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823Y1 - 안약 주입기 - Google Patents

안약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823Y1
KR200340823Y1 KR20-2003-0035516U KR20030035516U KR200340823Y1 KR 200340823 Y1 KR200340823 Y1 KR 200340823Y1 KR 20030035516 U KR20030035516 U KR 20030035516U KR 200340823 Y1 KR200340823 Y1 KR 200340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eye drop
container
hinge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찬
Original Assignee
안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인찬 filed Critical 안인찬
Priority to KR20-2003-0035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약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용기가 적절히 안착되면서 눈꺼풀을 벌일 때 발생하는 통증이 완화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안약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선단으로 눈꺼풀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밀착부재를 갖고 후단으로 파지부재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상태로 힌지결합된 한 쌍의 힌지부재로 구성되어 눈꺼풀을 벌린 상태에서 안약이 수용된 안약용기를 눌러 눈에 안약을 주입하는 안약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가 양측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약용기의 용기캡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경사진 테이퍼링이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전방으로 상기 힌지부재에 상호 대응되도록 볼록한 가압판이 부착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둘레로 스펀지 재질의 덮개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부재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기 힌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안약 주입기를 제공함으로써, 안약의 주입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사용이 보다 간편해지며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약 주입기{A eye-lotion dropper}
본 고안은 안약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용기가 적절히안착되면서 눈꺼풀을 벌일 때 발생하는 통증이 완화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안약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약은 깔때기 형상의 용기캡을 갖는 안약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눈을 뜬 상태에서 고개를 젖히고 안약용기를 눌러 용기캡을 통해 안약이 낙하하여 눈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안약용기는 안약의 낙하와 함께 사용자의 눈이 본능적으로 감기게 됨으로써,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약이 눈에 낙하될 때 눈꺼풀이 고정되도록 하는 다양한 기구들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눈꺼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는 안약을 눈에 주입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므로, 안약 주입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눈꺼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기구는 안약용기가 적절히 안착되지 않고 눈꺼풀을 벌일 때 통증을 유발하는 등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기구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고, 이 기구를 사용하여 안약을 주입하더라도 안약이 용기캡에서 눈으로 갑자기 낙하함으로 사용자가 눈꺼풀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본능적으로 눈을 감게 되고, 그에 따라 안약이 눈에 적절히 주입되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어 주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약용기가 적절히 안착되면서 눈꺼풀을 벌일 때 발생하는 통증이 완화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약을 눈으로 유도하여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가 방지되면서 눈에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선단으로 눈꺼풀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밀착부재를 갖고 후단으로 파지부재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상태로 힌지결합된 한 쌍의 힌지부재로 구성되어 눈꺼풀을 벌린 상태에서 안약이 수용된 안약용기를 눌러 눈에 안약을 주입하는 안약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가 양측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약용기의 용기캡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경사진 테이퍼링이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전방으로 상기 힌지부재에 상호 대응되도록 볼록한 가압판이 부착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둘레로 스펀지 재질의 덮개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부재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기 힌지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퍼링의 선단으로 억지끼움되는 깔때기가 구비되고, 눈의 상부로 안약을 유도하도록 상기 깔때기의 하단에 유도관이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관의 끝단에 눈의 상부를 따라 라운드진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전면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착부재
11 : 덮개
20 : 파지부재 30 : 힌지부재 40 : 테이퍼링
50 : 가압판 60 : 탄성부재
70 : 깔때기
71 : 유도관 72 : 배출관 73 : 배출공
2 : 안약용기 3 : 용기캡 4 : 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안약 주입기는 선단으로 밀착부재(10)를 갖고 후단으로 파지부재(20)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한 쌍의 힌지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재(30)가 양 내측으로 힌지결합되는 테이퍼링(40)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볼록한 가압판(50)이 부착되고, 상기 힌지부재(30)의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10)는 스펀지 재질의 덮개(11)가 둘레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눈꺼풀에 밀착된 상태로 힌지부재(3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눈꺼풀을 벌여 눈이 떠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2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힌지부재(30)를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힌지부재(30)는 파지부재(20)를 사용자가 누르면 힌지결합 부위를 축으로 하여 밀착부재(10)가 벌어지도록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퍼링(40)은 힌지부재(30)가 힌지결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안약용기가 억지끼움되어 적절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힌지부재(30)에 부착된 가압판(50)은 상호 대응되게 볼록한 형태를 가져 상기 힌지부재(30)가 작동되면 안약용기를 눌려 안약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는 한 쌍의 힌지부재(30)의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힌지부재(30)가 사용자의 의해 눌린 후에 사용자가 누름을 풀면 원래의 상태로 적절히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약용기(2)를 힌지부재(30)의 내측으로 집어넣어 용기캡(3)이 테이퍼링(40)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면 상기 안약용기(2)가 상기 힌지부재(30)의 사이에 적절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안약용기(2)를 고정한 다음 눈꺼풀(4a)에 덮개(11)로 둘러싸인 밀착부재(미도시)를 밀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부재(미도시)를 누르면 힌지부재(30)가 힌지결합 부위를 축으로 오므려지면서 상기 안약용기(2)를 가압판(50)이 누르게 되어 안약이 용기캡(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부재(미도시)의 누름과 동시에 힌지부재(30)의 작동으로 눈꺼풀(4a)에 밀착된 밀착부재(미도시)가 벌어지면서 상기 눈꺼풀(4a)이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고, 그에 따라 눈(4)이 떠진 상태에서 안약이 적절히 낙하하여 상기눈(4)으로 주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30)의 사이에 부착된 탄성부재(60)가 파지부재(미도시)의 누름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을 중지하면 상기 탄성부재(60)가 회복되면서 상기 힌지부재(30)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안약 주입기는 선단으로 밀착부재(10)를 갖고 후단으로 파지부재(20)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한 쌍의 힌지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재(30)가 양 내측으로 힌지결합되는 테이퍼링(40)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볼록한 가압판(50)이 부착되고, 상기 힌지부재(30)의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링(40)의 선단으로 깔때기(70)가 끼워지고, 상기 깔때기(70)의 선단에 일체로 상향 굽힘된 유도관(71)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71)의 끝단에 눈을 따라 라운드진 배출관(7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72)의 전면으로 다수개의 배출공(73)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깔때기(70)는 안약용기에서 배출된 안약이 포집되어 유도관(71)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유도관(71)은 포집된 안약이 눈의 상부로 유도되도록 하여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72)은 유도관(71)에 의해 눈의 상부로 유도된 안약이눈의 상부를 따라 고르게 퍼지도록 한 후에 배출공(73)을 통해 배출되어 안약이 눈에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 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파지부재(미도시)를 눌러 힌지부재(30)의 후방이 눌리도록 하면 힌지결합된 부위를 축으로 하여 스펀지 재질의 덮개(11)로 둘러싸인 밀착부재(10)가 벌어지면서 눈꺼풀(4a)을 벌려 눈(4)이 떠지고, 이 상태에서 가압판(50)이 테이퍼링(40)에 고정된 안약용기(2)를 누르게 되어 안약이 용기캡(3)을 통해 안약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캡(3)을 통해 배출되는 안약은 곧바로 낙하하지 않고 깔때기(70)에서 모인 후에 유도관(71)을 통해 눈(4)의 상부로 유도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관(71)에 의해 눈(4)의 상부로 유도된 안약은 배출관(72)에서 눈(4)을 따라 수평으로 퍼진 후에 다수의 배출공(73)을 통해 눈(4)의 상부에 고르게 배출되어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가 방지되면서 안약의 고른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약용기가 적절히 안착되면서 눈꺼풀을 벌일 때 발생하는 통증이 완화되고 탄성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안약의 주입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사용이 보다 간편해지며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안약을 눈으로 유도하여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에 안약으로 낙하로 인해 눈을 감게 되어 안약이 적절히 주입되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안약의 불필요한 손실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안약의 갑작스런 낙하가 방지되면서 눈에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주입 불량이 적절히 방지되면서 안약의 고른 주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선단으로 눈꺼풀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밀착부재(10)를 갖고 후단으로 파지부재(20)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게 절곡된 상태로 힌지결합된 한 쌍의 힌지부재(30)로 구성되어 눈꺼풀을 벌린 상태에서 안약이 수용된 안약용기(2)를 눌러 눈에 안약을 주입하는 안약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0)가 양측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안약용기(2)의 용기캡(3)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경사진 테이퍼링(40)이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20)의 전방으로 상기 힌지부재(30)에 상호 대응되도록 볼록한 가압판(50)이 부착되며, 상기 밀착부재(10)의 둘레로 스펀지 재질의 덮개(11)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부재(30)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기 힌지부재(30)의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링(40)의 선단으로 억지끼움되는 깔때기(70)가 구비되고, 눈의 상부로 안약을 유도하도록 상기 깔때기(70)의 하단에 유도관(71)이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71)의 끝단에 눈의 상부를 따라 라운드진 배출관(72)이 일체로형성되고, 상기 배출관(72)의 전면으로 다수의 배출공(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주입기.
KR20-2003-0035516U 2003-11-13 2003-11-13 안약 주입기 KR200340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16U KR200340823Y1 (ko) 2003-11-13 2003-11-13 안약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16U KR200340823Y1 (ko) 2003-11-13 2003-11-13 안약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823Y1 true KR200340823Y1 (ko) 2004-02-05

Family

ID=4942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516U KR200340823Y1 (ko) 2003-11-13 2003-11-13 안약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8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56B1 (ko) * 2015-05-29 2015-12-18 김정민 점안액 투여장치
KR101714710B1 (ko) * 2015-09-17 2017-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봄샘 압출기
KR101957834B1 (ko) 2018-10-05 2019-03-19 주식회사 아이피아 나노패턴을 이용한 점안액의 응집력이 향상된 배출부를 갖는 점안액 용기
CN110329624A (zh) * 2019-08-14 2019-10-15 金东敏 定量挤压的胶水瓶
KR20200039532A (ko) 2019-03-07 2020-04-16 주식회사 아이피아 안약 또는 인공눈물의 투약이 편리한 나노패턴형 점안액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56B1 (ko) * 2015-05-29 2015-12-18 김정민 점안액 투여장치
KR101714710B1 (ko) * 2015-09-17 2017-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봄샘 압출기
KR101957834B1 (ko) 2018-10-05 2019-03-19 주식회사 아이피아 나노패턴을 이용한 점안액의 응집력이 향상된 배출부를 갖는 점안액 용기
KR20200039532A (ko) 2019-03-07 2020-04-16 주식회사 아이피아 안약 또는 인공눈물의 투약이 편리한 나노패턴형 점안액 용기
CN110329624A (zh) * 2019-08-14 2019-10-15 金东敏 定量挤压的胶水瓶
CN110329624B (zh) * 2019-08-14 2024-03-08 金东敏 定量挤压的胶水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3096A (en) Eyedrop dispenser with eyelid opening means
US4966582A (en) Injection site platform
US6595970B1 (en) Ophthalmic device for dispensing eyedrops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200340823Y1 (ko) 안약 주입기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1134235B1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US5242424A (en) Device for use in controlling intravenous drip
KR101245651B1 (ko) 점안 보조장치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KR101789278B1 (ko) 안약 투약기
US20190099117A1 (en) Finger cuff having vibration mechanism for use in performing a finger prick
CN214342899U (zh) 用于将隐形镜片附接至眼睛的便携式设备
US20060270998A1 (en) Device transforming the pain of a syringe needle into a tolerable feeling
EA019171B1 (ru) Адаптер для флаконов с физиологическими и подобными им растворами
JP7178873B2 (ja) 点眼用容器
JP201805752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KR200336277Y1 (ko) 안약투여 장치
JP3202973B2 (ja) 携帯用鼻洗浄器
KR101793930B1 (ko) 점안 보조장치
KR102325800B1 (ko) 치과용 주사기
KR20180039912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2385249B1 (ko) 결막도포용 접촉식 일회용 안약용기
KR20210046990A (ko) 안약 주입 장치
KR102300761B1 (ko) 안약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