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62Y1 - 부품 정리함 - Google Patents

부품 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62Y1
KR200344662Y1 KR20-2003-0039151U KR20030039151U KR200344662Y1 KR 200344662 Y1 KR200344662 Y1 KR 200344662Y1 KR 20030039151 U KR20030039151 U KR 20030039151U KR 200344662 Y1 KR200344662 Y1 KR 200344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organizer
main body
pres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옥
Original Assignee
권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옥 filed Critical 권영옥
Priority to KR20-2003-0039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부품을 품목별로 각각 정리 정돈하는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1)은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어떤 물품의 보관 여부를 표시하는 품명표시부(11)와, 상단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착홈(12)을 구비하되; 상기 정리함(1)은 다수개를 나열하여 각각의 결착홈(12)에 고정핀(15)을 이용하여 상호 연속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리함(1)은 본체(10)에 형성되는 안내면(10a)과 돌출턱(10b)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정렬시 설정된 위치로 적층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모든 부품의 품목별 규격에 맞는 정리ㆍ정돈이 가능하면서 다층, 다열로 적재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정확한 위치 식별로 누구나 쉽게 찾고 분출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부품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 정리함{The assemble parts display box}
본 고안은 부품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부품의 품목별 규격에 맞는 정리ㆍ정돈이 가능하면서 다층, 다열로 적재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정확한 위치 식별로 누구나 쉽게 찾고 분출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부품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부품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하나의 물품을 완성시킬 때에는 여러 종류의 부품이 필요한 바, 이들 부품을 작업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의 부품들을 종류별로 각각 보관할 수 있는 정리함을 구비하여 작업자와 근접되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필요한 부품을 손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실정이다.
즉, 예를 들면 물품을 조립시 필요한 볼트도 한 종류만이 있는 것이 아니고, 크기별로 여러 종류이기 때문에 정리함을 이용하지 않으면 다양한 크기를 지닌 볼트가 서로 섞여 버리기 때문에 필요한 크기의 볼트를 찾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어 그만큼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리함은 대부분 철재 앵글로 조립된 선반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다수의 앵글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각 적재단에 나무판이나 유리판을 놓아 부품들을 진열 정리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철재 앵글로 조립된 선반은 철재를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무겁고 설치 후 다른 장소로 이동이 곤란할 뿐아니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선반 전체를 해체해야 하는 등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의 조립시 전문작업자가 아니면 조립이 힘든 한편 선반 전체가 일체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없으며, 조립시 별도의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고 이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드라이버나 스패너)들이 필요하는 등 조립에 따른 번거로운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부품의 품목별 규격에 맞는 정리ㆍ정돈이 가능하면서 다층, 다열로 적재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정확한 위치 식별로 누구나 쉽게 찾고 분출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부품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부품 정리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정리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정리함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정리함 10: 본체
10a: 안내면 10b: 돌출턱
11: 품명표시부 12: 결착홈
15: 고정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양한 부품을 품목별로 각각 정리 정돈하는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1)은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어떤 물품의 보관 여부를 표시하는 품명표시부(11)와, 상단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착홈(12)을 구비하되; 상기 정리함(1)은 다수개를 나열하여 각각의 결착홈(12)에 고정핀(15)을 이용하여 상호 연속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리함(1)은 본체(10)에 형성되는 안내면(10a)과 돌출턱(10b)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정렬시 설정된 위치로 적층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정리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정리함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도 3의 A-A'선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부품을 품목별로 각각 정리 정돈하는 정리함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정리함(1)은 직육면체 형태로서, 재질은 합성수지재가 적절하지만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측면에서 고려한 재질로 제작된다. 본 고안의 정리함(1)은 다층 및 다열로 상호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부품을 품목별로 각각 정리 정돈하는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1)은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어떤 물품의 보관 여부를 표시하는 품명표시부(11)와, 상단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착홈(12)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리함(1)은 도 1처럼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부품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두고 정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의 전면에는 품명표시부(11)가 구비되는 바, 품명표시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문구가 인쇄나 손수 적은 품명판(도시하지 않음)을 끼우면 품명표시부(11)에 접한 상태로 미끄러지며 결합되고, 품명판을 살짝 들어 품명표시부(11)에서 이탈시키면 분리도 용이하다. 따라서, 품명표시부(11)는 정리함(1)에 어떠한 물품이 수납되었는가의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손수 정리함에 수납된 물품을 보지 않고도 전면의 품명표시부(11)에 끼워진 품명판을 보고 필요한 부품이 들어있는 정리함(1)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착홈(12)은 도 1처럼 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구비된다. 즉 결착홈(12)은 도 1에서 상단의 3면 테두리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양측면 2개, 상면 1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결착홈(12)의 개수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는 정리함(1)의 크기에 따라 결착홈(12)의 개수가 더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리함(1)은 도 2(a, b)처럼 다수개를 나열하여 각각의 결착홈(12)에 고정핀(15)을 이용하여 상호 연속 연결한다. 고정핀(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리함(1)의 결착홈(12)에 삽입하여 억지끼움형태로 서로 연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정리함(1)을 필요한 개수만큼 구비한 다음 결착홈(12)에 고정핀(15)을 삽입 고정하고 계속적으로 연속 연결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다수의 정리함(1)을 나열한 뒤 고정핀(15)을 이용하여 도 2(a, b)처럼 각각의 결착홈(12)에 삽입 고정하여 설치함에 따라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누구나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결착홈(12)에 고정핀(15)만을 분리시키면 정리함(1) 전체가 해체됨에 따라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정리함(1)은 본체(10)에 형성되는 안내면(10a)과 돌출턱(10b)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정렬시 설정된 위치로 적층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로 구비된다. 이는 우선 도 2(a, b)처럼 고정핀(15)을 이용하여 정리함(1)을 상호 연결한 다음 도 3(a, b)처럼 다층으로 정렬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정리함(1)은 상면에 안내면(10a)과 저면에 돌출턱(10b)을 구비하는 바, 도 4처럼 정리함과 정리함을 서로 적층시킬 때 정리함(1)의 돌출턱(10b)이 다른 정리함(1)의 안내면(10a)에 안착되면서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정리함(1)이 선반역할을 대신, 즉 정리함(1)을 기둥 삼아 계속적으로 적층이 가능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앵글이나 선반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정리함(1)은 필요에 도 3a, b처럼 다층, 다열로 나열할 수 있어 작업장의 공간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정리함(1)과 고정핀(15)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모든 부품의 품목별 규격에 맞는 정리ㆍ정돈이 가능하고 정리함(1)의 품명표시부(11)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 식별로 누구나 쉽게 찾고 분출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모든 부품의 품목별 규격에 맞는 정리ㆍ정돈이 가능하면서 다층, 다열로 적재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설치공간에 맞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정확한 위치 식별로 누구나 쉽게 찾고 분출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부품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양한 부품을 품목별로 각각 정리 정돈하는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1)은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어떤 물품의 보관 여부를 표시하는 품명표시부(11)와,
    상단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착홈(12)을 구비하되;
    상기 정리함(1)은 다수개를 나열하여 각각의 결착홈(12)에 고정핀(15)을 이용하여 상호 연속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1)은 본체(10)에 형성되는 안내면(10a)과 돌출턱(10b)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정렬시 설정된 위치로 적층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리함.
KR20-2003-0039151U 2003-12-16 2003-12-16 부품 정리함 KR200344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51U KR200344662Y1 (ko) 2003-12-16 2003-12-16 부품 정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51U KR200344662Y1 (ko) 2003-12-16 2003-12-16 부품 정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62Y1 true KR200344662Y1 (ko) 2004-03-12

Family

ID=4934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51U KR200344662Y1 (ko) 2003-12-16 2003-12-16 부품 정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88U (ko)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대일리리빙 임시 고정형 정리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88U (ko)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대일리리빙 임시 고정형 정리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5360A1 (en) Assembled Tool-Storing Frame
US20150265047A1 (en) Interlocking Shelving and Storage Unit
US7334529B1 (en) Metal support base
CA2968792A1 (en) Tool chest organization board
KR100694203B1 (ko)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
US20100052490A1 (en) Insert for truck box
AU619032B2 (en) A container
JP2007084087A (ja) 組立て式箱状体と板材連結構造
US20130248475A1 (en) Shelf divider and kit
US7152740B1 (en) Packaging and display box for a circular product
CA2838195C (en) Improved lottery ticket dispenser
US11014709B2 (en) Storage receptacle stacking system
KR200344662Y1 (ko) 부품 정리함
US20090212049A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with removable four-piece rail unit
CN207607752U (zh) 组合式周转箱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EP1736413B1 (en) Separator for using in packaging of items or products
US4121710A (en) Display bin
KR200225531Y1 (ko) 진열장
KR200165417Y1 (ko) 조립식 정리함 적재대
CN219192887U (zh) 一种折叠式物流载具
CN203638291U (zh) 一种拆装式多功能储运柜
CN210556149U (zh) 一种超市用牙刷展示彩盒结构
KR20240062293A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KR100791238B1 (ko) 재료 보관 및 정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