism (20).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is composed of two second tong levers 31 and 31 '. Rotating center holes 32 are formed in the second forceps levers 31 and 31 'adjacent to one end thereof. The second tong levers 31 and 31 'are also rotated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shaft 17, and have a cam follower 34 interlocked with the cam groove 46 of the drive button 40 at one end thereof. .

상기 제2집게기구(30)를 구성하는 제2집게레버(31,31')의 선단에도 역시 상기 관통부(13)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지지걸이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걸이부(36)는 상기 관통부(13)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컵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걸이부(36)는 상기 지지걸이부(26)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꺼번에 적층되어 있는 컵중에서 최하부의 컵을 제외한 그 상부의 컵을 지지하기 위해 최하부의 컵과 그 위의 컵 사이로 지지걸이부(36)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upport hooks 36 protruding selectively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3 are also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second tong levers 31 and 31 ′ constituting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The support hanger 36 selectively protrudes into the through part 13 to support the top edge of the cup. The support hanger 36 is preferably thinner than the support hanger 26. This is to allow the support hanger 36 to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lowermost cup and the upper cup to support the upper cup except the lowermost cup among the stacked cups.

여기서 상기 제1집게기구(20)는 평상시에 최하단에 구비되는 컵을 포함하는 전체 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집게기구(30)는 상기 최하단의 컵을 배출하기 위한 동작동안 그 상부의 컵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ong mechanism 20 serves to support the entire cup including the cup which is usually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and the second tong mechanism 30 is upper during the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lowermost cup. To support the cups.

구동버튼(40)은 상기 프레임(10)의 버튼수납부(16)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구동버튼(40)은 상기 버튼수납부(16)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상부로 돌출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구동버튼(40)의 네 모서리는 상기 버튼가이드(16')에 의해 안내된다.The driving button 40 is installed in the button storage unit 16 of the frame 10. The drive button 40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side the button housing 16 and tends to protrude relatively upward. Four corners of the driving button 40 are guided by the button guide 16 '.

상기 구동버튼(4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집게레버(21,21')(22,22')의 캠팔로워(24,34)가 안내되는 제1 및 제2 캠홈(45,46)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캠홈(45,46)은 그 형상이 각각 달리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레버(21,21')(22,22')가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캠홈(45,46)은 상기 구동버튼(40)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am grooves 45 and the cam followers 24 and 34 of the first and second tong levers 21, 21 ′, 22 and 22 ′, respectively, are gu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driving button 40. 46) is formed long up and down. The cam grooves 45 and 46 have different shape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ong levers 21, 21 ', 22 and 22' are sequentially drive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am grooves 45 and 46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relatively adjacent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button 40, and are formed to be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do.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커버(50)가 씌워진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상단플랜지(14)의 외측에 해당되는 프레임(10)의 상면을 차폐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집게기구(20,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50)에는 상기 상단플랜지(14)가 그 내주면에 삽입되는 관통부(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버튼(40)과 대응되는 부분에 버튼통공(54)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통공(54)을 상기 구동버튼(40)이 관통한다. 상기 버튼통공(54)의 일측에는 스토퍼(55)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버튼(40)이 상기 버튼통공(54)을 통해 외부로 빠지지 못하게 한다.The cover 50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The cover 50 shields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flange 14.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ong mechanisms 20 and 30 serve to shield the outside from being exposed. To this end, the cover 50 is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52 through which the upper flange 14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ddition, a button through hole 54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button 40. The driving button 40 penetrates through the button hole 54. A stopper 5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utton hole 54 to prevent the driving button 40 from falling out through the button hole 54.

상기 프레임(10)의 상단플랜지(14)에는 매거진(60)이 장착된다. 상기 매거진(6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컵이 적층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매거진(60)은 그 내경이 컵의 최장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magazine 60 is mounted on the upper flange 14 of the frame 10. The magazine 6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up is stacked and seated therein. Therefore, the magazine 60 should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longest outer diameter of the cup.

상기 매거진(60)의 상단에는 연결링(62)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62)은 상기 매거진(60)에 확장매거진(60')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매거진(60')은 상기 매거진(60)에 연결 설치되어 컵의 보관용량을 늘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62)은 상기 매거진(60)과 확장매거진(60')의 단부 외주면에 일부 씩 삽입되어 매거진(60)과 확장매거진(6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장매거진(60')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필요시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ring 62 is optional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gazine 60. The connection ring 62 is to connect the expansion magazine 60 'to the magazine 60. The expansion magazine 60 'is connected to the magazine 60 and serves to 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up. Here, the connection ring 62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magazine 60 and the expansion magazine 60 ', and serves to connect the magazine 60 and the expansion magazine 60'. The expansion magazine 60 'is not necessarily used, but may be additionally used by the user if necessary.

상기 확장매거진(60')의 상단부에는 캡(64)이 구비된다. 상기 캡(64)은 상기 매거진(60,60')의 내부를 차폐하여 외부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캡(64)은 상기 확장매거진(6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매거진(60)의 상단에 연결링(62)은 제거한 상태로 장착된다.A cap 64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xpansion magazine 60 '. The cap 64 serves to shield the inside of the magazine (60, 60 ')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cap 64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magazine 60 when the expansion magazine 60 'is not used, with the connection ring 62 removed.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플랜지(15)에는 배출슈트(70)가 장착된다. 상기 배출슈트(70)는 상기 매거진(60)에 있던 컵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슈트(70)에도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부(72)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관통부(12)와 연통된다. 상기 배출슈트(70)의 상단에는 하단플랜지(15)에 삽입시 상기 버튼수납부(16)와 걸이부(1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부(74)가 형성된다.Next, the discharge chute 70 is mounted to the lower flange 1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 The discharge chute 70 serves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ups in the magazine 60. A through portion 72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chute 70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portion 12 of the frame 10. At the top of the discharge chute 70, an interference avoiding part 74 is form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button receiving part 16 and the hook part 18 when inserted into the lower flange 15.

상기 배출슈트(70)의 하부에는 컵걸이부(76)가 형성된다. 상기 컵걸이부(76)는 그 하단부의 곡률이 컵의 상단부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매거진(60)에서 프레임(10)을 통해 낙하되는 컵이 배출슈트(70)에서 바로 배출되지 않고 걸려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up hanger 76 is formed below the discharge chute 70. The cup hanger 76 is formed such that the curvature of the lower end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end of the cup. This is to ensure that the cup falling through the frame 10 in the magazine 60 is not immediate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chute 70 hanging.

그리고, 상기 컵걸이부(76)의 일부는 잘라내어져 배출부(78)를 형성한다. 이는 상기 컵걸이부(76)에 걸어진 상태의 컵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78)는 컵의 상단 가장자리의 절반정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컵걸이부(76)는 컵의 상단 가장자리의 절반 정도를 둘러싸서 컵을 지지하게 된다.A portion of the cup holder 76 is cut out to form the discharge portion 78.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remove the cup in the state hanged on the cup hanger 76, the discharge portion 78 is preferably formed corresponding to about half of the upper edge of the cup. Thus, the cup hanger 76 surrounds about half of the upper edge of the cup to support the cup.

수직베이스(80)는 상기 프레임(10)을 수직면, 예를 들면 벽면 등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베이스(80)는 소정의 좌우폭을 가지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배면에는 안착곡면(8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곡면(81)은 수직베이스(80)를 원형 단면의 파이프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베이스(80)의 배면은 안착곡면(81)의 양단부분이 서로 동일하게 돌출되어 있어 평평한 수직면에도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The vertical base 80 is for installing the frame 10 on a vertical surface, for example, a wall surface. The vertical base 80 has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s and is formed to be vertically long and has a seating curved surface 81 formed long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seating curved surface 81 is for enabling the vertical base 80 to be stably mounted on a pi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base 80 may be stably seated on a flat vertical surface because both ends of the seating curved surface 81 protrude from each other.

상기 수직베이스(80)의 전면 양단을 따라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측면가이드(8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이드(82)에는 수직베이스(80)의 높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걸이턱(8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84)은 상기 측면가이드(82)의 양단의 것이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형성된다. 도면부호 86은 수직베이스(8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다.Side guides 82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both front ends of the vertical base 80, and the side guides 82 are provided with the hanging jaw 8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base 80. Is formed. The hanging jaw 84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ide guide 82 is at the same height. Reference numeral 86 is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vertical base 80.

한편, 수평베이스(90)는 컵공급장치를 수평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평베이스(90)도 역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base 90 is for mounting the cup feeding device on a horizontal plane. The horizontal base 90 is also not necessarily provided, and may not be used if necessary.

상기 수평베이스(9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 후단에 지지대(9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92) 상에는 삽입홈(9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93)은 상기 수직베이스(80)의 횡단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92)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평베이스(90) 자체에 수직베이스(80)를 안정되게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93)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다면 상기 지지대(92)가 없어도 된다.The horizontal base 9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support 92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insertion groove 93 is formed on the support 92. The insertion groove 93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base 80. Here, the support 92 is not necessarily formed, and if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93 for stably inserting the vertical base 80 to the horizontal base 90 itself can be formed, the support 92 ) Is not required.

상기 수평베이스(90)에는 컬럼삽입홈(95)이 또한 구비된다. 상기 컬럼삽입홈(95)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도 상기 컬럼삽입홈(95)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컬럼삽입홈(95)에는 보조컬럼(97)이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을 수평베이스(90)에 지지하게 된다.The horizontal base 90 is also provided with a column insertion groove (95). The column insertion groove 95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the column insertion groove 95 corresponding to the column insertion groove 95 should also be provided in the frame 10. An auxiliary column 97 is inserted into the column insertion groove 95 to support the frame 10 on the horizontal base 9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컵공급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상태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a에는 제1집게기구(20)에 의해 컵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집게기구(20)를 구성하는 제1집게레버(21,21')의 지지걸이부(26)가 컵의 상단 외주면 가장자리의 돌출부 양단을 각각 걸어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집게기구(20)에 의해 모든 컵이 지지된 상태가 된다.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First,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up is supported by the first tong mechanism 20. In this state, the support hangers 26 of the first tong levers 21 and 21 'constituting the first tong mechanism 20 hang on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cup. Accordingly, all the cups are supported by the first tong mechanism 20.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집게레버(21,21') 및 제2집게레버(31,31')의캠팔로워(24,34)가 각각 상기 구동버튼(40)의 제1 캠홈(45) 및 제2 캠홈(46)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다.In this state, the cam followers 24 and 34 of the first and second tong levers 2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cam tongs 45 and 34 of the driving button 40 are respectively formed. 2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groove 46.

그리고, 상기 제2집게레버(31,31')의 선단은 상대적으로 상기 컵의 양단에서 후퇴된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걸이부(36)가 컵에서 후퇴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the tip ends of the second forceps levers 31 and 31 'are relatively retracted from both ends of the cup so that the support hanger 36 is retracted from the cup.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버튼(40)이 눌러지면 상기 구동버튼(40)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캠팔로워(24,34)가 상기 구동버튼(40)의 제1 캠홈(45) 및 제2캠홈(4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button 40 is pressed, the driving button 40 is moved downwar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cam followers 24 and 34 are made of the driving button 40. The first cam groove 45 and the second cam groove 46 are moved along.

상기 캠팔로워(24,3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집게레버(21,21')(31,31')가 상기 회전중심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팔로워(24,34)가 상기 캠홈(45,46)의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2집게레버(31,31')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걸이부(36)는 상기 연통부(14')를 통해 상기 관통부(12)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집게레버(321,21')는 반대로 관통부(12)에서 빠져나오기 시작한다. 이는 상기 캠홈(45,46)의 상대적으로 상부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캠홈(45,46)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있기 때문이다.As the cam followers 24 and 34 move, the first and second forceps levers 21 and 21 'and 31 and 31' are rotated about the rotation center axis 17. That is, as shown in FIG. 7B, when the cam followers 24 and 34 move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cam grooves 45 and 46, the cam followers 24 and 34 are provided at the tips of the second tong levers 31 and 31 '. The support hanger 36 is moved toward the through part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14 '. Then, the first forceps levers 321 and 21 ', on the contrary, start to exit from the penetrating portion 12.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cam grooves 45 and 46 is opened so as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m grooves 45 and 46.

따라서, 상기 구동버튼(40)이 완전히 눌러지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홈(45,46)의 최상부에 상기 캠팔로워(24,34)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2집게레버(31,31')의 지지걸이부(36)는 최하부의 컵과 그 상부의 컵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의 컵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button 40 is fully pressed, as shown in FIG. 7C, the cam followers 24 and 34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cam grooves 45 and 46, and the second tong lever ( 31 and 31 ′, the support hanger 36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most cup and the upper cup to support the protruding portion at the edge of the upper cup.

그리고, 상기 제1집게레버(21,21')는 상기 최하부의 컵을 지지하던 상태에서상기 지지걸이부(26)가 완전히 최하부의 컵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최하부의 컵은 더 이상 지지되지 않으므로 자유낙하되어 상기 배출슈트(70) 하부로 이동된다. 하지만, 상기 배출슈트(70)의 하부에 형성된 컵걸이부(76)에 컵이 걸어지면서 완전히 하부로 낙하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컵이 배출슈트(70)에서 빠져나와 바닥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ng levers 21 and 21 'support the lowermost cup, the support hanger 26 completely escapes from the lowermost cup. Therefore, since the bottom cup is no longer supported, it is freely dropped and moved below the discharge chute 70. However, the cup hangs on the cup hanger 7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chute 70 does not fall completely to the bottom. Therefore, the cup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discharge chute 70 and falling to the bottom to be contaminated.

참고로, 상기 배출슈트(70)에 컵이 걸린 상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컵을 잡아 배출부(78)를 통해 빼내면 된다.For reference, a state in which the cup is caught in the discharge chute 70 i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user grabs the cup and pulls it out through the discharge unit 78.

한편, 상기 구동버튼(40)을 눌렀다가 놓으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버튼(40)은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캠팔로워(24,34)들은 상기 캠홈(45,46)의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면서, 도 7의 역순으로 동작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driving button 40 is pressed and released, the driving button 40 is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cam followers 24 and 34 are relatively of the cam grooves 45 and 46. While moving to the lower side, the operation in the reverse order of FIG.

즉, 제2집게레버(31,31')는 배출된 최하부의 컵의 상부의 컵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지걸이부(36)가 상기 관통부(12)에서 빠져나와 더 이상 컵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집게레버(21,21')는 상기 제2집게레버(31,31')에 의해 지지되던 컵을 받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걸이부(26)가 상기 관통부(12)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도 7a의 상태로 되어 전체 컵을 지지하고 있게 된다.That is, the second clamp levers 31 and 31 ′ support the cup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d lowermost cup and the support hanger 36 is pulled out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and no longer supports the cup. Will not. In addition, the support hook part 26 has an inner side of the through part 12 so that the first tong levers 21 and 21 'can receive and support the cups supported by the second tong levers 31 and 31'. It moves to and will be in the state of FIG. 7A, and is supporting the whole cup.

다음으로, 본 고안의 컵공급장치에서는 상기 확장매거진(60')을 여러개라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보관되어야할 컵의 갯수에 따라 확장매거진(60')의 갯수를 결정한다. 상기 확장매거진(60')은 연결링(62)으로 매거진(60)이나 다른 확장매거진(60')에 연결된다.Next, the cup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onnecting any number of the expansion magazine (60 '). That is, the number of expansion magazines 6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ps to be stored. The expansion magazine 60 'is connected to the magazine 60 or another expansion magazine 60' by a connection ring 62.

그리고, 본 고안의 컵공급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평베이스(90)를 사용하지 않고, 수직베이스(80)만으로 수직면이나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다. 파이프에 고정할 때에는 상기 안착곡면(81)에 파이프가 안착되게 하고, 고정공(86)을 통과 나사를 파이프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수직베이스(80)를 수직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공(86)을 통해 나사를 수직면에 체결하면 된다.And, the cup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First, without using the horizontal base 90, only the vertical base 80 can be fixed to a vertical plane or pipe. When the pipe is fixed to the pipe, the pipe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curved surface 81, and the screw through the fixing hole 86 may be fastened to the pipe. In addition, the vertical base 80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surface. In this case, the screw may be fastened to a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fixing hole 86.

한편,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수직베이스(80)에 장착되는 높이는 수직베이스(80)의 어느 걸이턱(84)에 걸이부(18)를 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걸이부(18)는 상하로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직베이스(80)의 걸이턱(84)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frame 10 is mounted on the vertical base 80 depends on which hanger 84 of the vertical base 80 to hang the hook portion 18. The hook portion 18 is formed in pairs up and down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hanger 84 of the vertical base (80).

그리고, 본 고안의 컵공급장치를 수평면에 세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베이스(90)를 사용한다. 상기 수평베이스(90)에 상기 수직베이스(80)를 삽입하여 세우고, 상기 수직베이스(80)에 프레임(10)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And, in the case of using the cup fe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tanding on a horizontal plane, the horizontal base 90 is used. The vertical base 8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se 90 to stand, and the frame 10 is fixed to the vertical base 80 to be used.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고안에서는 컵을 매거진 내부에 삽입하여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보관하고, 배출될 때도 바닥에 임의로 낙하되지 않고 배출슈트에 걸어진다. 따라서, 컵을 상대적으로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공급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is inserted into the magazine and stored in a shielded state from the outside, and even when discharged, it is hanged on the discharge chute without being arbitrarily dropped on the floor. Thus, the cup can be stored and supplied in a relatively hygienic manner.

본 고안에서는 구동버튼을 한번 누르면 하나의 컵이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버튼을 한번 누르는 동작으로 컵을 배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cup is discharged to be used by pressing the driving button onc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cup by discharging the cup by pressing the button once.

본 고안에서는 또한, 수직면이나 수평면, 그리고 파이프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컵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따.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d use the cup supply device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vertical plane, horizontal plane, pipe, etc.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배출슈트를 통해 낙하되는 컵이 배출슈트 하단부의 컵걸이부에 걸어지므로 바닥으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소음이 미연에 방지되어 동작소음이 없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falling through the discharge chute hangs on the cup hanger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chute so that noise generated when falling to the floor is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eliminating operation noise.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는 메거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배출을 위해 보관하는 컵의 갯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Fi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azine can be connected and used, so that the number of cups stored for discharge can be set as desired by the user.

Claims (9)

중앙을 관통하여 컵이 통과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cup passes through the center;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최하단의 컵을 잡아주는 제1집게기구와,A first tong mechanism provided on the frame and the tip of which protrudes selectively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to hold the lowermost cup;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집게기구에 잡혀진 컵의 상부에 구비된 컵을 지지하는 제2집게기구와,A second tong mechanism provided in the frame to support a cup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up, the tip of which is selectively protrud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held by the first tong mechanism; 상기 제1집게기구와 제2집게기구가 시차를 두고 컵을 잡고 놓을 수 있도록 집게기구를 구동하여 최하단의 컵이 배출되게 하는 구동버튼부와,A driving button part for driving the tong mechanism so that the first tong mechanism and the second tong mechanism can hold and hold the cup at a time difference;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프레임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And a magazine coupled to the frame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part, the magazine including a plurality of cups stored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게기구는 각각 한쌍의 집게레버로 구성되어 컵의 상단 가장자리 양측을 잡아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의 집게레버 선단이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the second clamp mechanism is composed of a pair of forceps lever, respectively, so that each of the forceps lever tip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so as to hold both sides of the upper edge of the cup. Cup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게기구와 구동버튼부는 각각 캠과 캠팔로워에 의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ong mechanisms and the driving button portion are interlocked by a cam and a cam follower,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집게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cup feeding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to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frame is shielded by a cover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fram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관통부와 연통되게 배출슈트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부에는 컵의 상단부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컵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컵걸이부의 일부는 잘라내어져 배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hute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portion of the frame,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chute cup cup portion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upper curvature of the cup And a portion of the cup hanger is cut out to form a discharg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거진에는 연결링을 통해 또 다른 메거진을 연결하여 컵이 보관되는 숫자를 늘리고 상기 메거진의 최상단에는 메거진의 내부를 차폐하는 캡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gazine is connected to another magazine through a connecting r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cups stored and a cap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magazine to shield the inside of the magazi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베이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을 수직면에 지지하는 것으로 그 높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소정의 높이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vertical base for supporting the frame, wherein the vertical base supports the frame on a vertical surface, and a hooking jaw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eight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frame has a predetermined height. Cup fee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king selective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베이스의 배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의 장착을 위한 안착곡면이 상하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cu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base has a seating curved surface for mounting to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베이스의 하단에는 수평베이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을 수직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면에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베이스에는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컬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se, the horizontal base is to support the frame o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tate mounted to the vertical base, the horizontal base is an auxiliary for supporting the frame Cup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umn is further provided.
KR20-2004-0000670U 2004-01-10 2004-01-10 A cup supplying apparatus KR2003459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670U KR200345911Y1 (en) 2004-01-10 2004-01-10 A cup suppl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670U KR200345911Y1 (en) 2004-01-10 2004-01-10 A cup suppl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911Y1 true KR200345911Y1 (en) 2004-03-25

Family

ID=4942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670U KR200345911Y1 (en) 2004-01-10 2004-01-10 A cup suppl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911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36B1 (en) 2007-02-06 2008-05-02 김옥련 Manually operated cup and coffee puller
KR100827037B1 (en) 2006-12-06 2008-05-02 김옥련 Cup and coffee of manually operated puller
KR100844212B1 (en) 2006-11-08 2008-07-04 윤성춘 a single use cup holder
WO2011022113A3 (en) * 2009-08-18 2011-04-21 Louis M. Gerson Co., Inc. Improved strainer dispenser and method of use
KR101160649B1 (en) 2010-08-06 2012-07-02 유현종 Receptacle for leftover food dispenser
US9113727B2 (en) 2009-08-18 2015-08-25 Louis M. Gerson Co., Inc. Strainer dispenser and method of use
KR101963657B1 (en) 2018-08-16 2019-03-29 강삼태 Supply and packaging equipment for containers for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12B1 (en) 2006-11-08 2008-07-04 윤성춘 a single use cup holder
KR100827037B1 (en) 2006-12-06 2008-05-02 김옥련 Cup and coffee of manually operated puller
KR100827036B1 (en) 2007-02-06 2008-05-02 김옥련 Manually operated cup and coffee puller
WO2011022113A3 (en) * 2009-08-18 2011-04-21 Louis M. Gerson Co., Inc. Improved strainer dispenser and method of use
US9113727B2 (en) 2009-08-18 2015-08-25 Louis M. Gerson Co., Inc. Strainer dispenser and method of use
US9776763B2 (en) 2009-08-18 2017-10-03 Louis M. Gerson Co., Inc. Strainer dispenser and method of use
KR101160649B1 (en) 2010-08-06 2012-07-02 유현종 Receptacle for leftover food dispenser
KR101963657B1 (en) 2018-08-16 2019-03-29 강삼태 Supply and packaging equipment for containers for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5911Y1 (en) A cup supplying apparatus
US7669732B2 (en) Cup lid dispenser
US20080156269A1 (en) Wild bird feeder
JP2009261932A (en) Automatic tablet packer with sliding rack
CA2471574A1 (en) Pipette tip container
US6386494B1 (en) Bath towel hanger base with a strong suction disc
JP2004184182A (en) Automatic dispense tip feeder
US6098839A (en) Article dispensing assembly
CN1321582A (en) Printer capable of holding web with different widthes
US6877619B1 (en) Device for holding toothbrush, toothpaste tube and/or solid soap
KR102112326B1 (en) A frying pan holder
US2496812A (en) Dispenser for paper cups and the like
JPH0669535B2 (en) Automatic chip aligner
US4995529A (en) Structure of garbage can assembly
KR20120002777U (en) Conical paper cup holder
KR100237513B1 (en) A holder for body cleaning
JP2007308268A (en) Cup recovery box
KR200415358Y1 (en) Cup extracting apparatus
KR200415013Y1 (en) Draw-out device of cup
CN217966960U (en) Novel metrological verification tool box
KR102458867B1 (e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poons and chopsticks
JP2008178534A (en) Lid dispenser
KR100844212B1 (en) a single use cup holder
KR102581088B1 (en) Bathroom accessories hanger and bathroom accessories hang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70600B1 (en) Toilet paper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