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164Y1 - 다용도 쿠션 - Google Patents

다용도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164Y1
KR200343164Y1 KR20-2003-0035082U KR20030035082U KR200343164Y1 KR 200343164 Y1 KR200343164 Y1 KR 200343164Y1 KR 20030035082 U KR20030035082 U KR 20030035082U KR 200343164 Y1 KR200343164 Y1 KR 200343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outer shell
inner foam
integrall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권
Original Assignee
양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권 filed Critical 양병권
Priority to KR20-2003-0035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부에 착용하여 독서나 수유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일부가 개방되는 원형상으로 세탁 가능한 외피와 상기 외피로써 감싸지며 일정한 쿠션을 제공하는 내피로서 구성되고, 상기 외피의 개방부에 체결수단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쿠션을 사용자의 몸체 견고하게 지지할수 있도록 하고, 수유시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쿠션{a multipurpose cushion}
본 고안은 복부에 착용하여 독서나 수유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특히, 일부가 개방되는 원형상으로 세탁 가능한 외피와 상기 외피로써 감싸지며 일정한 쿠션을 제공하는 내피로서 구성되고, 상기 외피의 개방부에 체결수단이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쿠션을 사용자의 몸체 견고하게 지지할수 있도록 하고, 수유시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유용 쿠션은, 아기를 앉아서 수유하는 산모의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으면서 산모의 복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은 직물로 된 외피 내부에 솜이 충진된 내피를 삽입하는 구성이고, 통상적인 쿠션재로 솜을 삽입하여 사용되고 있는 등받이 등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유용 쿠션은, 단순히 수유할 때 유아를 받치고 있는 지지체 역할만을 하였고, 쿠션재로 솜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또 세탁을 할 경우에는 외피와 솜이 충진된 내피 모두를 세탁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쿠션재로 솜을 사용하였으므로 자주 사용하게 되면 솜이 뭉쳐져서 쿠션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유용 쿠션이 등록실용신안 제31939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외피(2)로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2) 저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에 슬라이드파스너(4)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외피(2) 내부에 공기주입구(9)가 구비된 공기튜브(8)가 삽입되며, 상기 공기주입구(9)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쿠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외피(2) 저면에 삽입공(5)이 형성되어 공기주입구(9)가 외피(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유용 쿠션은, 땀흡수가 힘들어 수유시나 취침시 유아에게 불쾌감을 주게되며, 쿠션이 원형을 유지하여 그 상부에 눕혀지는 유아의 안정감이 저하되고, 유아를 항상 붙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 고정되어 안정된 형태로 유아를 안거나 눕혀서 편리하게 수유할 수 있도록 하고, 땀흡수가 용이하여 수유시나 취침시 유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며, 쿠션의 상부면에 함몰된 베이스면을 형성하여 유아에게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할수 있도록 한 다용도 쿠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아가 수유나 잠이들때 유아를 안정감있게 지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지않도록 하는 다용도 쿠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수유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다.
도5a,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및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내부폼 110...개방부
120...섬유층 140...에어층
160...쿠션부재 170...요홈부
210...체결수단 250...지압부
300...쿠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부가 개방되는 원형상으로 세탁 가능한 외피와 상기 외피로써 감싸지며 일정한 쿠션을 제공하는 내피로서 구성되고, 상기 외피의 개방부에 체결수단이 일체로 설치되는 다용도 쿠션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쿠션에 요홈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복수의 밴드로서 연결되는 다용도 쿠션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쿠션(300)은, 내부폼(100)와 외피(2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내부폼(100)는, 중앙부를 향하여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방부(110)가 일단에 형성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면 또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져 일정한 쿠션을 갖는 섬유층(120)와 그 일측에 적층되면서 외부에서 공기주입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튜브등으로 이루어진 에어층(140)으로 구성되는 쿠션부재(160)가 그 외측을 감싸는 내피(130)에 의해 단일체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큐션부재(160)는 그 일측에 아기의 신체 일부가 삽입되어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요홈부(17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70)는, 섬유층(120)과 에어층(140)의 한부분 이상에 형성되며, 섬유층(120)에 형성시 바늘을 이용한 퀼트공법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고 에어층에 형성시는 고주파 처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피(200)는, 상기 내피폼(1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개방부(110a)에 체결수단(220)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체결수단(220)은, 상기 개방부(1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밴드(220a)와 타단에 연결되는 제2밴드(220b)및 상기 제1,2밴드(220a)(220b)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구(220c)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체결구(220c)는, 후크연결편과 후크및, 한조의 메직테잎, 한조의 버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 진다.
더하여, 상기 제1,2밴드(220a)(220b)의 미사용시 외피(200)의 일측에 수납토록 주머니(240)가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2밴드(220a)(220b)중 선택되는 어느 한곳에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도록 폭이 확대되는 지압부(25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압부(250)에는 전열선(250a)및 원적외선 방사체(250b)가 일체로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외피(200)의 일측면 즉 요홈부(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밴드(270)가 연결설치되어 그 타단이 메직테잎(270)을 통하여 외피(200)에 탈, 부착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130a)는, 별도의 전자파 차단용 시트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개방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쿠션(300)을 삽입한후 상기 개방부(1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체결하면 상기 쿠션(300)의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어 쿠션(300)이 회전되거나 허리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220)은 미 사용시 외피(200)에 재봉등에 의해 고정되는 주머니(240)의 내측에 수납되어 깨끗하게 처리됨으로써 외부 물건등에 간섭되거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폼(100)은, 솜등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부에 퀼트등의 공법을 통하여 항상 일정하게 함몰되는 요홈부(170)가 형성되어 주위보다 함몰되는 형상으로 유아등이 편한하게 누을수 있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내부폼(100)은, 고무튜브로 이루어 진 에어층의 일부에 고주파 공법을 통하여 항상 일정하게 함몰되는 요홈부(170)가 형성되어 주위보다 함몰되는 형상으로 유아등이 편한하게 누을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섬유층(120)에 에어층(140)이 적층되는 구성으 로 이루어진 내부폼(100) 역시 그 외측을 내피(130)로써 감쌀때 일정한 폼의 요홈부(17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폼(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층은 에어층(140) 타층은 섬유층(120)의 쿠션부재(160)를 내피(130)로 감싸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미사용시 에어층(140)의 바람을 배출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서 운반및 보관이 용이하다.
더하여, 본 도면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쿠션부재(160)를 구성하는 섬유층(120)과 에어층(140)을 각각 감싸도록 외피(20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피 역시 지퍼등에 의해 그 접촉면 양단이 각각 연결되면서 완전분리시 섬유층과 에어층의 일부가 연결되는 형성을 유지하여 상호 분리시 오뚜기 형상을 유지토록 됨으로써 바닥에 놓거나 의자등에 놓아 사용할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상기 쿠션(300)을 펼쳐 사용하면 쿠션부가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형태가 되어 한층 안락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쿠션(300)를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하는 체결수단(220)은, 상기 개방부(110a)에 각각 연결되는 제1,2밴드(220a)(220b)를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2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개방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밴드(220a)와 제2밴드(220b)를 후크연결편과 후크및, 한조의 메직테잎, 한조의 버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 진 체결구(220c)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서 그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1,2밴드(220a)(220b)중 선택되는 어느 한곳에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도록 폭이 확대되는 지압부(2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쿠션(300)을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면 상기 지압부(250)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함은 물론 상기 지압부(250)에 설치되는 전열선및 원적외선 방사체를 통하여 온열및 지압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하여, 상기 쿠션(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피(200)에 형성되는 요홈부(170)에 아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외피(200)에 연결되는 지지밴드(270)를 체결하여 사용하면 지지밴드가 이블의 역활을 수행함은 물론 아기를 한층 안정감 있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130a)는, 별도의 전자파 차단용 시트가 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쿠션(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유아에 전달되는 전자파등을 차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산모나 유아 모두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에서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유에 따르는 산모의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편안한 자세에서 모유나 우유의 섭취는 물론 수면이나 휴식 등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가 수유나 잠이들때 유아를 안정감있게 지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지않음은 물론 허리의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7)

  1. 중앙부를 향하여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방부(110)를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쿠션부재(160)와 그 외측을 감싸는 내피(130)의 단일체로서 이루어 지는 내부폼(100); 과,
    상기 내부폼(100)을 감싸는 동일형성으로 형성되며, 개방부(110a)에 체결수단(220)이 일체로 설치되는 외피(200)를 포함하는 다용도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 상기 개방부(11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밴드(220a)와 타단에 연결되는 제2밴드(220b)및 상기 제1,2밴드(220a)(220b)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구(220c)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0c)는, 후크연결편과 후크및, 한조의 메직테잎, 한조의 버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 지며, 외피(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머니(240)에 수납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밴드(220a)(220b)중 선택되는 어느 한곳에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도록 폭이 확대되는 지압부(25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250)에는 전열선및 원적외선 방사체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폼(100)은, 일층은 에어층(140) 타층은 섬유층(120)의 상이한부재가 각각 분할되어 형성되는 쿠션부재(160)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폼(100)은, 상기 큐션부재(160)의 일측에 요홈부(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200)는, 그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밴드(270)가 설치되어 그 타단에 연결되는 메직테잎(270)을 통하여 외피(200)에 탈 부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쿠션.
KR20-2003-0035082U 2003-11-10 2003-11-10 다용도 쿠션 KR200343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82U KR200343164Y1 (ko) 2003-11-10 2003-11-10 다용도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82U KR200343164Y1 (ko) 2003-11-10 2003-11-10 다용도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164Y1 true KR200343164Y1 (ko) 2004-03-04

Family

ID=4942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082U KR200343164Y1 (ko) 2003-11-10 2003-11-10 다용도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83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힐링라이프 기능성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83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힐링라이프 기능성 베개
KR102359571B1 (ko) * 2020-05-04 2022-02-09 주식회사 힐링라이프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477B2 (en) Baby carrier
US6061854A (en) Adjustable nursing pillow assembly
US8516638B2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US6213362B1 (en) Sling-type infant carrier
US5790999A (en) Nursing pillow adapted for use with twins
US6978479B2 (en) Garment for preventing a baby from rolling over
US7761933B2 (en) Baby h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664828A (en) Support device for use in simultaneous nursing of twin infants
US20070151031A1 (en) Elongated angular multiple position body pillow
US20090199343A1 (en) Portable Breastfeeding and Nursing Pillow
WO2007002394A2 (en) Nursing support pillows and methods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GB2297252A (en) Arm support
KR20210105712A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20200288877A1 (en) Nursing Pillow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KR200343164Y1 (ko) 다용도 쿠션
US20150089710A1 (en) Skin-to-skin care garment
KR200377121Y1 (ko) 유아용 베개
US6837880B2 (en) Diaper sheet combination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US20210235885A1 (en) Compact travel nursing pillow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US20100224200A1 (en) Infant Restrain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