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509Y1 - In-line skates - Google Patents

In-line sk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509Y1
KR200341509Y1 KR20-2003-0034747U KR20030034747U KR200341509Y1 KR 200341509 Y1 KR200341509 Y1 KR 200341509Y1 KR 20030034747 U KR20030034747 U KR 20030034747U KR 200341509 Y1 KR200341509 Y1 KR 20034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eel
shoe mounting
leg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7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식
Original Assignee
장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식 filed Critical 장재식
Priority to KR20-2003-0034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5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50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6Roller skates adjustable in length to fit the siz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2017/005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oot plate quick release or shoe b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이한 사이즈의 신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신발에 대해 종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장착부와; 상기 신발 장착부의 하부에 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과; 상기 신발 장착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다리에 상기 신발 장착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정형화된 사이즈의 부츠가 구비되지 않고, 한 대를 사용하여 신발을 신고 있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탄력적인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활용성이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the shoe moun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oe so that shoes of different sizes are located and fixed; At least one wheel axi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hoe mou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e mounting par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that allows the shoe mounting part to be detachable on the wearer's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boot of a standardized size is not provided, and one unit is used. In order to be able to enjoy inline skating by attaching it to everyone of men and women wearing shoes,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mount to shoes of various sizes, thereby obtaining an inline skate having increased utility.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s}In-line skates {In-line skat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대를 사용하여 신발을 신고 있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탄력적인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활용성이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line skating,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ounted on shoes of all ages, which can be worn by men and women of all ages. It is about increasing inline skating.

근간에 들어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개인의 건강과 체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 중에 근래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가 있다.In recent years, as people's awareness of health increases, various exercises are being carried out to increase the health and fitness of individuals, and inline skating is one of the most recent movements.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는 부츠 형태의 신발이 있으며, 부츠 형태의 신발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해 회전을 하는 다수개의 휠이 구비되어 있어 착용자의 발에 부츠를 착용시킨 후 포장된 도로에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게 된다.In-line skates have boots in the form of boots that fit the size of the wearer's foot, and the lower part of the boots has a number of wheels that rotate about the ground. I'm skating.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자 자신의 발 크기에 맞도록 정형화된 사이즈의 부츠가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해서 탔기 때문에, 자신 이외의 사람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없으며, 어린이와 같이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짧은 기간 만 이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purchased and rode inline skates equipped with boots of a size standardized to fit the size of the wearer's own foot, no person other than himself can ride inline skates, At the time of rapid developmen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utility is poor because it can be used only for a short period.

또한, 그 부츠 부분 및 휠 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서 보관이나 이동시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츠 부분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oot portion and the wheel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forms a right angle so that the overall volume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space when storing or mov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boot portion is complica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형화된 사이즈의 부츠가 구비되지 않고, 한 대를 사용하여 신발을 신고 있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탄력적인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활용성이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not equipped with boots of the standard size, can be worn by anyone and everyone wearing shoes using one to enjoy inline skating In order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shoes of various siz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line skate that has increased utility.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휠 부분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발목지지 부분이 접혀지거나 회동하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line skate to improve the convenience by reducing the volume during storage or movement by folding or rotating the ankle support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wheel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휠 부분과 신발장착 부분의 사이에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다리로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line skate to reduc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user's leg by plac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between the wheel portion and the shoe mounting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휠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휠을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평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line skate that can improve the sense of equilibrium of the user by using a single wheel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wheel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시도 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신발 장착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이며,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hoe mounting portion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장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및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신발이 장착되는 신발 장착부의 작동 상태도 이며,3a, 3b and 4a, 4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hoe mounting unit is mounted on the shoe in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접촉바가 접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이고,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bar is folded in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 착용 상태도 이며,6 is a wearing state wearing the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가 하나의 휠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이다.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inline skate has one whe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 ; 신발 장착부 14 ; 휠12; Shoe mount 14; Wheel

16 ; 탈부착부 18 ; 앞꿈치 수용부16; Removable part 18; Heel receptacle

20 ; 뒷꿈치 수용부 22 ; 제 1 수평판체20; Heel receptacle 22; 1st horizontal plate body

24 ; 제 2 수평판체 26 ; 피니언24;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26; Pinion

32 ; 접촉바 34 ; 홀더32; Contact bar 34; holder

36 ; 힌지36; Hing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는 상이한 사이즈의 신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신발에 대해 종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장착부와; 상기 신발 장착부의 하부에 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과; 상기 신발 장착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다리에 상기 신발 장착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발 장착부는 상기 신발의 앞꿈치가 수용되는 앞꿈치 수용부와, 상기 앞꿈치 수용부에서 상기 뒷꿈치 수용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판체와, 상기 제 1 수평판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레크와, 상기 신발의 뒷꿈치를 수용하는 뒷꿈치 수용부와, 상기 뒷꿈치 수용부에서 상기 앞꿈치 수용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평판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수평판체와, 상기 제 1 레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수평판체에 형성되는 제 2 레크와, 상기 제 1 레크 및 제 2 레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앞꿈치 수용부와 뒷꿈치 수용부가 연동하여 작동하게 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oe moun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oe so that shoes of different sizes are located and fixed; At least one wheel axi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hoe mount; Preferably, the shoe mounting par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hoe mounting part to the wearer's leg, wherein the shoe mounting part includes a front heel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heel of the shoe, and the heel receiving part in the front heel receiving part. A first horizontal plate body extending toward the side, a first leg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a hee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heel of the shoe, and a side of the heel receiving portion from the heel receiving portion A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which extends and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a second leg formed o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to face the first leg, and the first and second legs It is preferred that the pin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heel and the heel receiving unit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휠은 1개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신발 장착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다리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의 타단에 구비되어 다리를 감싸도록 마련된 홀더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바는 절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발 장착부와 상기 휠의 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정형화된 사이즈의 부츠가 구비되지 않고, 한 대를 사용하여 신발을 신고 있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탄력적인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활용성이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may be composed of one, the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tact bar provid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oe moun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g,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is provided to surround the leg, the contact bar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foldable, it is preferable that a buffer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hoe mounting portion and the wheel,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pany, there is no standardized size of boots, and it can be mounted on shoes of all ages for everyone to enjoy inline skating. There is an effect of getting increased inline skating.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of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0)는 상이한 사이즈의 신발이 위치할 경우 이들이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신발에 대해 종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장착부(12)가 있으며, 신발 장착부(12)의 하부에는 신발 장착부(12)에 축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14)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a, in-line sk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mounting portion 12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oes so that they are elastically fixed when shoes of different sizes are located There is, at the bottom of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heel 14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to rotate about the ground.

그리고, 신발 장착부(12)에는 착용자의 무릎부분 또는 그 이하부분 까지 밀착되는 상태로 세워져 무릎 근방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탈부착부(16)가 있다.In addition,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has a detachable portion 16 that is coupled to cover the vicinity of the knee to st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 of the wearer's knee or less.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100)는 종래와 같이 어느 한 사람의 착용자에게 맞는 부츠 등이 배제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신발을 신고 있는 모든 사람의 신발이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인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른 사이즈의 신발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신발 장착부(12)와 착용자의 무릎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탈부착부(16)에 의해 실현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line sk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orm that excludes boots suitable for any one wearer as in the prior art, the form that can be worn and used by the shoes of everyone who wears the shoes, this In order to realize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for elastically fixing the shoes of different sizes and the detachable portion 16 coupled to surround the wearer's knee is realized.

신발 장착부(12)의 구성을 보면, 신발의 앞꿈치가 수용되는 형태의 앞꿈치 수용부(18)와 뒷꿈치 부분을 감싸듯이 수용하는 뒷꿈치 수용부(20)가 있는데, 이들의 사이에 신발이 위치하여 고정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there is a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18 of the shape in which the heel of the shoe is accommodated and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to receive as if wrapped around the heel portion, the shoe is located between them fixed do.

상기 앞꿈치 수용부(18)에는 뒷꿈치 수용부(2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판체(22)가 있는데, 이 제 1 수평판체(22)의 배면에는 제 1 레크(22a)가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18 has a first horizontal plate body 22 that extends toward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A first leg 22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22. have.

그리고, 상기 뒷꿈치 수용부(20)에는 앞꿈치 수용부(18) 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평판체(2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수평판체(24)가 있으며, 제 1 수평판체(22)와 마주보는 제 2 수평판체(24)의 대향면에는 제 2 레크(24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24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18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22. The 2nd leg 24a is formed i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2nd horizontal board body 24 facing 22. As shown in FIG.

또한, 마주보고 있는 제 1 레크(22a) 및 제 2 레크(24a)의 사이에는 피니언(26)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피니언(26)에 의해 앞꿈치 수용부(18)와 뒷꿈치 수용부(20)는 도 3a, 도 3b 및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In addition, a pinion 2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s 22a and 24a facing each other. The pinion 26 allows the front heel accommodating portion 18 and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to be provided. 3a, 3b and 4a, as shown in Figure 4b is moved in conjunction.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발을 앞꿈치 수용부(18)와 뒷꿈치 수용부(2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앞꿈치 수용부(18)를 신발의 앞꿈치 쪽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이와 동시에 뒷꿈치 수용부(20) 역시 신발의 뒷꿈치 쪽으로 밀착하여 신발이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A and 4B, when the wearer's shoes are positioned between the heel receiving unit 18 and the heel receiving unit 20, the front heel receiving unit 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shoe. At the same time,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shoe is the shoe is fixed.

한편, 탈부착부(16)는 전술한 신발 장착부(12)에 의해 신발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무릎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한번 더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것인데, 구성을 보면 신발 장착부(12)에 일단이 연결되어 다리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접촉바(32)가 있으며, 접촉바(32)의 타단에는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도록 마련된 홀더(34)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portion 16 is to function to fix once more in the form of wrapping the knee portion of the wearer in the state of fixing the shoe by the above-described shoe mounting portion 12, in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ar 32 is provided to contact the leg,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bar 32 is composed of a holder 34 provided to surround the wearer's leg.

탈부착부(16)는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무릎 안쪽 또는 바깥쪽의 한쪽에 접촉되도록 한 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릎의 안쪽 및 바깥쪽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 쌍의 형태가 구비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Detachable portion 16 may be provided with one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wearer's knee, if necessary, a pair of each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kne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form is provided.

그리고, 접촉바(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하도록 중간부분에 힌지(36) 결합이 이루어져 있는데, 인라인 스케이트(100)를 사용할 경우 접촉바(32)를 구성하는 상부바(32a)를 펼쳐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힌지(36)를 중심으로 상부바(32a)를 접으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접혀진 상부바(32a)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And, the contact bar 32 is hinged 36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to be foldable, as shown in Figure 5, when using the inline skate 100, the upper bar 32a constituting the contact bar 32 ), And when not in use, the upper bar 32a is folded around the hinge 36, so that the portable bar is easily folded by the folded upper bar 32a.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장착부(12)와 휠(14)의 사이에 절곡된 판체 형태의 스프링(미도시)을 배치볼 수 있는데, 이 스프링(미도시)은 완충을 위해 구비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spring (not shown) that is bent between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and the wheel 14 may be disposed, and this sp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cushioning. will be.

한편, 도 2b를 보면 신발이 장착되는 신발 장착부(1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B,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e mounting unit 12 on which the shoes are mounted is shown.

이 경우 신발의 앞꿈치가 수용되는 앞꿈치 수용부(18)에는 뒷꿈치 수용부(2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판체(122)가 있는데, 제 1 수평판체(122)의 좌우측에는 제 1 수평판체(122)를 보강함과 더불어 길이 조절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판(1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판(122')에는 길이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결합홀(122a)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first horizontal plate body 122 extending toward the heel receiving unit 20 in the front heel receiving unit 18 in which the heel of the shoe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o reinforcing the flat body 122, a guide plate 122 'is provided for guiding the length adjustment, and the guide plate 122'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122a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그리고, 신발의 뒷꿈치가 수용되는 뒷꿈치 수용부(20)에는 앞꿈치 수용부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수평판체(124)가 구비되어 있는데, 제 2 수평판체(124)는 제 1 수평판체(122)의 가이드 판(122')이 삽입되는 형태로 수용되도록 상하에 걸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el receiving portion 20 in which the heel of the shoe is accommodated is provided with a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124 extending toward 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124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late body ( The guide plate 122 'of 122) is provided in a pair extending up and down to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ed form.

이렇게 구비된 제 2 수평판체(124)에는 삽입된 가이드 판(122')을 고정하기 위해 제 2 결합홀(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판(122')의 제 1 결합홀(122a)과 제 2 결합홀(124a)을 일치시킨 후 볼트(126)를 사용하여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발 장착부(12)에 위치한 신발은 고정된다.A second coupling hole 124a is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124 provided to fix the inserted guide plate 122 ',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22a of the guide plate 122' is provided. After matching the second coupling hole 124a with the bolt 126 is coupled, thereby fixing the shoe located in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0)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inline sk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착용자는 도 6와 같이 신발 장착부(12)에 신발(200)을 위치시킨 후 앞꿈치 수용부(18) 또는 뒷꿈치 수용부(20)를 작동시켜 신발(200)의 앞꿈치 및 뒷꿈치에 밀착시켜 신발(200)을 고정시킨다.First, the wearer places the shoe 200 in the shoe mounting part 12 as shown in FIG. 6, and then operates the front heel receiving part 18 or the heel receiving part 20 to closely contact the front heel and the heel of the shoe 200. 200).

이후, 착용자는 접촉바(32)에 구비된 홀더(34)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무릎(400) 또는 발목의 윗부분을 감싸 접촉바(32)가 착용자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Then, the wearer wraps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er's knee 400 or ankle using the holder 34 provided in the contact bar 32 so that the contact bar 32 is firmly fixed to the wearer.

만약, 운동을 끝낸 후 인라인 스케이트(100)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라면 무릎부분(400)에서 접촉바(32)의 결합을 분리시킨 후 신발(200)을 밀착하고 있는 앞꿈치 수용부(18) 또는 뒷꿈치 수용부(20)를 작동시켜 신발(200)의 앞꿈치와 뒷꿈치에서 이격시키면 손쉽게 신발(20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If you want to carry the in-line skate 100 after the end of the exercise, after separating the contact bar 32 from the knee portion 400, 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18 or the heel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e 200 By operating the receiving portion 20 to be separated from the heel and heel of the shoe 200, the sho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0)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신발 장착부(12)에 축 결합된 휠(14)을 한 개가 구비되도록 마련한 것으로, 이와 같이 휠(14)이 한 개가 구비될 경우 이를 착용한 사용자는 평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 큰 스릴을 느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line sk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one wheel 14 is coupled to the shoe mounting portion 12, the wheel 14, as described above If one is provided, the user wearing it can improve the sense of equilibrium and feel a greater thrill.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정형화된 사이즈의 부츠가 구비되지 않고, 한 대를 사용하여 신발을 신고 있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탄력적인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활용성이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ots of the standard size are not provided, and it is possible to be elastically attached to shoes of various sizes so that everyone can enjoy in-line skating by attaching it to everyone of men and women wearing shoes using on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inline skates, which increases usability.

또한, 휠 부분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발목지지 부분이 접혀지거나 회동하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nkle support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wheel portion is folded or rotated to reduce the volume during storage or movemen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휠 부분과 신발장착 부분의 사이에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다리로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다수의 휠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휠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평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between the wheel portion and the shoe mounting portion to reduc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user's leg, when using a single wheel without using multiple wheel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sense of balance.

Claims (6)

상이한 사이즈의 신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신발에 대해 종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장착부와;A shoe moun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oe so that shoes of different sizes are positioned and fixed; 상기 신발 장착부의 하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과;At least one wheel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mounting unit and rotates; 상기 신발 장착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다리에 상기 신발 장착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hoe mounting portion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on the wearer's leg detach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발 장착부는 상기 신발의 앞꿈치가 수용되는 앞꿈치 수용부와, 상기 앞꿈치 수용부에서 상기 뒷꿈치 수용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판체와, 상기 제 1 수평판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레크와, 상기 신발의 뒷꿈치를 수용하는 뒷꿈치 수용부와, 상기 뒷꿈치 수용부에서 상기 앞꿈치 수용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평판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수평판체와, 상기 제 1 레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수평판체에 형성되는 제 2 레크와, 상기 제 1 레크 및 제 2 레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앞꿈치 수용부와 뒷꿈치 수용부가 연동하여 작동하게 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sho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heel of the shoe, a first horizontal plate body extending from 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to the heel receiving portion, and a first leg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And a heel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heel of the shoe, a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extending from the heel receiving portion toward the front heel receiving por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late body, and the first leg and A second pin formed o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body facing each other, and a pin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s so that the front heel accommodating part and the heel accommodating part interlock with each other. Roller skat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휠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one whe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신발 장착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다리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의 타단에 구비되어 다리를 감싸도록 마련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detachable part of the 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o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eg, and the holder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bar to surround the le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접촉바는 절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bar is provided to be folded.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신발 장착부와 상기 휠의 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hoe mounting portion and the wheel.
KR20-2003-0034747U 2003-11-06 2003-11-06 In-line skates KR2003415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47U KR200341509Y1 (en) 2003-11-06 2003-11-06 In-line sk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47U KR200341509Y1 (en) 2003-11-06 2003-11-06 In-line sk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509Y1 true KR200341509Y1 (en) 2004-02-11

Family

ID=4942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47U KR200341509Y1 (en) 2003-11-06 2003-11-06 In-line sk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50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698B2 (en) Multifunctional shoe
US7341261B2 (en) Skate
US6162150A (en) Foot massaging exercising apparatus
KR200390119Y1 (en) Inline skate which serves as a skate board
ATE301406T1 (en) SPORTS SHOE WITH IMPROVED FLEXIBILITY
JP3215113U (en) Lifting type inline skate shoes
US6631911B2 (en) Combined structure of a sports shoe and an in-line skate
KR200341509Y1 (en) In-line skates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US9320314B2 (en) Sports footwear provided with an adjustable rear spoiler
US5979939A (en) Accessory for in-line skates
KR101464291B1 (en)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KR101149477B1 (en)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KR200280496Y1 (en) health foodwear
CN110089800A (en) It is bonded pull up shoe assembly and the tension shoes of foot type
CN209952114U (en) Human back group muscle strength training device
US20100248914A1 (en) Exercising Device
KR200325200Y1 (en) Heeling shoes
KR101837429B1 (en) Transformable Skating Leisure Sports Goods
KR101837426B1 (en) Two-in-one roller board
KR200362045Y1 (en) Sports shoes for leg exercises
KR101837432B1 (en) Roller skates and skateboard switching Sporting goods
GB2380685A (en) Multifunction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CA2362407A1 (en) Adjustable inline skate mechanism
KR200378791Y1 (en) A Multi-functioning set-up Inline 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