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392Y1 - 일체형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일체형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392Y1
KR200344392Y1 KR20-2003-0038172U KR20030038172U KR200344392Y1 KR 200344392 Y1 KR200344392 Y1 KR 200344392Y1 KR 20030038172 U KR20030038172 U KR 20030038172U KR 200344392 Y1 KR200344392 Y1 KR 200344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anel
support
building
integrated
pane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이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인 filed Critical 이병인
Priority to KR20-2003-0038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금형을 통해 별도의 용접을 행하지 않도록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고, 그 패널의 압축강도나 지지강도가 취약한 부분에 철재의 두께를 더 두껍게 구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판 등에 격자형 사각 요철돌기를 형성하도록 한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 함체를 별도의 용접 없이 주물 제조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 및 보조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 제작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경제성이 향상되며, 이웃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과의 연결작업이 볼트와 핀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끼리의 용접으로 인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매우 향상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일체형 건축용 패널{A BUILDING PANNEL PRODUCTED IN A BODY}
본 고안은 일체형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금형을 통해 별도의 용접을 행하지 않도록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고, 그 패널의 압축강도나 지지강도가 취약한 부분에 철재의 두께를 더 두껍게 구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판 등에 격자형 사각 요철돌기를 형성하도록 한 일체형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시간을 고려하여 양생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그 콘크리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판재가 모든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건축 구조물의 크기 또는 작업 여건에 따라서, 이러한 건축용 판재는 목재나 철재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며, 그 크기나 폭 등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되어져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건축용 판재에 대해 기술한다.
종래의 건축용 판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 및 길이, 폭을 갖는 장방향 철재판(4)과, 폭방향 철재판(6), 단방향 철재판(8)을 각각 2개, 5개, 2개를 각각 마련하고, 폭방향 철재판(6)을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입설한 상태에서, 각각의 폭방향 철재판(6) 상하 종단부에 상기 장방향 철재판(4)을 덧대고 용접한다. 그러면, 건축용 판재(2)는 4개의 공간으로 분획된 함체 형태의 건축용 판재가 제조된다.
또한, 상기 건축용 판재(2)의 내부 공간중 양측에 위치된 공간 중앙부에는장방향으로 상기 단방향 철재판(8)의 양단을 각각 용접한다. 그 단방향 철재판(8)은 건축용 판재(2)의 지지응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조 지지판이다. 또, 상기 건축용 판재(2)의 모서리 내측면에는 이등변 직각 삼각형 형태의 모서리 지지판(10)이 용접된다. 따라서, 전체 용접부는 참조부호 12a, 12b, 12c로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부가 모두 용접부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부(12a, 12b, 12c)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건축용 판재(2)의 전체 지지응력 및 압축응력이 낮아지므로 강도가 약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용접을 위한 시간 소모가 과다하여 경제적이 매우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판재(2)는 이웃하는 다른 건축용 판재와의 결합을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하여야 하므로 용접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 역시 낮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형을 통해 별도의 용접을 행하지 않도록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고, 그 패널의 압축강도나 지지강도가 취약한 부분에 철재의 두께를 더 두껍게 구성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판 등에 격자형 사각 요철돌기를 형성하도록 한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핀 결합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a,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볼트 결합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일체형건축용패널, 22a:정면부,
22b:배면부, 22c,22d:양측면부,
24,26:격벽, 28:돌출지지대,
29:보조지지대, 40:격자요철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외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및 시멘트가 일정시간 양생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구성하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일정 높이 및 두께, 길이를 가지며, 건축용 패널의 정면 및 배면을 구성하는 정면부와, 배면부가 형성되고, 그 정면부와 배면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양 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 양측면부로 이루어진 사각함체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각 정면부와 배면부, 양측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바닥에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다수의 격자요철이 형성된 바닥면부가 금형에 의해 주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면부, 배면부, 양측면부, 바닥면부로 이루어진 함체의 내부공간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높이의 격벽에 의해 다수공간으로 분할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면부, 배면부, 양측면부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핀결합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패널과 연결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측면부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패널과 연결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면부의 바닥면 테두리에는 중심의 바닥면보다 높은 두께의 테두리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트결합공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된 볼트의 결합력을 높히기 위해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 지지대와, 양측면부의 내부 측면에는 그 양단이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바닥면부와 양측면부의 결합력을 보강하여 주는 보조지지대가 이등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20)은 본 건축용 패널(20)과 대칭되는 금형(도시 생략)을 통해 주물 제작방식으로 제작한 것으로, 종래의 건축용 패널보다 그 압축강도, 지지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20)은 그 4방향 측면(22a,22b,22c,22d)에 각각 핀결합공(34)과, 볼트 결합공(도 6a참조: 28a)이 각각 천공되어져 있으므로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20)에 대해 용이하게 연장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20)은 장방향 정면부(22a)와 배면부(22b)를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하고, 양 측면부(22c, 22d)가 폭방향이 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 건축용 패널(20)의 내부에는 그 폭방향으로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24)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격벽(24)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한 공간에는 그 공간을 다시 4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보조 격벽(26)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건축용 패널(20)의 전체 공간은 상기 격벽(24)과 보조격벽(26)에 의해 8등분 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격벽(24) 및 보조격벽(26)은 건축용 패널(20) 전체의 지지응력과 압축응력을 증가시켜 전체 강도를 높히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하지만, 이러한 격벽(24)과 보조격벽(26)은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용접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시간이 절약되며, 그 강도 또한 매우 우수하다.
상기 격벽(24)과 보조격벽(26)에 의해 8등분 되어진 어느 한 공간에는 상기 격벽(24)과 보조격벽(26) 보다 낮은 높이이며, 각각 수직된 복수개의 격벽(27a, 27b)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격벽(27a, 27b)에 의해 상기 격벽(24)과 보조격벽(26)에 의해 8등분 되어진 어느 한 공간이 다시 4등 분할된다.
또한, 상기 건축용 패널(20)의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바닥면보다 다소 높은 높이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지지하는 테두리 지지대(33)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테두리 지지대(33)의 안쪽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격자형 요철부(4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테두리 지지대(33) 및 격자형 요철부(40)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건축용 패널(20)의 각 연결부로서, 그 건축용 패널(20)의 내부를 지지하여 지지응력 및 압축응력, 비틀림 응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 지지대(33)와 양 측면부(22c, 22d)와의 사이에는 직삼각 형 형상의 보조지지대(29)가 구성되며, 그 보조지지대(29)의 하면과 측면이 각각 상기 테두리 지지대(33)와 양 측면부(22c, 22d)에 연장되게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양측면부(22c,22d)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지지부(2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 소정부에는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도 28a: 도 6a 참조)이 형성되어져 있다. 돌출 지지부(28)는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20)에 대한 볼트(30) 체결시 그 양측면부(22c, 22d)의 지지력을 높히기 위해 해당 볼트 체결부의 두께를 더 두껍게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축용 패널(20)은 그 장방향 정면부(22a)와 배면부(22b), 양 측면부(22c, 22d)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홈(32)이 그 높이 방향으로 각설되어져 있으며, 그 홈(32)의 중앙부에는 핀결합공(34)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 핀결합공(34)은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20)과 핀(도 5b 참조: 5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천공된 것이다. 동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A는 핀결합부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볼트 결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핀 결합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5a, 5b에 도시된 도면은 도 2에 도시된 핀결합부(A)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건축용 패널(20)의 그 장방향 정면부(22a)와 배면부(22b), 양 측면부(22c, 22d)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홈(32)이 그 높이 방향으로 각설되어져 있으며, 그 홈(32)의 중앙부에는 핀결합공(34)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그 핀결합공(34)의 측면에는 장방향 정면부(22a)와 배면부(22b), 양 측면부(22c, 22d)로부터 연장되게 보조지지대(35)가 형성되는 바, 그 보조지지대(35)는 상기 격벽(27a)과 연장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부에 핀(50)의 일부가 결합되는 고정공(35a)이 형성되어져 있다.
도 6a,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의 볼트 결합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6a, 6b에 도시된 도면은 도 2에 도시된 볼트결합부(B)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양측면부(22c,22d)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지지부(2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 소정부에는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도 28a: 도 6a 참조)이 형성되어져 있다. 돌출 지지부(28)는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20)에 대한 볼트(30) 체결시 그 양측면부(22c, 22d)의 지지력을 높히기 위해 해당 볼트 체결부의 두께를 더 두껍게 구성한 것으로,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20)의 양측면부(22c,22d)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볼트 결합공(28a)에 볼트(30)를 결합시키면 길이방향으로 건축용 패널(20) 끼리 연결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건축용 패널은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 함체를 별도의 용접 없이 주물 제조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 및 보조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 제작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경제성이 향상되며, 이웃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과의 연결작업이 볼트와 핀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용 패널끼리의 용접으로 인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매우 향상되고 편리하다.

Claims (7)

  1. 건축물 외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및 시멘트가 일정시간 양생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구성하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일정 높이 및 두께, 길이를 가지며, 건축용 패널의 정면 및 배면을 구성하는 정면부와, 배면부가 형성되고, 그 정면부와 배면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양 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 양측면부로 이루어진 사각함체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각 정면부와 배면부, 양측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바닥에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다수의 격자요철이 형성된 바닥면부가 금형에 의해 주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 배면부, 양측면부, 바닥면부로 이루어진 함체의 내부공간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높이의 격벽에 의해 다수공간으로 분할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 배면부, 양측면부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핀결합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패널과 연결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패널과 연결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의 바닥면 테두리에는 중심의 바닥면보다 높은 두께의 테두리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결합공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된 볼트의 결합력을 높히기 위해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지지대와, 양측면부의 내부 측면에는 그 양단이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바닥면부와 양측면부의 결합력을 보강하여 주는 보조지지대가 이등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건축용 패널.
KR20-2003-0038172U 2003-12-08 2003-12-08 일체형 건축용 패널 KR200344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72U KR200344392Y1 (ko) 2003-12-08 2003-12-08 일체형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72U KR200344392Y1 (ko) 2003-12-08 2003-12-08 일체형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392Y1 true KR200344392Y1 (ko) 2004-03-10

Family

ID=4934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172U KR200344392Y1 (ko) 2003-12-08 2003-12-08 일체형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55B1 (ko) 2012-07-20 2014-02-14 이창남 선조립골조용 박피 영구거푸집 및 그 제작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55B1 (ko) 2012-07-20 2014-02-14 이창남 선조립골조용 박피 영구거푸집 및 그 제작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197B1 (ko) 건축 모듈러 유닛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344392Y1 (ko) 일체형 건축용 패널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JP5128313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76196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JPH0816350B2 (ja) ユニット住宅の施工方法
CN214220077U (zh) 一种带加劲肋的新型预制装配式剪力墙水平向连接结构
KR100638846B1 (ko) 기둥폼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139014B1 (ko) 가변형 기둥폼
KR101675045B1 (ko)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063663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剪力墙结构
JP3831545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249154B1 (ko) 건식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제진대
JP3820292B2 (ja) 建物ユニット用連結具
KR200375728Y1 (ko) 인코너 설치용 철재 거푸집
JP2978447B2 (ja) ユニット住宅
KR101170920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용 플랜지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KR200439683Y1 (ko) 건축물 외벽 시공을 위한 갱폼용 거푸집 패널
CN218264908U (zh) 建筑模板
CN211949914U (zh) 一种装配式多功能预制庭院围墙构件
KR200370187Y1 (ko) 보강 건축용 패널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