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77Y1 -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77Y1
KR200342777Y1 KR20-2003-0036376U KR20030036376U KR200342777Y1 KR 200342777 Y1 KR200342777 Y1 KR 200342777Y1 KR 20030036376 U KR20030036376 U KR 20030036376U KR 200342777 Y1 KR200342777 Y1 KR 200342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mart card
contac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김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필 filed Critical 김용필
Priority to KR20-2003-0036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에 콤비칩이 일체로 실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접촉식 스마트카드가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콤비칩에 의한 각종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의한 각종 접촉식 스마트카드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은, 이동통신단말(1)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제어되고 이동통신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비접촉식 기능을 실행하는 콤비칩(10);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설치되고 상기 콤비칩(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콤비칩(10)의 비접촉식 기능이 실행되게 하는 RF 안테나(20);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선택적으로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통신을 통해 접촉식 기능을 실행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3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mart Card}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에 콤비칩이 일체로 실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접촉식 스마트카드가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콤비칩에 의한 각종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의한 각종 접촉식 스마트카드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즉, 스마트칩)이 구비되어서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며, 금융, 통신, 교육, 행정, 교통 등 수많은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신원확인, 전자화폐, 신용카드, 전자통장 등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그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스마트칩의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스마트카드,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및 겸용 스마트카드로 구분하기도 한다.
접촉식 스마트카드는 스마트칩의 접점이 인터페이스장치의 접점에 접촉됨으로써 스마트칩이 활성화되는 형태의 카드를 말하고,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는 정보처리 기능에 필요한 연산소자와 기억소자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와 동일하지만 카드내의 스마트칩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이 코일(RF 안테나)을 통해 이루어지고 인터페이스장치와의 통신을 위하여 전자유도방식을 이용하는 형태의 카드를 말하며, 겸용 스마트카드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와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의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스마트카드로서, 그 대표적인 콤비카드(Combi card)는 하나의 카드 내에 접촉/비접촉식이 공유될 수 있는 부분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구성된 카드이다.
콤비카드는, 예들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즉, 콤비카드에는 C1 내지 C8의 총 8개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C1은 전원공급단자(VCC), C2는 초기화 입력단자(RESET), C3은 클럭단자(CLK), C4는 비사용 예비단자(N/C), C5는 접지단자(GND), C6은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현재 사용되지 않음), C7은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DATA), C8은 비사용 예비단자(N/C)이다.
이동통신단말(특히, 휴대전화기)과 스마트카드의 활용분야가 더욱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카드는 전통적인 플라스틱카드 형태가 아닌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를 이동통신단말에 적용시킨 예의 하나로는, 탈착식 콤비카드가 구비된 휴대전화기가 있다. 콤비카드 탈착식 휴대전화기는, 콤비카드의 2개의 단자(예, C4. C8)에 RF 안테나가 연결되어 있어서 비접촉(RF)으로 외부 인터페이스(판독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갱신(기록, 삭제, 저장 등)할 수 있고, 나머지 6개의 단자들이 휴대전화기의 회로에 연결되어 있어서 휴대전화기의 CPU를 통해서 각종 데이터의 갱신 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콤비카드 탈착식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각종 인증에 관한 정보,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 정보, 통장정보 등을 콤비카드의 메모리에 저장시킴으로써, 교통카드와 같은 비접촉 요금 결제나 신용카드로의 사용은 물론 계좌조회, 이체, 출금, 수표조회와 같은 전자통장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콤비카드 탈착식 휴대전화기는, 콤비칩의 저장 용량 한계로 인하여 그 운용상에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콤비칩은 그 메모리의 용량이 16k byte이고 이런 작은 메모리에 스마트카드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신용카드정보, 교통요금결제정보, 통장정보, 로열티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콤비카드에 다른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스마트카드를 이동통신단말에 적용시킨 다른 예로는, 2개의 단자를 가진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와 RF 안테나를 내장하여 RF 통신에 의해 교통요금 등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6개의 단자를 가진 접촉식 스마트카드를 휴대전화기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신용카드기능, 전자통장기능 및 로열티 관리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한 휴대전화기가 있다.
이와 같은 비접촉식-접촉식 스마트카드 적용 휴대전화기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의 저장용량(128k byte)이 전술한 콤비카드 탈착식 휴대전화기의 콤비카드 저장용량(16k byt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이렇게 저장용량이 큰 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의해 신용카드기능, 전자통장기능 및 로열티 관리기능 등을 실행하게 되므로,전술한 바와 같은 콤비카드의 낮은 저장용량으로 인한 문제는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비접촉식-접촉식 스마트카드 적용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비접촉식 스마트카드가 휴대전화기와 전혀 교류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이동통신을 통해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의 기능을 전혀 제어할 수 없어 고객관리를 RF 판독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카드가 적용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에 콤비칩과 RF 안테나를 일체로 실장함과 아울러 접촉식 스마트카드를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콤비칩에 의한 각종 비접촉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의해 접촉식 기능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통신단말인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통신단말의 사시도,
도3은 일반적인 콤비카드의 단자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휴대전화기)
2: 컨트롤러(CPU) 3: 키입력부
4: 모니터(LCD) 5: 메모리
6: 통신부 7: 오디오부
8: 전원부 10: 콤비칩
20: RF 안테나 30: 스마트카드
40: 카드장착슬롯 41: 카드장착킷
본 고안에 따라,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콤비칩, RF 안테나 및 접촉식 스마트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콤비칩은, 이동통신단말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되고 이동통신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교통요금결제와 같은 비접촉식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RF 안테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콤비칩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콤비칩의 비접촉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식 스마트카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통신을 통해 전자통장기능과 같은 접촉식 기능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콤비칩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회로에 표면 실장되고, 상기 RF 안테나는 배터리에 내장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통신단말인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통신단말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 예, 휴대전화기, 이하 휴대전화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의 기본구성에,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인 콤비칩(10), RF 안테나(20) 및 접촉식 스마트카드(30)가 포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1)는, 널이 알려진 통상적인 휴대전화기와 마찬가지로, 그 이동통신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CPU: 2), 각종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3),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4, 예 LCD),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와 듀플렉서 등을 구비한 통신부(6),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오디오부(7),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키입력부(3)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고, 모니터(4)를 통해 관련 정보를 모니터하며, 메모리(5)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 및 삭제하고, 통신부(6)를 통해 이동통신을 실행하며, 이런 모든 작동은 컨트롤러(2)에 의해 제어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콤비칩(10)은, 널리 알려진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 표면 실장 기술, 예 TSSOP, BALL, PLCC 등)에 의해 휴대전화기(1)의 회로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콤비칩(10)은 하나의 표면실장부품(SMD: Surface Mounted Device)으로 팩키지 되어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콤비칩(10)의 단자는 총 8개인바, 그중 RF 안테나(20)가 접속되는 2개의 안테나단자(예, C4, C8)를 제외하고 나머지 6개의 단자가 이동통신단말(1)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RF 안테나(20)는, RF 판독기(R)에의 접근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콤비칩(10)과 판독기(R: 예, 요금징수기)의 사이에 교통요금과 같은 요금 결제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반적인 RF 안테나이다. 상기 RF 안테나(20)는 이동통신단말(1)에 연결되지 아니한 콤비칩(10)의 2개의 단자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RF 안테나(20)는 휴대전화기(1)에 적용된 전자파차단작용을 최소로 받을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배터리(9)에 내장된다.
이상과 같이 콤비칩(10)과 RF 안테나(20)가 휴대전화기(1)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고 콤비칩(10)의 단자가 휴대전화기(1)의 회로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RF 안테나(20)를 통한 콤비칩(10)의 비접촉식 기능(예, 교통요금과 같은 요금 결제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는 휴대전화기(1)의 메뉴 조작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휴대전화기(1)의 컨트롤러(2)는, 휴대전화기(1)의 고유기능인 이동통신에 관련된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키입력부(3), 모니터(4), 메모리(5) 및 통신부(6) 등을 이용하여 콤비칩(10)의 비접촉 기능도 필요한 범위 내에서 모니터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전화기(1)의 키입력부(3)를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4)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를 통해 상기 콤비칩(10)을 제어하면, ID 발급, 갱신, 삭제, 사용요금 조회, 후불 또는 선불 결제의 선택 등, 콤비칩(10)에 의한 비접촉식 기능(예, 각종 요금 결제 기능)을 실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각종 작동을 실행하고 모니터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콤비칩(10)의 비접촉식 사용에 관련하여, 콤비칩(10)의 비접촉식 기능(예, 요금결제)을 관리하는 서버(예, 이동통신업자 또는 금융회사)와 콤비칩(10) 사이에서는, 이동통신단말(1)의 이동통신을 통해 관련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상기 콤비칩(10)과 같이 휴대전화기(1)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휴대전화기(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이다. 이를 위해, 휴대전화기(1)의 일측에는 카드장착슬롯(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상기 카드장착슬롯(40)에 장착됨으로써 휴대전화기에 접속된다.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바로 카드장착슬롯(40)에 장착할 수도 있지만, 카드장착킷(41)에 접촉식 스마트카드(10)를 장착하여 이를 카드장착슬롯(40)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할 수도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6개의 핀을 가지도록 표준화되어 있는바, 상기 카드장착슬롯(40)에 접촉식 스마트카드(30)를 장착하면, 접촉식 스마트카드(10)의 단자들은 휴대전화기(1)에 마련된 대응 단자들에 접속되며, 이로써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휴대전화기(1)의 제어 하에서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30)의 기능은, 이미 개발된 통상적인 접촉식 스마트카드들이 가지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러 신용카드기능, 전자통장기능, 로열티정보 관리기능 등이다. 즉, 접촉식 스마트카드(30)는 그 접촉식 기능을 관리하는 서버와 이동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접촉식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송수신함으로써 해당 접촉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로서 휴대전화기를 적용한 예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휴대전화기와 그 용도만 다를 뿐 무선인터넷통신이 가능하고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PDA 등을 포함한 다른 이동통신단말에도 본 고안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의 회로에 실장된 콤비칩(10)과 RF 안테나(20)에 의해 비접촉식 요금결제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용량을 차지하는 비접촉식 기능이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실현되는 한편,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30)에 의해 접촉식의 신용카드기능, 전자통장기능 및 로열티관리기능과 같은 상대적으로 많은 메모리 용량을 차지하는 접촉식 기능이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을 통해 실현되게 되므로, 콤비카드만을 사용함에 따른 메모리용량 부족문제와 이동통신단말에 실장되지 않은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사용함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단말(1)에 일체로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제어되고 이동통신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비접촉식 기능을 실행하는 콤비칩(10);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설치되고 상기 콤비칩(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콤비칩(10)의 비접촉식 기능이 실행되게 하는 RF 안테나(20);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선택적으로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로 이동통신을 통해 접촉식 기능을 실행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2003-0036376U 2003-11-21 2003-11-21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0342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76U KR200342777Y1 (ko) 2003-11-21 2003-11-21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76U KR200342777Y1 (ko) 2003-11-21 2003-11-21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77Y1 true KR200342777Y1 (ko) 2004-02-18

Family

ID=4942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376U KR200342777Y1 (ko) 2003-11-21 2003-11-21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7394C1 (ru) Двойная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ых карточек на интегральных схемах (uicc)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TWI504229B (zh) 支援電子錢包功能之行動裝置
WO2002103923A1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smartcard which non-contact interface is transferred into break contact point
KR100761252B1 (ko) 이동통신단말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장치
CN105512716A (zh) 一种多功能ic卡
KR20070027156A (ko) 스마트카드와 유에스비 스마트카드판독칩이 구비된유에스비 메모리
KR100476157B1 (ko) 사용제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카드
KR100318046B1 (ko) 알에프(rf) 안테나를 내장한 핸드폰
CN205354084U (zh) 一种多功能ic卡
KR200342777Y1 (ko)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100480516B1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스마트카드 모듈
KR20020084043A (ko)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KR100711238B1 (ko) 다수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100470284B1 (ko)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352457Y1 (ko) 다수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0303569Y1 (ko)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KR20060102941A (ko) 전자화폐의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040015830A (ko) 듀얼 타입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배터리팩
KR100691381B1 (ko) 접촉식 스마트칩의 비접촉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
KR200369997Y1 (ko) 접촉식 스마트칩의 비접촉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
KR100570518B1 (ko) 알에프 판독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0179192Y1 (ko) 비접촉식 전자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기
KR200196515Y1 (ko) 비접촉식 전자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기의 전자 칩 사용제한장치
KR200342943Y1 (ko) 스마트카드 판독용 더미단말기
KR200363810Y1 (ko) 스마트칩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