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39Y1 -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39Y1
KR200345839Y1 KR20-2004-0000091U KR20040000091U KR200345839Y1 KR 200345839 Y1 KR200345839 Y1 KR 200345839Y1 KR 20040000091 U KR20040000091 U KR 20040000091U KR 200345839 Y1 KR200345839 Y1 KR 200345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upport
alo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순
Original Assignee
임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만순 filed Critical 임만순
Priority to KR20-2004-0000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안측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위에 입체적으로 문자나 로고를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문양 표시부로 구성되며, 이 때 문양 표시부는, 일면에 각 보강띠가 형성되는 문양 성형판을 포함하고, 소망하는 문자나 로고를 표시할 경우 문양 성형판을 만곡 또는 절곡하면서 해당 성형부위의 보강띠를 절단할 경우 그 성형작업이 보다 손쉬운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A Three-Dimensional Signboard Of Handy Assembling Structure}
본 고안은 간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조립이 편리한 부품을 포함하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간판은, 직사각의 프레임을 두고,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의 사각 공간에 광고용 문자나 로고가 인쇄된 얇은 광고판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간판의 제작기술에 있어, 기존에 중점적으로 개발되어왔던 기술은, 주로 광고판의 인쇄기법에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 기술에 의지하여 실사 인쇄기법이 개발되면서 즉석에서 광고판을 출력/제작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광고판의 제작이 보다 신속해지고, 광고판으로 표시되는 문자의 서체, 로고의 형상이나 색감이 이전에 비해 육안상 보다 큰 식별력을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러한 광고판의 인쇄나 제작기법에 비해 간판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 등과 같은 구조물에 대한 기술은, 주로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는 간판시공 업체보다는 간판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일반적인 구조물 제작공장에서 개발되어왔다.
즉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는 간판시공 업체보다는 공장에서 기술개발 및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주문사항이 간판시공 업체에서 다시 제작공장으로 송달되고, 제작공장에서 제작되고 다시 이를 간판업체에 배송한 뒤, 최종적으로 소비자에서 전달되는 등의 유통경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등의 제작 및 전달 경로가 다단계로 형성되고, 결국 광고판의 제작에 있어 획득되었던 신속성이 프레임 등의 구조물 제작 및 최종 전달에 있어 허비되는 기간으로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간판이 평편한 2차원적인 광고판으로 제작되었던 것이 광고효과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입체적인 광고판으로 대체되고 있다.
입체 광고판은, 베이스판을 두고 그 위에 판재를 세워 문자나 로고 등을 성형하는 등의 기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베이스판의 전면에 문자나 로고가 돌출되는 등의 입체적인 광고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런데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프레임 등과 같은 구조물의 제작이 소비자, 간판시공 업체를 거쳐 제작공장에서 제작되고 다시 배송되는 것처럼, 판재로 문자나 로고를 성형하는 것도 이와 같은 제작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비록 입체적인 문자나 로고의 형성으로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데는기능하더라도, 제작단계에서 발생되는 기간에 의해 간판제작 및 수급의 신속성이 보장되고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제작공장에서는 간판을 이루고 있는 구조물의 각 부품만을 생산하고, 간판시공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즉석에서 이를 제작하므로써, 극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간판을 이루고 있는 부품들은, 간판시공 업체의 당해 현장에서 간판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가 부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문자나 로고로 성형되는 판재는, 제작공장과 같이 각종 성형설비들이 완비되지 못한 간판시공 업체에서는, 그 성형공정을 시행할 수 없는 등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간판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별다른 설비없이도 간판을 조립/제작할 수 있는 부품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성형됨에 따라 내측면을 이루는 문양 성형판의 일면 중앙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띠가 형성되어, 만곡 성형시 급격한 절곡을 방지하고, 절곡 성형이 보다 용이한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양측으로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판넬이 구비되어 베이스의 조립이 보다 용이한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일면으로 베이스가 끼움 결합이 가능한 끼움부가 형성되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지지대로 프레임을 조립하면서 베이스의 결합이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대향/배치되는 각 지지대로 형성되는 사각의 프레임;
직사각의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각 판넬이 폭방향을 따라 동일 평면을 이루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단속되어 이루어지며, 소정의 문자 또는 로고가 표면에 표시/배열되는 밑그림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문자 또는 로고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베이스 위에 폭방향을 따라 세워져 상기 밑그림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 또는 만곡되고, 상기 절곡 또는 만곡부위와 대향되는 타면에 연속 돌출되는 보강돌기를 갖는 사각 띠 형상의 문양 성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문양 성형판의 기점 테두리에 종점 테두리가 겹쳐져 리벳으로 결합/형성되는 문양 표시부;을 포함하고,
상기 문양 성형판은,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위에 접하는 하단 테두리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하여 절단되며, 상기 베이스에 체결/결합되는 제 1보강띠와, 상기 제 1보강띠의 상부로 상기 문양 성형판의 일면 폭방향 중앙에 상기 보강돌기와 대향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하여 절단되며, 상기 문양 표시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발광체를 고정부재로 매달아 지지하는 제 2보강띠와, 상기 제 2보강띠의 상부로 상기 문양 성형판의 폭방향 상단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 변형되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문양 표시부의 위로 결합되는 투명덮개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3보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대는,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중공체이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며 대면하는 상부면에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로 위치하는 해당 판넬이 끼워지도록 양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일측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 1끼움부와,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 지지대에 제 1보강대의 양측이 세워져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끼움부의 돌출된 타측과 함께 인접한 일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2끼움부와, 상기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 집중되는 해당 각 지지대에 경사 배치된 제 2보강대의 양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타측 테두리에 위치하고, 양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3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판넬은, 폭방향 일측과 대응하는 타측이 서로 끼움 결합되고 각 일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일측 테두리가 하향 절곡되고 수평 연장되며 상기 수평 연장부위 위로 상향 돌출 및 상기 타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1결합고리와, 상기 타측 테두리의 하부가 상기 일측 테두리의 하향 절곡높이만큼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 1결합고리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방향으로 대응 절곡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2결합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중앙으로 소정의 문자 또는 로고가 인쇄된 보조간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간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분리/이격된 상기 각 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이격부위로 상기 각 베이스의 각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안측에 양단이 결합/지지되어 상기 보조간판을 지지하기 위한 각 보조지지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조간판의 상부로 위치하는 해당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보조간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첩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모양,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판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간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 성형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 판넬 및 문양 성형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레임, 110: 지지대, 110a: 제 1끼움부,
110b: 제 2끼움부, 110c: 제 3끼움부, 200: 베이스,
210: 판넬, 210a: 제 1결합고리, 210b: 제 2결합고리,
210c: 보강빔, 300: 문양 표시부, 310: 문양 성형판,
310a: 보강돌기, 310b: 제 1보강띠, 310c: 제 2보강띠,
310d: 제 3보강띠, 410: 제 1보강대, 420: 제 2보강대,
500: 투명덮개, 600: 발광체, 610: 와이어.
710: 리벳, 720: 볼트, 800: 보조간판,
810: 보조간판 프레임, 820: 문양 인쇄판, 910: 보조지지대,
920: 경첩, 1000: 간판장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판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판장치(100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판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판장치(1000)는, 직사각의 프레임(100) 내에 베이스(200)가 형성되고, 그 위에 입체적으로 문자나 로고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표시부(300)가 배치되는 구조의 간판이다.
이 때 베이스(200) 위에는 문자 표시부(300)를 구성하도록 구비되고, 소망하는 문자나 로고로 성형될 수 있는 문양 성형판(310)이 배치된다. 이러한 문양 성형판(310)은 문자나 로고의 형상에 기초하여 성형될 때 급격한 만곡을 방지하고, 절곡이 용이하도록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각 보강띠(320b,320c,320d)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간판장치(1000)는, 직사각의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배치/결합되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 위에 문양 성형판(310)으로 형성되는 문양 표시부(300)와, 문양 표시부(300)로 표시되는 각 문자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간판(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4개의 지지대(110)로 구성된다. 지지대(110) 중 2개는 짧고 나머지 2개는 비교적 긴데, 이중 짧은 2개의 지지대(110)는, 양측으로 베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대칭을 이루고, 긴 2개의 지지대(110)는, 상/하로 베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에는 지지대(110)가 배치/결합되고 각 지지대(110)가 이루는 프레임(100)이 베이스(200)를 지지하는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대(110)는, 프레임(100)을 구성하면서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와 대접하고 대향되는 것끼리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 폭방향을 따라 각 끼움부(110a,110b,110c)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중 일측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이 제 1끼움부(110a)이다. 제 1끼움부(110a)는,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가 끼워지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0)의 폭방향 일단 테두리에서 타측으로 일정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어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가 끼워진다.
각 지지대(110)는, 양단이 45°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단부위가 서로 대응하여 각 지지대(110)가 프레임(100)을 구성하면서 양단에 인접한 각 지지대(110)의 단부가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부위가 공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데, 이러한 지지대(110)가 서로 밀착되면서 제 1끼움부(110a)에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가 끼워지고, 결국 상기와 같이 체결되므로, 프레임(100)의 조립과 더불어 베이스(200)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110)의 폭방향을 따라 제 1끼움부(110a)의 타측으로 함몰/형성된 것이 제 2끼움부(110b)이다. 제 1끼움부(110a)가 양측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가 상대적으로 함몰/형성되었듯이, 제 2끼움부(110b)는 제 1끼움부(110a)의 돌출된 양측 중 타측을 공유하고 건너편 타측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로 함몰/형성된다.
제 2끼움부(110b)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의 높이방향으로 세워진 제 1보강대(410)가 끼워진다. 프레임(100)의 높이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된 지지대(110)는 총 4개 중 비교적 긴 2개이며, 이러한 지지대(110)의 각 제 2끼움부(110b)에 제 1보강대(410)의 양단이 끼워지므로써, 프레임(100)의 위/아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내력지지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제 2끼움부(110b)의 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대(110)의 타측 테두리에는 제 1끼움부(110a) 및 제 2끼움부(110b)와 동일한 방식으로, 양측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가 함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제 3끼움부(110c)가 형성된다.
제 3끼움부(110c)에는, 제 2보강대(420)가 끼워져 있다. 제 2보강대(420)는프레임(100)의 모서리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각 모서리로 집중되는 2개의 지지대(110)에서 해당 제 3끼움부(110c)에 양단이 끼워지므로, 지지대(110)의 모서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력지지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지지대(110)가 프레임(100)으로 조립되면서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 베이스(200)는, 4개의 판넬(210)로 조립/결합된 것이다. 각 판넬(210)은 직사각의 판재구조로서, 양측에는 제 1결합고리(210a) 및 제 1결합고리(210a)에 대응 결합이 가능한 제 2결합고리(21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결합고리(210a,210b)의 중간에는 외력에 의한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빔(2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판넬(210)로 베이스(200)가 구성될 경우 본 고안에서는, 전면 중앙에 보조간판(800)이 배치되므로, 베이스(200)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그 중간에 보조간판(800)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각 판넬(210)에서, 제 1결합고리(210a)는, 판넬(210)의 폭방향 일측 테두리가 하향 절곡되고, 수평 연장되며, 수평 연장부위의 상부 중앙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이 타측으로 절곡되어 고리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 1결합고리(210a)는 판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다.
그리고 제 2결합고리(210b)는, 판넬(210)의 폭방향 타측 테두리의 하부가 일측 테두리의 하향 절곡높이만큼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 1결합고리(210a)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방향으로 대응 절곡되어 고리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 2결합고리(210b)는 판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다.
여기서 각 결합고리(210a,210b)의 형성 초기에 서로 대응하는 높이만큼 하향 절곡 및 하향 연장된 부위가 형성되므로, 각 결합고리(210a,210b)를 대응 결합할 경우 이에 따라 결합되는 각 판넬(210)의 일면은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4개의 판넬(210)이 이러한 고리결합을 통해 그 일면이 연장되어 결국 베이스(200)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의 폭방향 최외곽에는, 해당 위치의 각 판넬(210)의 제 1결합고리(210a) 및 제 2결합고리(210b)가 노출된다. 그리고 각 결합고리(210a,210b)는 상/하로 배치되는 긴 2개의 지지대(110)의 제 1끼움부(110a)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베이스(200)의 길이방향 최외곽은 좌/우로 배치되는 짧은 2개의 지지대(110)의 제 1끼움부(110a)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판넬(210)로 베이스(200)를 조립하고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에 해당 지지대(110)를 끼운 뒤, 각 지지대(110)의 양단 대접부위를 체결할 경우, 베이스(200)와 프레임(100)의 조립이 단번에 진행되는 등 조립/결합의 용이성이 담보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200)의 표면에는, 밑그림이 그려져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밑그림으로 베이스(200)의 좌/우로 그려진 '태', '일' 이라는 문자가 예시되고 있다. 이러한 밑그림은 문자를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것으로, 예시된 문자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것이 문양 표시부(300)이다.
문양 표시부(300)는, '태', '일' 로 예시된 밑그림 위에, 대응하는 문자 형상으로 만곡 및 절곡되어 성형되는 문양 성형판(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양성형판(310)은 길게 이어진 사각의 띠 형태를 갖는 판재로서, 베이스(200) 위에 폭방향으로 세운 뒤 밑그림에 맞추어 만곡 및 절곡하여 문자 또는 로고를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양 성형판(310)은 해당 문자 또는 로고로 성형 이후 양단을 겹치고 리벳(710)으로 겹쳐진 양단을 리벳팅 결합하여 그 성형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양 성형판(310)의 일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하단에 제 1보강띠(310b)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있다. 그리고 제 1보강띠(310b)의 상부에는 제 2보강띠(310c)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있다. 이 때 제 2보강띠(310c)에 대향되는 위치로 문양 성형판(310)의 타면에는 보강돌기(310a)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있다. 또한 제 2보강띠(310c)의 상부로 문양 성형판(310)의 폭방향 상단에는 제 3보강띠(310d)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보강띠 및 보강돌기(310a)는, 문양 성형판(310)의 성형에 따른 만곡 및 절곡에도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이 중 베이스(200)의 표면에 밀착되고 볼트(720)로 체결되어 문양 성형판(310)을 고정시키는 제 1보강띠(310b)가 가장 높게 돌출되어 있고, 다음으로 제 2보강띠(310c) 및 제 3보강띠(310d)의 순서로 그 돌출정도가 높다.
여기서 제 1보강띠(310b) 및 제 2보강띠(310c)는, 문양 성형판(310)이 만곡 및 절곡 등과 같은 성형될 경우 그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특히 문양 성형판(310)이 안측으로 만곡될 경우 해당 제 1보강띠(310b) 및 제 2보강띠(310c)를 만곡되는 곡률반경에 맞게 절단하고 인접한 것끼리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하고, 바깥측으로 만곡할 경우에는 만곡하면서 절단하고 절단된 것이 겹치지 않도록 펼치게 되면, 별도의 판금용 도구(예를 들어 공구강으로 만든 판금틀 등) 없이 소망하는 형상으로 만곡됨이 용이하다.
또한 문양 성형판(310)을 절곡할 경우, 해당 제 1보강띠(310b) 및 제 2보강띠(310c)를 절단하고 완전히 겹치게 되면 용이한 절곡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 1보강띠(310b) 및 제 2보강띠(310c)가 문양 성형판(310)에 형성되므로, 문양 성형판(310)의 만곡 및 절곡 등 그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성형 이후 그 성형결과로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로고의 형상을 공고히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문양 성형판(310)으로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할 경우, 문양 표시부(300)의 내부에는 야간의 광고를 위해, 네온사인과 같은 발광체(6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발광체(600)는 문자 성형판(310)의 성형 문자 또는 로고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데, 따라서 발광체(600)가 이탈되지 않고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가 필요하다.
이 때 문양 성형판(310)의 폭방향을 따라 중간에 위치한 제 2보강띠(310c)에 구멍을 뚫고, 와이어(610)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발광체(600)를 묶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보강띠(310c)가 발광체(600)를 고정/유지시킬 수 있는브라켓 구조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발광체(600)가 문양 표시부(300)의 내측에 배치되면, 그 위에 덮어질 덮개구조가 필요하다. 본 고안에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로 이루어진 투명덮개(500)가 예시되고 있는데, 투명덮개(500)는 문양 표시부(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문양 표시부(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 때 투명덮개(5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데, 이것이 제 3보강띠(310d)이다.
제 3보강띠(310d)는 제 1보강띠(310b) 및 제 2보강띠(310c)에 비해 문양 성형판(310)의 일면에서 가장 작은 돌출높이를 갖는 것으로, 문양 성형판(310)의 상단에서 투명덮개(500)의 두께만큼 아래로 내려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3보강띠(310d)의 위로 투명덮개(500)가 올려질 경우 투명덮개(500)의 상면과 문양 성형판(310)의 상단 테두리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는 등 유격없이 투명덮개(500)가 문양 표시부(300)에 밀착 결합됨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이 때 제 3보강띠(310d) 위에 접착제를 발라 그 위로 올려진 투명덮개(5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태', '일' 이란 문자로 표시되고 있는 문양 표시부(30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 보조간판(800)이다. 보조간판(800)은, 일반적인 평면으로 문자나 로고를 표시하는 구조로서, 그 표면에는 문자나 로고가 인쇄된 문양 인쇄판(820)이 구비되고, 문양 인쇄판(820)의 외곽으로는 보조간판 프레임(8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간판(800)은, 문양 표시부(300)에서 입체적으로 상호 등을 표시하는 광고용 문자 또는 로고와는 달리, 전화번호, 부가서비스, 약도 등과 같이 기본적인 상호 이외의 부가적인 광고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간판(800)은, 수리나 보수 또는 교체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대(110)의 중간에 경첩(920)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간판(800)의 해당 위치로 베이스(200)의 중간은 분리되고 이격되어 있다. 이렇게 2개로 나누어진 각 베이스(200)에서 서로 대면하는 테두리에는 프레임(100)을 이루는 지지대(110)와 같은 보조지지대(910)가 끼워지고, 세워져 배치된다.
각 보조지지대(910)의 상/하 양단은 프레임(100)의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각 지지대(110)의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결합/지지된다.
이러한 각 보조지지대(910)의 간격이 보조간판(800)의 폭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보조간판(800)의 양측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간판(800)은 경첩(920)으로 연결되는 구조이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대(910) 또한 베이스(200)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에 있어 용이성이 담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는 높이에 비해 큰 폭을 갖는 사각의 중공체로서, 그 폭이 약 100mm 정도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부재이다.
상면에는 3개의 끼움부(110a,110b,110c)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 끼움부(110a,110b,110c)는 양측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일측의 제 1끼움부(110a)와 제 2끼움부(110b)는 그 사이로 돌출된 테두리를 공유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제 3끼움부(110c)는 제 2끼움부(110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끼움부(110a)는, 그 폭이 약 11mm 정도이고, 각 지지대(110)가 프레임(100)을 구성하면서 그 사이로 배치되는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가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조립과 더불어 프레임(100)에 베이스(200)가 조립되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는 등의 보다 손쉬운 조립구조를 마련한다.
그리고 제 2끼움부(110b)는, 그 폭이 약 16mm 정도이고, 프레임(100)의 상/하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내력지지 구조로 마련된 제 1보강대(410)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또한 제 3끼움부(110c)는, 그 폭이 약 20mm 정도이고, 프레임(100)의 모서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마련된 제 2보강대(420)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각 보강대(410,420)의 조립과정은, 제 2끼움부(110b) 및 제 3끼움부(110c)의 구비로, 각 보강대(410,420)의 조립과 이와 동시에 진행되는 베이스(200)의 결합과 동시에 진행됨이 가능하므로, 결국 프레임(100)의 구조를 공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지지구조가 프레임(100) 및 베이스(200)의 조립과정 중에 병행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2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210)은, 그 폭이 약 100mm 정도인 알루미늄 판재이다. 그 폭방향 양측에는 제 1결합고리(210a) 및 제 2결합고리(210b)가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고리의 중간에는 보강빔(210c)이 형성되어 각 결합고리(210a,210b) 및 보강빔(210c)이 판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각 결합고리(210a,210b)는 서로 대응 결합됨이 가능하고 그 형성높이가 대등하여 서로 결합되었을 경우 각 판넬(210)의 일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각 판넬(210)이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인접한 각 결합고리(210a,210b)가 서로 고리 결합될 경우 문양 표시부(300)의 베이스(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지지프레임(100)을 배열하고 각 제 1끼움부(110a)에 끼워넣을 경우 프레임(100)의 조립과 프레임(100)에 대한 베이스(200)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양 성형판(31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 성형판(310)은 폭이 약 80mm 정도인 긴 직사각의 띠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그 타면의 중앙에는 보강돌기(310a)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문양 성형판(310)의 일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약 10mm 정도 폭을 갖는 제 1보강띠(310b), 약 6mm 정도 폭의 제 2보강띠(310c) 및 약 4mm 정도 폭의 제 3보강띠(310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보강띠(310b)는 베이스(200)의 표면에 밀착되고 볼트(720)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또한 문양 성형판(310)의 만곡 및 절곡부위에 대응하여 해당 제 1보강띠(310b)가 절단되므로써, 그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2보강띠(310c)는, 제 1보강띠(310b)와 더불어 성형의 용이함을 위해 만곡 및 절곡부위에 따라 절단되는 것으로, 또한 문양 표시부(300)의 안측으로 배치되는 발광체(600)의 고정 브라켓 구조로서 기능하기 위해 발광체(600)의 고정을 위한 와이어(610)가 관통하고 묶여지는 곳이다.
제 3보강띠(310d)는, 문양 표시부(300)가 형성될 경우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문양 성형판(310)이 만곡 및 절곡됨에 따라 동반하여 만곡 및 절곡되며, 이러한 변형이 용이하도록 각 보강띠 중 가장 작은 돌출높이를 갖는다. 또한 문양 표시부(300) 위에 덮히는 투명덮개(5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 기능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10), 판넬(210) 및 문양 성형판(31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판장치(1000)에서, 문양 표시부(300)의 문자 성형판(310)은 폭방향을 따라 제일 위에 제 3보강띠(310d)가 위치하고 그 아래로 제 2보강띠(310c) 및 제 3보강띠(310d)가 위치한다.
이 때 제 2보강띠(310c)의 위치로 발광체(600)가 배치되고, 이러한 발광체(600)는 제 2보강띠(310c)가 매어진 와이어(610)에 의해 고정된다.
제 1보강띠(310b)는 베이스(200)의 해당 판넬(210)에 체결되므로써, 문양 표시부(300) 전체가 베이스(200)에 결합된다. 또한 제 3보강띠(310d)는 그 위로 덮히는 투명덮개(500)의 테두리를 떠받치고 있으며, 이 때 그 사이로 접착제를 발라 접착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200)의 테두리는 지지대(110)의 제 1끼움부(110a)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는 지지대(110)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고, 문양 표시부(300)는 베이스(2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발광체(600) 및 투명덮개(500)는 문양 표시부(300)의 제 2보강띠(310c)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1000)에서, 지지대(110)의 내부에는 발광체(600)의 배선라인이 내장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간판(800)이 베이스(200)의 중앙으로 배치되는 것이 예시되고 있는데 이외에, 보조간판(800)의 설치위치는, 문양 표시부(300)의 배치구조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프레임(100)을 이루는 각 지지프레임(100)에서 가장 후방으로 위치하고 제 2보강대(420)가 끼워지는 제 3끼움부(110c)에는 간판장치를 옥외에 설치할 경우 사용되는 브라켓이 그 안측으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덮개(500)가 문양 성형판(310)의 제 3보강띠(310d)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이외에, 별도의 브라켓을 두고 투명덮개(500)를 고정하는 구조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문양 성형판(310)으로 성형된 '태', '일'이라는 문자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외에, 다른 다양한 문자 또는 로고로 문양 성형판(310)을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 때 문양 성형판(310)은 성형 이후 겹쳐지는 부위에 리벳(710)으로 결합하는 것이 예시되고 있지만 이외에, 별도의 결합부재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끈을 사용하여 결합함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용접 등과 같은 열접합을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에 의하면, 베이스 및 프레임의 조립/결합이 보다 용이하여 초보자도 별도의 제작설비 없이 손쉽게 시공/제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문양 성형판에 보강띠가 형성되어 문자나 로고의 성형이 보다 손쉽고, 이에 따라 광고 내용을 입체적으로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면상에 광고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보조간판이 부가될 수 있는 구조를 갖음으로서, 복합화된 광고간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대향/배치되는 각 지지대(110)로 형성되는 사각의 프레임(100);
    직사각의 판넬(210)을 포함하고, 상기 각 판넬(210)이 폭방향을 따라 동일 평면을 이루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배치/단속되어 이루어지며, 소정의 문자 또는 로고가 표면에 표시/배열되는 밑그림을 포함하는 베이스(200);
    상기 문자 또는 로고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베이스(200) 위에 폭방향을 따라 세워져 상기 밑그림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 또는 만곡되고, 상기 절곡 또는 만곡부위와 대향되는 타면에 연속 돌출되는 보강돌기(310a)를 갖는 사각 띠 형상의 문양 성형판(310)을 포함하고, 상기 문양 성형판(310)의 기점 테두리에 종점 테두리가 겹쳐져 리벳(710)으로 결합/형성되는 문양 표시부(300);을 포함하고,
    상기 문양 성형판(310)은,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200) 위에 접하는 하단 테두리가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하여 절단되며, 상기 베이스(200)에 체결/결합되는 제 1보강띠(310b)와,
    상기 제 1보강띠(310b)의 상부로 상기 문양 성형판(310)의 일면 폭방향 중앙에 상기 보강돌기(310a)와 대향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하여 절단되며, 상기 문양 표시부(30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발광체(600)를 고정부재로 매달아 지지하는 제 2보강띠(310c)와,
    상기 제 2보강띠(310c)의 상부로 상기 문양 성형판(310)의 폭방향 상단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상기 만곡 또는 절곡부위에 대응 변형되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문양 표시부(300)의 위로 결합되는 투명덮개(5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3보강띠(310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는,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중공체이고, 상기 프레임(100)을 구성하며 대면하는 상부면에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200)의 테두리로 위치하는 해당 판넬(210)이 끼워지도록 양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상기 지지대(110)의 폭방향 일측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 1끼움부(110a)와,
    상기 프레임(100)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 지지대(110)에 제 1보강대(410)의 양측이 세워져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끼움부(110a)의 돌출된 타측과 함께 인접한 일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2끼움부(110b)와,
    상기 프레임(100)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0)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로 집중되는 해당 각 지지대(110)에 경사 배치된 제 2보강대(420)의 양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110)의 폭방향 타측 테두리에 위치하고, 양측이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3끼움부(1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210)은, 폭방향 일측과 대응하는 타측이 서로 끼움 결합되고 각 일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일측 테두리가 하향 절곡되고 수평 연장되며 상기 수평 연장부위 위로 상향 돌출 및 상기 타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1결합고리(210a)와,
    상기 타측 테두리의 하부가 상기 일측 테두리의 하향 절곡높이만큼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 1결합고리(210a)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방향으로 대응 절곡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 2결합고리(2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으로 소정의 문자 또는 로고가 인쇄된 보조간판(8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간판(800)의 크기에 대응하여 분리/이격된 상기 각 베이스(200)의 사이에는, 상기 이격부위로 상기 각 베이스(200)의 각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안측에 양단이 결합/지지되어 상기 보조간판(800)을 지지하기 위한 각 보조지지대(91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조간판(800)의 상부로 위치하는 해당 상기 지지대(110)에는 상기 보조간판(80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첩(92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KR20-2004-0000091U 2004-01-03 2004-01-03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KR200345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91U KR200345839Y1 (ko) 2004-01-03 2004-01-03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91U KR200345839Y1 (ko) 2004-01-03 2004-01-03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39Y1 true KR200345839Y1 (ko) 2004-03-25

Family

ID=4934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91U KR200345839Y1 (ko) 2004-01-03 2004-01-03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99B1 (ko) 2009-05-14 2010-07-16 (주)간연사 다목적 간판프레임
KR200450103Y1 (ko) 2008-10-28 2010-09-07 (주) 시스템디자인프리미어 광고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03Y1 (ko) 2008-10-28 2010-09-07 (주) 시스템디자인프리미어 광고간판
KR100970899B1 (ko) 2009-05-14 2010-07-16 (주)간연사 다목적 간판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209B1 (en) Overhead media display system
US4138787A (en) Display holder
KR102024994B1 (ko) 3d프린팅을 활용한 입체간판 제조방법
KR200345839Y1 (ko) 조립이 편리한 구조의 입체 간판장치
KR100655088B1 (ko) 간판용 프레임 구조
KR101066169B1 (ko)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0445711Y1 (ko) 전시부스용 조립부재
GB2348734A (en) Sign decoration system
KR100858307B1 (ko) 간판용 알루미늄 채널
KR200478540Y1 (ko) 보조 홍보패널이 장착된 이중 홍보 장치
KR20100009112U (ko) 채널사인용 조광패널 지지클립
KR101066171B1 (ko) 양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0191796Y1 (ko) 구조물 기둥에 설치 가능한 광고물
KR101874854B1 (ko) 후렉스 원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신형 채널 led 조명식 간판 프레임 시스템
KR101500936B1 (ko) 조립식 간판장치
KR102209504B1 (ko) 경기장용 광고 입간판 장치
CN219225862U (zh) 一种拼接式广告标牌
JPH07271318A (ja) 工事用看板
KR102386371B1 (ko) 직물 원단을 구비한 초경량 간판
KR20090127757A (ko) 광고문자 프레임
KR200323321Y1 (ko) 주소의 대표번지 구획 표시장치
KR200305630Y1 (ko) 조립식 간판
KR200430851Y1 (ko) 간판 프레임
KR200202564Y1 (ko) 조립식 간판
KR101163141B1 (ko)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