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25Y1 -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725Y1
KR200344725Y1 KR20-2003-0040775U KR20030040775U KR200344725Y1 KR 200344725 Y1 KR200344725 Y1 KR 200344725Y1 KR 20030040775 U KR20030040775 U KR 20030040775U KR 200344725 Y1 KR200344725 Y1 KR 200344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electrical
facility
alarm device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룡
Original Assignee
김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룡 filed Critical 김기룡
Priority to KR20-2003-0040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전기를 이용하여 도로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각종 전기시설물(예를 들어,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등)에 있어 해당 시설물들은 도로에 설치되어 일반시민들이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누전에 의해 인명의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여건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 개발되어 이용중인 누전차단기와 병행 설치하여 누전차단기의 고장이나 미설치시 2차적인 예방장치로 가동하여 누전에 의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도로시설물 누전 경보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short circuit alarm device for a road establishmen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이나 가로등 등의 전기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시설물에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누전차단기의 고장이나 미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로시설물 누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로에는 가로등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야간에 도로를 조명하고, 교차로나 건널목 등에는 차량 및 사람들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교통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로등 및 교통 신호등 등의 전기 시설물은 통상적으로 도로상에 복수의 철주(鐵柱)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설치되고, 상기 철주의 상단부에 교통신호 또는 조명을 위한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철주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반이 상기 철주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반의 내부 또는 철주의 상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빗물이나 습기에 의하여 합선이나 누전을 일으키는 경우 자동적으로 교류전원(AC)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누전차단기의 설치는 합선이나 누전을 일으키는 경우에 합선이나 누전을 일으키는 교통 신호등(또는 가로등)만 전원을 차단하여 제어반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다른 교통 신호등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 시설물에는 누전차단기만을 설치하여 과전류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였기 때문에 상기 전기 시설물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고장(또는 미설치된 시설물)이 나거나 오작동시에 상기 시설물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차단시킬 수가 없어 감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나 화재를 일으켜 재산상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이나 가로등 등의 각종 전기 시설물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고장나거나 미설치된 시설물에 있어 누전의 원인에 의해 인명피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시설물의 표면에 감지시설을 설치하여 누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시설물에 감전의 위험이 있다는 경고방송의 경고음과 접근을 금지하라는 경보등이 동시에 작동하여 해당 시설물에 시민들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감전의 위험이 있는 시설물 표면에 누전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누전이 감지되면 이를 시민들에게 알리는 기능을 하는 경보장치로 경보등과 스피커가 부착되어 경고 방송을 시행하는 방송부로 나뉘어져 누전을 사전에 감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여 시민들의 생명을 보호하도록 하는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철주로된 전기 시설물과, 상기 전기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반과, 상기 전기시설물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와; 상기 철주에 설치되며, 상기 철주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와; 상기 전기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고장시에 상기 전기감지부와 도통되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아이씨(IC) 회로와; 상기 아이씨(IC) 회고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상기 철주의 누전상태를 알리는 경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에서 교통 신호등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교통 신호등에 설치된 누전 경보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누전 경보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보장치 12: 철주
20: 적산전력계 22: 누전차단기
26: 고정밴드 28: 전기감지부
30: IC회로 32: 스피커
34: 경보등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후술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경보장치는 도로에 설치된 교통신호등에 한정하여 적용하고 있는 경보장치를 제안할 것이나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가 도로에 설치되는 모든 전기 시설물(예를 들어, 가로등)에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서는 도로에 전기를 이용하여 도로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각종 전기시설물(예를 들어,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등)에 있어 해당 시설물들은 도로에 설치되어 일반시민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누전에 이해 인명의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 개발(방)되어 이용중인 누전차단기와 병행 설치하여 누전차단기의 고장시 2차적인 예방장치로 가동하여 누전에 의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누전 경보장치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면들의 상세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경보장치가 설치된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교통 신호등은 별도의 지지대(18)에 의해 도로상에지지되면서 설치되는 철주(鐵柱)(12)를 구비하며, 이 철주(12)의 상단부에는 교통신호를 위한 3개 또는 4개의 램프로 이루어진 신호등(16)이 보조기둥(14)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철주(12)에는 각종 전기부품과 과전류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차단기(22) 및 상기 누전차단기(22)의 고장시 이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장치(10)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장치들의 상세구성은 후술하는 도 2와 도 3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전 경보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으로서, 전술한 철주(12)의 상단부에는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인입선(전원선)과 연결된 적산전력계(20)가 설치되며, 상기 적산전력계(20)에는 합선 등에 의해 과전류가 흐를 때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시키는 통상의 누전차단기(22)가 설치된다. 즉, 상기 누전차단기(22)는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빗물이나 습기에 의한 합선이나 과전류가 흐를 때 교류전원을 차단시켜 누전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누전차단기가 고장시에는 위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철주(12)에는 과전류가 그대로 흐르게 된다.
한편 전술한 철주(12)의 아래쪽에는 전기감지부(28)가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이 전기감지부(28)는 누전차단기(22)의 오작동이나 고장시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상기 철주(12)에 흐르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전기감지부(28)는 플레이트 타입으로서 전류가 흐르는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리(CU)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철주(12)의 아래쪽 일측면에는 철주(12)에 전류가 흐를 때 이를외부에 알리는 경보등(34)과 스피커(32) 및 이를 제어하는 아이씨 회로(이하 "IC 회로(30)"라 함)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보등(34)과 스피커(32)는 별도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밴드(26)에 의해 부착 고정되어진다.
상기 IC회로(30)는 적산전력계(20)와 전기감지부(28)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스피커(32) 및 경보등(34)을 작동시킨다. 즉, 전술한 누전차단기(22)의 고장시 상기 철주(12)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감지부(28)와 IC회로(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IC회로(30)는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끝으로 상기 스피커(32)는 전술한 IC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며, 역시 경보등(34)도 상기 IC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멸형태로 빛을 발산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전기 시설물의 철주(12)에 설치된 누전차단기(22)가 고장이 났을 때 상기 철주(12)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감지부(28)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어서 상기 IC회로(30)는 적산전력계(20)와 전기감지부(28)와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경보등(14)과 스피커(3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일반시민들은 상기 전기 시설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인명피해 또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등의 철주에 별도의 누전 경고장치를 설치하므로서 누전차단기의 고장으로 인해 해당 전기시설물에 전기가 누전되면 경보장치가 가동하여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도로에 설치되는 철주(12)로 된 전기 시설물과, 상기 전기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반(36)과, 상기 전기 시설물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22)로 구성된 도로 시설물의 누전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주(12)에 설치되며, 상기 철주(12)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28)와;
    상기 전기감지부(28)와 연결되며, 상기 누전차단기(22)의 고장시에 상기 전기감지부(28)와 도통되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아이씨(IC) 회로(30)와;
    상기 아이씨(IC) 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상기 철주(12)의 누전상태를 알리는 경보등(34) 또는 스피커(3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감지부(28)는 플레이트 타입의 구리(CU)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KR20-2003-0040775U 2003-12-26 2003-12-26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KR200344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75U KR200344725Y1 (ko) 2003-12-26 2003-12-26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75U KR200344725Y1 (ko) 2003-12-26 2003-12-26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148A Division KR20050066959A (ko) 2004-07-14 2004-07-14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725Y1 true KR200344725Y1 (ko) 2004-03-19

Family

ID=4942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775U KR200344725Y1 (ko) 2003-12-26 2003-12-26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7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52B1 (ko) * 2011-06-17 2011-07-22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절연 시설물
CN107843748A (zh) * 2017-09-30 2018-03-27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换式漏电检测模块指示装置安装结构
CN114495422A (zh) * 2021-12-31 2022-05-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防社会人员触电智能警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52B1 (ko) * 2011-06-17 2011-07-22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절연 시설물
CN107843748A (zh) * 2017-09-30 2018-03-27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换式漏电检测模块指示装置安装结构
CN114495422A (zh) * 2021-12-31 2022-05-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防社会人员触电智能警示装置
CN114495422B (zh) * 2021-12-31 2023-06-0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防社会人员触电智能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935A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060812B1 (ko)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KR200344725Y1 (ko)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KR20220138441A (ko) 태양광 발전 기반의 재난안전 경보 시스템
KR101672733B1 (ko) 누전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함
KR101318283B1 (ko) 가로등주의 누전 및 램프상태 표시장치
KR20090020665A (ko) 가로등 누전 경보장치
JP6030887B2 (ja) Led道路灯
KR20050066959A (ko) 도로 시설물 누전 경보장치
KR100681256B1 (ko) 감전보호용 전원차단장치
KR102249777B1 (ko) 가로등 누전 경보 시스템
KR20080092796A (ko) 횡단보도 조명강도 자동조절 시스템
EP1171737B1 (en) Road lighting device
KR101028569B1 (ko)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KR100530989B1 (ko) 지락 차단장치
KR102345359B1 (ko) 접지형 지락 차단장치 및 그 방법
KR200446078Y1 (ko) 무선 자동점멸기, 안정기 및 누전차단기의 일체형보안등기구
KR200255182Y1 (ko) 감전사고 방지용 전원 차단 장치
KR20150070750A (ko) 안전 가로등 지주
KR200358428Y1 (ko) 누전차단 교통신호제어기
KR100795567B1 (ko) 횡단보도용 안전표시등과 안전표시등의 전원공급장치 및전원공급방법
KR200213074Y1 (ko)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 보호형 안정기
KR200398664Y1 (ko) 전신주 누전 경보장치
KR101576253B1 (ko) 노변제어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387265Y1 (ko) 가로등 누전 경고 도로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