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124Y1 -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124Y1
KR200345124Y1 KR20-2003-0040986U KR20030040986U KR200345124Y1 KR 200345124 Y1 KR200345124 Y1 KR 200345124Y1 KR 20030040986 U KR20030040986 U KR 20030040986U KR 200345124 Y1 KR200345124 Y1 KR 200345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support
elastic fasteners
installation ho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창수
Original Assignee
동영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영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로폼과 갱폼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에 있어 갱폼에 설치되어 간격유지구를 지지하는 거푸집의 갱폼지지콘에 관한 것으로, 갱폼의 설치공 내면측에 위치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중심을 향해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지지구의 이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갱폼의 설치공에 수용되는 걸림부와, 설치공의 외면측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설치공으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된 복수의 탄성체결구와; 상기 탄성체결구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각 탄성체결구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탄성체결구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어주는 복수의 보강연결피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갱폼지지콘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해 있는 각 탄성 체결구들을 이어주는 상태로서 각 보강연결피막에 띠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거푸집의 갱폼지지콘{Supporter for sheeting}
본 고안은 유로폼과 갱폼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에 있어 갱폼에 설치되어 간격유지구를 지지하는 거푸집의 갱폼지지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제 20-0314955 호를 개선하여 갱폼지지콘을 갱폼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폼과 갱폼으로 구성되는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구는 그 일단을 핀구멍이 뚫어져 있는 평판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타단에는 갱폼측에 지지되어 타이볼트 등을 나사체결할 수 있게 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갱폼에는 간격유지구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원형으로 된 부착구멍을 뚫어놓은 다음 그 부착구멍에 플라스틱으로 된 갱폼지지콘을 미리 끼워넣고 그 갱폼지지콘에 간격유지구의 너트체를 지지시켜서 타이볼트 등으로 갱폼을 체결한 후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면(옹벽)을 구축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갱폼지지콘(100)(200)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갱폼지지콘(100)의 경우는 갱폼의 구멍에 삽입되는 원추형으로 된 체결구(101)와 갱폼의 구면 내측에 걸림되는 지지구(102) 사이에 연결구(10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조의 갱폼지지콘(100)은 원추형으로 된 체결구(101)가 탄력적으로 오므러들 수 없기 때문에 연결구(103)에 연결되는 부분의 외경이 갱폼의 구멍보다 많이 클 경우에는 체결구(101) 자체를 구멍으로 삽입시킬 수 없게 되며, 이와 반대로 그 부분의 외경을 갱폼의 구멍보다 미세한 차이로 크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구멍으로의 강제 삽입은 가능할 수 있겠으나 쉽게 빠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유로폼과 갱폼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경화시킨 후 갱폼을 떼어낼 때 갱폼지지콘(100)이 갱폼과 함께 벽면에서 이완되지 않고 벽면에 붙어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갱폼지지콘(200)의 경우는 지지구(201)의 이면측에 돌출되는 탄성체결구(202)를 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각 탄성체결구(202)들 사이에 절개부(203)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각 탄성체결구(202)들이 중심을 향해 탄력적으로 오므러들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각 탄성체결구(202)들이 절개부(203)에 의해 자유롭게 오므러들게 되어 각 탄성체결구(202)들은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구(201)를 떼어낼 수 있는 힘으로 갱폼에 부착되어 있지 못하고 갱폼을 떼어낼 때 쉽게 오므러들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결국 갱폼을 떼어낼 때 갱폼과 함께 벽면에서 이완되지 않고 벽면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갱폼을 떼어낼 때 갱폼지지콘(200)이 벽면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게 될 경우에는 갱폼에는 새로운 갱폼지지콘을 다시 부착하여야 하고 또 벽면에 붙어있는 갱폼지지콘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기가 길어질 뿐 아니라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본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14955호를 개선하여 갱폼지지콘을 갱폼의 구멍에 강제 삽입으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갱폼에 견고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도록 하므로서콘크리트 타설 후 갱폼을 떼어낼 때 갱폼에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벽면에서 이완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량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갱폼의 설치공 내면측에 위치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중심을 향해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지지구의 이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갱폼의 설치공에 수용되는 걸림부와, 설치공의 외면측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설치공으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된 복수의 탄성체결구와;
상기 탄성체결구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각 탄성체결구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탄성체결구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어주는 복수의 보강연결피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갱폼지지콘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해 있는 각 탄성체결구들을 이어주는 상태로서 각 보강연결피막에 띠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은 지지구의 이면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탄성체결구의 선단 끝부분에 못미치는 부분까지 일부만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의 갱폼지지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갱폼지지콘 11 : 지지구
12 : 탄성체결구 12a : 걸림부
12b : 걸림단턱 12c : 삽입안내 경사면
13 : 보강연결피막 14 : 관통공
15 : 보강돌기 2 :갱폼
21 : 설치공 3 : 유로폼
4 : 간격유지구 5 : 타이볼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갱폼지지콘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갱폼지지콘(1)은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사출성형된다.
상기 갱폼지지콘(1)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갱폼(2)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지지구(11)와 갱폼(2)에 미리 뚫어놓은 설치공(21)에 삽입 결착되는 복수의 탄성체결구(12) 및 상기 각 탄성체결구(12)를 연결시켜주는 보강연결피막(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탄성체결구(12)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지지구(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4)의 주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지지구(11)의 이면에서 연장되어 갱폼의 설치공(21) 내측에 수용되는 걸림부(12a)와, 상기한 걸림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설치공(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채 설치공(21)에 걸림되는 걸림단턱(12b)과, 선단의 끝부분은 갱폼의 설치공(21)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고 걸림단턱(12b)에 연결되는 후단은 상기한 설치공(21)보다 큰 외경을 가진 채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삽입안내 경사면(12c)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탄성체결구(12)들은 두께가 얇은 보강연결피막(13)에 의하여 원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각 탄성체결구(12)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보강연결피막(13) 각각에 띠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보강돌기(15)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것에 있다.
또한 상기 각 보강돌기(15)들은 보강연결피막(13)과 같이 서로 이웃하고 있는 탄성체결구(12)를 연결시킨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연결피막(13)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13)들은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지지구(11)의 이면측에서 연장된 상태에서 각 탄성체결구(12)의 선단에 못미치는 부분까지 일부만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또 이와 같이 일부에만 형성된 보강연결피막(13) 각각에도 복수개의 보강돌기(15)가 띠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갱폼지지콘(1)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갱폼(2)에 미리 뚫어놓은 설치공(21)에 삽입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각 탄성체결구(12)의 선단을 설치공(21)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타격공구(고무, 나무 또는 쇠 망치 등)를 사용하여 지지구(11)강하게 타격하게 되면 삽입안내 경사면(12c)이 설치공(21)으로 강제 삽입됨에 따라 각 탄성체결구(12)들은 중심을 향해 탄력적으로 오므러들게 되는 반면에, 각 보강연결피막(13)들은 각 탄성체결구(12)가 오므러드는 만큼 탄력적으로 구부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서 각 탄성체결구(12)들은 설치공(21)으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각 탄성체결구(12)들의 삽입안내 경사면(12c)이 설치공(21)으로 강제 삽입이 완료되면 각 탄성체결구(12)들 및 각 보강연결피막(13)들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벌어지게 되므로서 걸림단턱(12b)은 설치공(21) 이면측에 걸림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갱폼지지콘(1)이 부착된 갱폼(2)과 유로폼(3)을 간격유지구(4)로 간격을 유지시킨 상태로 설치하는데, 상기한 간격유지구(4)의 일단에 형성된 평판부(41)는 유로폼(3)과 유로폼(3) 사이에 끼워주고 이어서 핀구멍(42)에 웨지핀을 끼워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한 간격유지구(4)의 타단에 부착된 너트체(43)는 갱폼지지콘(1)의 지지구(11)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갱폼(2)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타이볼트(5)를 갱폼지지콘(1)의 각 탄성체결구(12) 내측을 통하여 관통공(14)으로 삽입하여 너트체(4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체결한 다음 상기한 타이볼트(5)의 자유단을 결속시키게 되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이어서 갱폼(2)과 유로폼(3)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면(옹벽)을 구축하게 되며, 벽면의 구축이 완료되면 갱폼(2) 및 유로폼(3)을 해체하게 된다.
상기 갱폼(2)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타이볼트(5)를 나사풀림으로 분리 해체한 다음 갱폼(2)을 벽면에서 떼어낼 때에는 그 해체력이 갱폼지지콘(1)의 각 탄성체결구(12)의 걸림단턱(12b)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각 탄성체결구(12)들은 각 보강연결피막(13)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보강연결피막(13) 각각에 띠상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돌기(15)들이 각 탄성체결구(12)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갱폼(2)을 벽면에서 떼어낼 때 각 탄성체결구(12)들의 걸림단턱(12b)은 설치공(21) 주위에 지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갱폼(2)과 함께 해체되므로서 지지구(11)는 벽면에서 이완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각 탄성체결구(12)를 연결시키고 있는보강연결피막(13)들 각각을 일부에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각 보강연결피막(13)들이 각 탄성체결구(12)들을 지지하는 강도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조금 약한 점이 있을 수 있다 하겠으나, 그렇지만 보강돌기(15)와 함께 각 탄성체결구(12)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갱폼(2)을 벽면에서 떼어낼 때 갱폼과 함께 벽면에서 이완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갱폼(2)의 각 설치공(21)에 부착된 갱폼지지콘(1)은 고층건축물의 벽면을 구축하기 위해 1층에서부터 고층까지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떼어내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더라도 갱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갱폼지지콘의 각 탄성체결구들을 일체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각 보강연결피막에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수단으로 갱폼지지콘이 갱폼의 설치공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케 하므로서 갱폼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한 후 벽면에서 갱폼을 해체할 때 갱폼지지콘들이 갱폼과 함께 벽면에서 이완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갱폼의 재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거푸집의 재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시키고 또 공시비용의 절감에도 기여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갱폼의 설치공 내면측에 위치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중심을 향해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지지구의 이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갱폼의 설치공에 수용되는 걸림부와, 설치공의 외면측에 걸림되는 걸림단턱과, 설치공으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이 형성된 복수의 탄성체결구와;
    상기 탄성체결구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각 탄성체결구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탄성체결구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어주는 복수의 보강연결피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갱폼지지콘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해 있는 각 탄성체결구들을 이어주는 상태로서 각 보강연결피막에 띠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연결피막은 지지구의 이면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탄성체결구의 선단 끝부분에 못미치는 부분까지 일부만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KR20-2003-0040986U 2003-12-31 2003-12-31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KR200345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86U KR200345124Y1 (ko) 2003-12-31 2003-12-31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86U KR200345124Y1 (ko) 2003-12-31 2003-12-31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124Y1 true KR200345124Y1 (ko) 2004-03-19

Family

ID=4942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86U KR200345124Y1 (ko) 2003-12-31 2003-12-31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1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12A (ko) * 2019-09-30 2021-04-07 신현택 락볼트 위치 확인용 고정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12A (ko) * 2019-09-30 2021-04-07 신현택 락볼트 위치 확인용 고정너트
KR102242116B1 (ko) * 2019-09-30 2021-04-19 신현택 락볼트 위치 확인용 고정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5124Y1 (ko)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90113476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20110061179A (ko) 세트 앵커볼트
KR200423830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14955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KR101320728B1 (ko) 건축용 앵커
KR200326109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200317497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갱폼지지콘
KR200399281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254795Y1 (ko) 거푸집 긴결 장치
KR20200031771A (ko) 세트 앙카
KR200298108Y1 (ko) 세파타이가 이용되는 건축용 거푸집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33717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54094Y1 (ko) 거푸집 해체시 헛돌지않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39374Y1 (ko) 거푸집 지지대용 고정구
KR100330066B1 (ko) 거푸집긴결장치
KR200462013Y1 (ko) 웨이 앵카볼트
KR200331401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283951Y1 (ko) 다목적 앙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