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96Y1 - 건축용 목재 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용 목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96Y1
KR200344596Y1 KR20-2003-0038192U KR20030038192U KR200344596Y1 KR 200344596 Y1 KR200344596 Y1 KR 200344596Y1 KR 20030038192 U KR20030038192 U KR 20030038192U KR 200344596 Y1 KR200344596 Y1 KR 20034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aminated
wall surface
shape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윤두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윤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윤두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20-2003-0038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목재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블록이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목재블록으로서,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적층되되, 적층 상태의 벽면이 대략 벌집 형상이 되도록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 블록;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며,
작업 현장으로의 운반성 및 설치 작업성이 양호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목재 블록{WOOD BLOCK FOR CONSTRUCTION USE}
본 고안은 건축용 목재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 주택의 벽면 또는 각종 인테리어용 벽면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목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다양한 형태의 목조 주택이 시공되어 펜션과 같은 레저용 주거시설로서 각광받고 있는바, 이러한 목조 주택은 특히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나무 자체에서 발산되는 향이 좋고, 재질의 특성상 주택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이 방지된다.
재질의 하중이 철근-콘크리트나 철골 등에 비하여 가볍기 때문에 지반 작업 등이 비교적 용이하다.
외부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저항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단열성이 좋다.
한편, 목조 주택의 상당수는 교외 지역에 설치되므로, 설치 지형 여건상 자재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주택 벽면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예시된 목재 주택의 벽면을 보면, 주택 벽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긴 목재(2)가 사용되며, 각각의 목재(2)는 길이방향으로 얹혀진 상태로 못(5)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주택의 벽면을 구성하게 된다.
적층된 목재벽이 견고한 설치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각 목재(2)의 상하측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요홈부(2a)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목조 주택은 그 설치 과정에 있어서, 길이가 수 미터에 이르는 긴 목재를 주택 설치 지점으로 운송하여 하역하는 과정이 수반되며, 중량의 목재를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이 작업 현장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주택 시공을 위한 준비 과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었다.
또한, 숙련도를 갖춘 전문인력이 작업을 하더라도, 지형 여건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뤄지므로 중량의 목재를 작업 상황에 맞춰 능숙하게 다룬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가공을 정밀하게 하더라도 각 목재(2)의 상하측 면에 형성된 요홈부(2a)가 목재의 변형 등에 의해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으므로, 상하측 목재 간에 틈새가 발생될 수도 있었다.
이러한 틈새를 최대한 없애기 위하여 실리콘(4)을 이용한 방수처리를 하게 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목재(2)의 변형이 발생되면 방수처리한 틈새가 다시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 주택의 벽면 또는 각종 인테리어용 벽면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목재 블록으로서, 특히 작업 현장으로의 운반성 및 설치 작업성이 양호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건축용 목재 블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주택 벽면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형성된 주택 벽면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주택 벽면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형성된 주택 벽면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 블록 22: 제1 테두리 블록
24: 제2 테두리 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블록이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목재블록으로서,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적층되되, 적층 상태의 벽면이 대략 벌집 형상이 되도록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 블록;을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벽면의 테두리 측에 횡방향으로 적층되는 테두리 블록을 기본 구성요소로서 더욱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블록은, 육각형의 대향 꼭지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 테두리 블록과; 육각형의 대향변의 대략 중심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 테두리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은 대략 만곡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은 대략 만곡형으로 오목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 블록의 접합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변형 방지용 요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형성된 주택 벽면의 정면도이다.
다수개의 블록이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목재블록으로서, 주 블록(10)이 기본 구성요소로서 구비된다.
주 블록(10)은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기둥이 누운 상태로 일측 단면이 벽면의 내측 또는 외측면으로서 노출되는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러한 주 블록(10)은 적층 상태의 벽면이 대략 벌집 형상이 되도록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주 블록(10)의 상호 맞물림식 적층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의 목재 블록은 최종 설치된 벽면이 견고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 블록(10)의 적층 작업 시 벽면의 상하좌우측 테두리나 모서리에 일반형 주 블록(10)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인접하는 주 블록(10)들이 상호 형성하는 사이 공간이 비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벽면의 테두리 측(상하좌우의 최외측변)에 횡방향으로 적층되는 테두리 블록이 구비된다.
이러한 테두리 블록은 다소 변형된 형태의 주 블록(10)으로 볼 수 있으며, 설치 위치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제1 테두리 블록(22)과 제2 테두리 블록(24)으로 구분하여 구비된다.
제1 테두리 블록(22)은 육각형의 대향 꼭지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 설치된다.
제2 테두리 블록(24)은 육각형의 대향변의 대략 중심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설치된다.
제1 테두리 블록(22)과 제2 테두리 블록(24)의 설치에 의해, 벽면의 테두리나 모서리 부분에도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1 테두리 블록(22)과 제2 테두리 블록(24)은 필요에 따라 상호 위치를 교체하여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테두리 블록(22)이 벽면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제2 테두리 블록(24)이 벽면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 설치되도록 전체 블록의 적층이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테두리 블록(24)의 기저부(오각형상의 좌우 측변부)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더욱 연장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제1 테두리 블록(22) 또는 제2 테두리 블록(24)을 더욱 반분한 형태의 블록이 벽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주 블록(10)의 기본 적층 구조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테두리 블록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형태로서, 주 블록(10)의 길이 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10c)은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대략 만곡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10d)은 대략 만곡형으로 오목 형성된다.
목재 주택의 벽면을 적층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주 블록(10)의 돌출면(10c)은 주택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주택 벽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외부의 소음을 최대한 산란시켜 주택 내부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주 블록(10)의 오목면(10d)은 주택 내부의 소리를 흡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주 블록(10)의 돌출면(10c)과 오목면(10d)은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반드시 상술한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80은 상부 부재, 90은 창문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각 블록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수 미터 정도의 길이를 갖는 목재 소재의 표면을 요구되는 치수 및 단면 형상이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삭 가공한다.
이후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한 후, 길이 방향 양단면에 돌출면 또는 오목면을 선택적으로 가공 형성한다.
이러한 가공 과정에 있어서 목재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소재를 고온의 스팀으로 찌고 건조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감처리 시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길이 방향 양단면에 라카 또는 페인트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수 미터 정도의 길이를 갖는 목재를 소재로 사용한다고 하였지만, 그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짜투리 목재 또는 폐목재도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주택 벽면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주택의 기초 공사에 의해 주택 바닥면(60)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주택의 벽면 설계 구조에 따라 벽면의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 각각에 수직으로 기둥(70)이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주 블록(10)과 테두리 블록(22,24)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규격품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길이 250mm, 직경 150mm 정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기둥(70) 간의 거리는 주 블록(10)과 테두리 블록(22,24)의 규격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70)이 설치된 후, 최하층의 제1 테두리 블록(22)과 제2 테두리 블록(24)이 적층되며, 대략 벌집 형상이 이뤄지도록 주 블록(10)이 상호 맞물림식 적층 구조로 적층된다. 이후, 양측 테두리 블록(24) 및 주 블록(10)이 적층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 블록(10) 또는 테두리 블록(22,24)은 하중면(10a) 또는 지지면(10b)이 접합재(11)를 도포한 상태로 맞닿게 하며, 맞닿아 적층된 상태에서 에어 타카(또는 네일러)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못(13)과 같은 고정 수단으로 상호 고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으로 형성된 주택 벽면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주 블록(10)은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규격품으로만 적층할 수도 있지만, (B) 또는 (C)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 연장형성하여 순차적(10-1~10-4)으로 또는 돌출적으로 적층하거나, 벽면의 일측으로 또는 양측(10-1'~10-4')으로 돌출되도록 적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돌출 적층은 벽면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하거나, 창문 설치 시에 화분 받침대를 만들기 위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한 용도 및 기능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재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주 블록(10)의 접합면인 하중면(10a) 또는 지지면(10b)에는 도시된 형태로 둘레 방향의 요홈(10e)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 방향 요홈(10e)이 형성되면, 외부 온도차 또는 습도차에 의한 블록의 변형 및 갈라짐이 더욱 양호하게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목재 주택의 벽면 또는 각종 인테리어용 벽면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작업 현장으로의 운반성 및 보관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 작업성이 양호하여, 비교적 숙련도가 낮은 인력이라도 벽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시에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각 블록이 이루는 접합면의 길이가 통상적인 목재가 이루는 접합면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재질의 변형에 의해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블록의 길이가 짧으므로, 일반적인 목조 주택용 소재로 사용될 수 없는 짜투리 목재 또는 폐목재를 원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주 블록을 포함하는 각 블록의 돌출 적층이 가능하고, 돌출면과 오목면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벽면 구성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사용 편의성과 외관 연출성을 제공한다.

Claims (4)

  1. 다수개의 블록이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목재블록으로서,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적층되되, 적층 상태의 벽면이 대략 벌집 형상이 되도록 육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 블록;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건축용 목재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벽면의 테두리 측에 횡방향으로 적층되는 테두리 블록을 기본 구성요소로서 더욱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블록은,
    육각형의 대향 꼭지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 테두리 블록과;
    육각형의 대향변의 대략 중심점을 따라 반분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 테두리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목재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은 대략 만곡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은 대략 만곡형으로 오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목재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록의 접합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변형 방지용 요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목재 블록.
KR20-2003-0038192U 2003-12-08 2003-12-08 건축용 목재 블록 KR20034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92U KR200344596Y1 (ko) 2003-12-08 2003-12-08 건축용 목재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92U KR200344596Y1 (ko) 2003-12-08 2003-12-08 건축용 목재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96Y1 true KR200344596Y1 (ko) 2004-03-18

Family

ID=4942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192U KR200344596Y1 (ko) 2003-12-08 2003-12-08 건축용 목재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51B1 (ko) 2008-11-13 2011-10-25 이재홍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51B1 (ko) 2008-11-13 2011-10-25 이재홍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693A (en) Prefabricated wall trusses for super-insulated walls
JP2012241482A (ja) 組立家屋及びその組立方法
RU240060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борки деревянных домов, строе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из древоблоков
EP3519640B1 (en) Modular system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as well as building method thereof
KR200344596Y1 (ko) 건축용 목재 블록
RU74404U1 (ru) Сбо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продо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и продо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для сборки э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160983B1 (ko)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KR200344597Y1 (ko) 건축용 목재 블록
KR200344595Y1 (ko) 건축용 목재 블록
KR101193352B1 (ko) 조립식 목조 주택용 나무 블록
KR101053198B1 (ko) 통나무 목재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RU152979U1 (ru) Сборный стеново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з сборного бревна или бруса
RU49860U1 (ru) Деревя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блок и стена малоэтаж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JP2010159591A (ja) 木造構造体及び建築物
RU73894U1 (ru) Утепленный брус
JP4919126B2 (ja) 構造用部材及びその組立方法
JP2840111B2 (ja) 積層パネル構造
US20240151034A1 (en) Beam for constructing wood-framed buildings, construction element incorporating said beam and building constructed with at least one such element
JP2023161323A (ja) 建物のコーナー部の構造及び柱カバー
JP2004060425A (ja) 木造の簡易建物
JPH08239923A (ja) ログハウスの壁面ユニット部材及びログハウス壁面組立方法
RU2266376C1 (ru) Клееный деревянный брус
WO2022182355A1 (en) Log wall construction
KR0172640B1 (ko) 조립식 통나무 주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