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945Y1 -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945Y1
KR200343945Y1 KR20-2003-0036651U KR20030036651U KR200343945Y1 KR 200343945 Y1 KR200343945 Y1 KR 200343945Y1 KR 20030036651 U KR20030036651 U KR 20030036651U KR 200343945 Y1 KR200343945 Y1 KR 200343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main
negative ion
circuit boar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균
정재춘
최경엽
Original Assignee
피닉스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전기(주) filed Critical 피닉스전기(주)
Priority to KR20-2003-0036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에 소켓베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케이스와; 조명부재가 부분적으로 출입하는 출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메인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케이스와; 판면에 장착된 복수의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품이 상기 소켓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조명부재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갖는 소켓부재와;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Socket device for generating a negative ion}
본 고안은,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켓(Socket)이란 전구, 형광등, 진공관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를 가리킨다.
전구용으로는 전구를 장치하는 방법에 따라 나사모양으로 틀어서 넣는 에디슨형과 꽂아 넣는 스완형이 있다. 에디슨형은 일반 가정의 옥내배선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소켓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스완형은 진동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느슨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열차, 자동차, 선박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전등용에는 손잡이를 틀어서 점멸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키소켓, 매단 줄을 당겨서 점멸하는 것으로 전기 스탠드에 많이 사용되는 풀소켓, 소켓에 버튼 스위치가 달려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점멸하는 버튼소켓, 스위치가 붙어 있지 않고 별도로 마련한 스위치에 의해서 점멸하는 키리스(Key less)소켓 등이 있다.
이 밖에도 하나의 소켓이 2개 내지 3개로 갈라지는 쌍소켓, 옥외등에서 빗물이 내리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수 소켓 등이 있다. 형광등용에는 형광등(방전관)을 회전해서 고정시키는 것과, 양끝을 스프링으로 눌러서 고정시키는 것이 있는데, 전자는 20 W 이상의 대형에 주로 사용된다. 진공관용으로는 진공관의 발의 크기 및 개수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것이 있으며, 진공관을 고정함과 동시에 진공관을 작용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구실도 하고 있다.
한편, 근자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함에 따라 공기청정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속속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써, 에어컨 등에 일체로 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나 혹은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이온발생기 등이 그 예일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음이온 발생장치의 경우에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써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기 등의 보조부품을 추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치가 거대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8707호에는 공기정화 및 다기능을 갖춘 조명소켓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전구나 형광등을 끼워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음이온 발생수단을 마련하여 음이온에 의한 공기청정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개시된 기술의 명세서 전문의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기술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상기 등록 명세서 중 일부분을 참조할 때, 종래의 조명소켓장치는,상호 결합가능한 상부, 중부 및 하부 케이스(12,14,16)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12)의 상단에는 소켓 베이스(10)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흡입구(12a)가 관통되어 있다.
중부 케이스(14) 내에는 음이온 발생 동작과 가스감지 경고 동작 및 전구에 대한 원격 온/오프 명령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전구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칩이 설치된 회로기판(18), 그 회로기판(18)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하부에 설치된 원형의 양극판(22)과, 그 회로기판(18)에 체결된 소켓(20)을 감싸는 음극판(24) 및 그 양극판(22)의 하부에서 그 음극판(24)에 대향되게 설치된 음이온 방전핀(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판(22)과 음극판(24)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며, 그 음극판(24)에는 다수의 구멍(24a)이 형성되어, 그 회로기판(18)의 제어칩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부; 그 전구에 대한 원격 온/오프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그 회로기판(18)의 제어칩에게로 전송하는 리모콘 수신부(26); 및 가스를 감지하여 그에 대한 경고신호를 그 회로기판(18)의 제어칩에게 전송하고, 그 회로기판(18)의 제어칩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경고동작을 행하는 가스감지 경보부(30)가 구비된다.
이에, 소켓 베이스(10)를 통상의 전구용 소켓(미도시)에 장착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6)의 중앙영역을 통해 전구나 형광등을 삽입하여 소켓(20)에 체결함으로써 조명의 역할로 사용할 수 있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음극판(24)으로부터 양극판(22)을 향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공기를 정화하는 음이온 발생의 효과를 제공할수 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장치 전체가 상부, 중부 및 하부 케이스(12,14,16)로 이루어져 있고, 별도로 분리된 소켓(20)을 그대로 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어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회로기판(18) 영역과 양극판(22) 및 음극판(24) 사이의 영역에 발생하여 존재하는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고전압에 의한 전기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안정성의 문제를 드러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절취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대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조명소켓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케이스 111 : 소켓베이스
112 : 온도감지부 113 : 공기유입공
120 : 보조케이스 123 : 음이온배출공
130 : 조명부재 140 : 회로기판
141 : 메인PCB 143 : 보조PCB
143a : 고압트랜스 150 : 제2프로텍터
160 : 소켓부재 161 : 지지부
162 : 소켓기둥 170 : 음이온발생부
171 : 음극판부 172,272 : 방전판
180 : 제1프로텍터 272b : 양극판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단부에 소켓베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케이스와; 조명부재가 부분적으로 출입하는 출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메인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케이스와; 판면에 장착된 복수의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품이 상기 소켓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조명부재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갖는 소켓부재와;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를 포함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발생부는, 상기 소켓부재에 결합되어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와; 상기 회로기판과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음극판부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음극판부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전판에 접촉하는 접지부의 접지방식은, 스프링접지식 또는 전선접지식 중 어느 하나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판부는 상기 소켓부재의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체결링부와; 상기 체결링부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방전판을 향해 첨예하게 돌출된 첨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판의 내부에는 상기 소켓부재의 어느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부와 상기 방전판 사이에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1프로텍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부와 상기 방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PCB와; 상기 메인PCB 이격배치되고 상기 소켓베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고압트랜스가 장착되어 있는 보조PCB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및 보조PCB 사이에는 상기 고압트랜스로부터 상기 메인PCB로 고전압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2프로텍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메인PCB를 지지하며 판면에 상기 접지부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소켓부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판은 일부분이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온도감지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는, 심각한 공기 오염 문제로 인하여 신선한 공기를 원하는 인간의 욕구에 의하여 많은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는 현재 추세에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신선한 공기를 만들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조명의 역할을 겸한 다기능성 제품인 것이다.
특히, 갈수록 도시화되어 가는 현대의 주거 공간에서 신선한 공기가 필요한 곳은 매우 많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대도시의 개인 주택이나 아파트로부터, 사람들이 많이 출입하면서도 밀폐가 되어있는 지역인 학교 강의실, 도서관, 유흥업소, 노래방, 피씨방 등 대도시에 위치한 대부분의 공간은 밀폐가 되어 있다. 이렇게 밀폐되어 있는 많은 장소 중에서 신선한 공기의 공급뿐만이 아니라 사물 식별을 위한 조명도 역시 필요한 곳이 많이 있다.
이처럼 사물 식별을 위한 조명과 음이온 발생기를 함께 필요로 하는 장소는 우리 주변에 많이 있지만 조명과 음이온 발생기를 따로 구입하여 설치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게다가 사물 식별을 위한 조명이 필요할 만큼 어두운 장소에 음이온 발생기와 같은 전기를 필요로 하는 기계를 따로 설치하게 되면 사람이 식별하기 어려워 기계 작동시 어려움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기도 하며 기계가 설치된 것을 인식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위험 요소가 되기도 하는 등 취침등과 음이온 발생기를 동시에 필요로 하는 많은 장소에 취침등과 음이온 발생기를 따로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음이온 발생기에 조명부재(130)를 장착하여 조명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의 필요성을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부분 절취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는,조립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메인케이스(110)와, 메인케이스(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케이스(120)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케이스(110)의 외측 단부에는 소켓베이스(11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조명부재 대신 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를 별도의 소켓(미도시)에 회전시켜 끼운 다음, 원하는 조명부재(130, 도 5 참조)를 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에 체결하면 된다.
이러한 메인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온도감지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온도감지부(112)는, 제품이 열에 의해 과열되어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품에 발생하는 열을 감지한 후, 소정의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메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한 회로기판(14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온도감지부(112)의 일측 메인케이스(110)의 원주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유입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케이스(110)에 비해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보조케이스(120)는 메인케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의 결합단부에는 가압 후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115)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케이스(120)의 원주면에는 메인케이스(110)에 대해 보조케이스(120)를 회전시키거나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에는 조명부재(130)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개구(1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출입개구(122)의 주변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음이온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음이온배출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조명부재(130)를 온(ON)시키거나 혹은 후술할 음이온발생부(170)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기판(140)이 마련되어 있다. 회로기판(140)은 메인PCB(141)와, 메인PCB(141) 이격배치되고 소켓베이스(111) 내부에 배치되는 고압트랜스(143a)가 장착되어 있는 보조PCB(143)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PCB(141)의 판면에는 다이오드 및 저항들을 포함한 복수의 부품(141a)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부품(141a)들의 일측에는 스프링접지식 접지부(142)가 마련되어 있다. 접지부(142)는 각 구성요소들이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 내에 조립완료되었을 경우, 방전판(172)에 접지된다.
보조PCB(143)의 판면에는, 교류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바꾸는 장치로써 변압기라고도 불리는 고압트랜스(143a)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고압트랜스(143a)는 메인PCB(141)에 마련된 복수의 부품(141a)들에 비해 훨씬 그 부피가 크게 제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고압트랜스(143a)만이라도 소켓베이스(1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메인 및 보조PCB(141,143) 사이에는 고압트랜스(143a)로부터 메인PCB(141)로 고전압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2프로텍터(1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소켓부재(160)는, 메인PCB(141)의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PCB(141)를 지지하는 한편 도 5에 도시된 조명부재(130)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켓부재(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PCB(141)를 지지하며 판면에 접지부(142)가 통과하는 통과부(161a)가 형성된 지지부(161)와, 지지부(161)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조명부재(130)가 결합되는 소켓부(162a)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기둥(16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소켓부재(160)를, 지지부(161)와 소켓기둥(162)으로 마련하면서 지지부(161)와 소켓기둥(162)을 일체로 제조함으로써, 그 높이를 원하는 만큼 줄일 수 있다. 실제로,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것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높이를 줄이는데는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다.
한편,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 내에는, 메인케이스(110)의 공기유입공(1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음이온으로 변화시켜 보조케이스(120)의 음이온배출공(12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이온발생부(170)가 마련되어 있다.
음이온발생부(170)는, 소켓부재(160)에 결합되어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171)와, 회로기판(140)으로부터 연결된 접지부(142)에 접지된 상태에서 음극판부(171)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음극판부(171)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판(172)을 포함한다.
음극판부(171)는 소켓부재(160)의 소켓기둥(162)으로 삽입되는 체결링부(171a)와, 체결링부(171a)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고 보다 빠르고 많은 양의 전자(음이온)를 방출하기 위해 그 노출 단부가 방전판(172)을 향해 첨예하게 돌출된 첨예부(171b)로 이루어져 있다.
방전판(172)은 그 중앙영역에, 소켓부재(160)의 소켓기둥(162)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7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7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공(172b)을 통해 음이온이 통과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음이온의 발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음극판부(171)와 방전판(1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티타늄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티타늄은 그 비용이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본 제품을 저렴하게 제조하고자 한다면 알루미늄이나 놋쇠에 니켈을 도금한 복합재료로 음극판부(171)와 방전판(1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음극판부(171)와 방전판(172) 사이에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1프로텍터(18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조립 상태에서, 메인케이스(1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소켓베이스(111)를 별도의 소켓(미도시)에 회전시켜 끼운다.
그리고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조명부재(130)를 보조케이스(120)의 하면에 형성된 출입개구(122)로 삽입시켜 소켓부재(160)의 소켓기둥(162) 내부에 마련된 소켓부(162a)로 체결함으로써 조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조명부재(130)가 작동되어 빛을 발산하는 동안, 메인PCB(141)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은 음극판부(171)에서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걸려 전자(음이온)가 발생한다. 발생한 전자(음이온)는, 첨예부(171b)의 단부를 떠나 이격된 방전판(172)으로 향한다.
이처럼 전자가 방출되어 이동하는 동안, 메인케이스(110)의 외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13)을 통해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발생한 전자와 반응하여 음이온 등으로 변화되는데(음이온의 수가 많아짐), 이 같은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방전판(172) 영역 주변 공기에는 많은 음이온이 발생한다.
물론, 발생한 음이온은, 보조케이스(12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음이온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기를 청정 전화하는 음이온 방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통상적으로 숲 속이나 폭포, 온천 등에서 인체에 상쾌하게 느껴지는 (-)전하를 띤 공기의 원자 요소가 음이온이며,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이온,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이러한 음이온을 마시면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활력을 증진시키며,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욕증진의 효과가 있어 음이온은 공기 비타민으로까지 불린다. 쾌적한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숲속, 온천, 폭포, 해안지역의 공기 1cc당 음이온의 분포량은 800 ~ 2000개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음이온의 효과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혈액의 정화작용, 세포의 활성작용, 저항력 증가작용, 자율신경계 조절작용, 전자파에 의해 생성 된 인체의 유해물질제거 작용, 먼지 및 세균 제거 작용, 습도조절작용, 악취제거 작용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앞서 기술한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명 수단으로도 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것과는 다르게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방전판(172)의 표면에 많은 이물질이 달라붙게 된다. 음이온 발생 방식은 소위, 코로나 방전 방식이기 때문에 높은 (-)전위에서 생성된 음이온이 전위가 제로(0)인방전판(172, 어스(Earth) 역할)쪽으로 이동할 경우, 유입된 공기 중의 분진, 냄새, 박테리아 등을 방전판(172) 쪽으로 끌고가서 흡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될 경우, 어스 단자로 방전판(172)의 표면에는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음이온 발생기로써의 지속적인 기능을 하기 어렵게 된다. 때문에 음이온 발생 효과를 보다 효율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이 방전판(172)에 흡착되는 것을 저지하거나 혹은 달라붙은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청소관리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에 음이온 발생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방전판(172)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제1실시예에서는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를 수시로 분리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방전판(172)을 자주 청소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방전판(272)이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면, 메인 및 보조케이스(110,120)를 수시로 분리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방전판(272)을 청소하는 불편함을 덜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과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방전판(272)을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사출몸체부(272a)와, 사출몸체부(272a)에 연결되고 음극판부(171)로부터의 전자를 인입하는 어스단자로써의 양극판부(272b)로 형성한다. 이 때, 양극판부(272b)는 제1실시예의 방전판(171)을 반으로 분리한 형상이다. 그리고, 사출몸체부(272a)의 일측에는 사출몸체부(272a)의 판면에 대해 절곡된 손잡이부(272c)를 형성한다.
한편, 방전판(272)과 대응되는 위치의 보조케이스(120)에는 방전판(272)의 양극판부(272b)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형성한다.
이에, 시간이 흘러, 방전판(272)의 양극판부(272b)에 이물질이 많이 흡착되었다고 생각되면, 손잡이부(272c)를 잡고 방전판(272)을 슬롯(124)으로부터 빼낸다. 그리고는, 방전판(272)의 양극판부(272b)에 흡착된 이물질을 헝겊 등으로 닦아주고 다시 슬롯(124)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방전판(272)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이온 방출을 보다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전판(272)을 보다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어 방전판(272)의 청소 관리를 보다 쉽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압트랜스만이 소켓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다른 부품들 역시 소켓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양극판부가 스프링접지식으로 접지되어 있으나, 메인PCB로부터 강제로 전선을 뽑은 다음 그 단부를 양극판부에 대고 볼트로 양극판부에 결합시키는 전선접지식으로도 그 구조를 충분히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전판에 동그란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슬롯의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온도감지부 대신 명암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고 이 신호를 회로기판과 연결해 놓는다면, 소정의 기준 명암에 비해 좀 더 어두워질 경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조명부재가 자동으로 온(ON)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발생가능한 고전압을 처리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단부에 소켓베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케이스와;
    조명부재가 부분적으로 출입하는 출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메인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케이스와;
    판면에 장착된 복수의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품이 상기 소켓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조명부재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갖는 소켓부재와;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를 포함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발생부는, 상기 소켓부재에 결합되어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와; 상기 회로기판과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음극판부의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음극판부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전판에 접촉하는 접지부의 접지방식은, 스프링접지식 또는 전선접지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부는 상기 소켓부재의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체결링부와; 상기 체결링부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방전판을 향해 첨예하게 돌출된 첨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의 내부에는 상기 소켓부재의 어느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부와 상기 방전판 사이에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1프로텍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부와 상기 방전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PCB와; 상기 메인PCB 이격배치되고 상기 소켓베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고압트랜스가 장착되어 있는 보조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보조PCB 사이에는 상기 고압트랜스로부터 상기 메인PCB로 고전압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고전압 흐름 저지용 제2프로텍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메인PCB를 지지하며 판면에 상기 접지부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소켓부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의 일부분은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보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온도감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KR20-2003-0036651U 2003-11-24 2003-11-24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KR200343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51U KR200343945Y1 (ko) 2003-11-24 2003-11-24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51U KR200343945Y1 (ko) 2003-11-24 2003-11-24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945Y1 true KR200343945Y1 (ko) 2004-03-06

Family

ID=4942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51U KR200343945Y1 (ko) 2003-11-24 2003-11-24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9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195B2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EP1430910B1 (en) Air cleaning device
US4816973A (en) Portable night light and air freshener
US20160003429A1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JP2002373761A5 (ko)
WO2006012526A2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enhanced germicidal lamp
CN101277724A (zh) 空气净化器
EP2108095A2 (en) A ventilation cover with a light source
KR20030040714A (ko)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조명기구
WO2006031036A1 (en) Negative ion emission lamp
KR200343945Y1 (ko)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
CN105042423A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KR200343108Y1 (ko) 조명기구
CN106989456A (zh) 新型智能纳米水离子净味器
KR200305821Y1 (ko) 송풍 또는 난방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N220958806U (zh) 嵌入式杀菌装置
KR101798913B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장치
KR200385070Y1 (ko)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전등 소켓
KR200295205Y1 (ko) 음이온 공기청정기
KR200433638Y1 (ko)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조명기구
CN217235858U (zh) 空调室内机
KR200385071Y1 (ko) 전구용 음이온 발생기
CN212430544U (zh) 一种小夜灯
CN217030949U (zh) 便于安装的衣柜灯
CN212876298U (zh) 一种插入式安装的红外探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