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719Y1 -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 Google Patents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719Y1
KR200340719Y1 KR20-2003-0028651U KR20030028651U KR200340719Y1 KR 200340719 Y1 KR200340719 Y1 KR 200340719Y1 KR 20030028651 U KR20030028651 U KR 20030028651U KR 200340719 Y1 KR200340719 Y1 KR 200340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se body
fixing member
le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 연 이
Original Assignee
준아교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아교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준아교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8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719Y1/en
Priority to US10/754,503 priority patent/US20040173498A1/en
Priority to EP04001901A priority patent/EP14545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71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스스로의 모습을 비추어 보도록 하는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울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 본체 및 커버가 볼록 또는 오목 렌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볼록 거울 및 오목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irror that allows the user to reflect the appearance of themselves as needed, in particular, the case in which the mirror is mounte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ase body and the cov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or concave lens convex mirror And a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for use as a concave mirror.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1 렌즈부(14)로 이루어져,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10)와, 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2 렌즈부(24)로 이루어져, 개폐가능하도록 일측이 연결편(26)으로 이루어진 커버(20)와, 한 쌍이 서로 배면이 대응되도록 접합되어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거울(40)과, 상기 거울(40)이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30)로 이루어진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는 공간부(16)를 갖도록 결합편(18)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케이스 본체(10)의 공간부(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이루어져, 저면에는 결합편(18)과 대응되도록 결합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ncludes a case body 10 formed of a first lens part 1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second made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lens 20 is formed, the cover 20 made of a connecting piece 26 on one sid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a pair of mirrors 40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ar surface corresponds to each other and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0, and the In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made of a fixing member 30 to allow the mirror 40 to be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0, the coupling piece 18 is integrally formed to have a space 16 in the case body 10. Protruded and formed, the fixing member 30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be coupled to the space 16 of the case body 10, the coupling groove 32 on the bottom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iece 18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scription

다용도 휴대용 거울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스스로의 모습을 비추어 보도록 하는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거울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 본체 및 커버가 볼록 또는 오목 렌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볼록 거울 및 오목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irror that is easy to carry and allows the user to reflect their own appearance as needed. More specifically, the case in which the mirror is mounte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re convex or concave lenses.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formed in the shape of to be used as a convex mirror and a concave mirror as needed.

일반적으로, 휴대용 거울은 주로 여성들이 화장을 고칠 때 본인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대하기 용이한 크기의 케이스에 거울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우이며, 필요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커버 내측에 장착되기도 한다.In general, portable mirrors are most often used by attaching a mirror to a case of a size that is easy to carry, so that women can see their faces when they make-up. It may be mounted inside.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거울은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정 공간을 이루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을 지지하고, 케이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돌기를 통해 연결되어 개폐토록 하는 커버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Th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ase body having a rim protruding upwar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 mirror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a fixing member supporting the mirror and coupled to the case body, and one side of the case body. It is usually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that is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to open and close.

그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거울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통상의 평면 거울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인의 모습을 비춰 볼 수 있는 범위는 일정하게 한정되므로 거울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so as to be easy to carry, and since only a normal flat mirror is installed, the range of the user's view of the user is constantly limited, so that the mirro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상기한 문제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먼저, 사용자가 본인 얼굴의 전체를비춰 보려고 할 때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거울은 그 크기가 한정된 평면 거울이므로 거울의 위치를 멀리하여야만 얼굴 전체가 거울에 비춰질 수 있으나 이 경우 멀리서 작게 반사되는 본인 전체의 모습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above problem is described in detail, first, when a user attempts to see the whole face of the user, th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flat mirror whose size is limited, so the entire face may be reflected on the mirror only when the mirror is located away from the mirro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nfirmed in detail the entire reflection of the small reflection from afar.

또한, 사용자가 눈이나 입술 등의 부위에 화장을 할 때는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를 크게 비춰서 세밀한 화장을 하기 위해 거울을 얼굴 가까운 곳으로 배치하여야 하므로 국부적인 화장을 행하면서 얼굴 전체와의 조화를 보기 위해서는 연속적으로 거울을 멀리, 그리고 가까이 이동시키면서 화장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user puts on makeup on the eyes or lips, the mirror should be placed near the face to make a detailed makeup by illuminating the area to be put on. In order to continuously move the mirror far and ne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keup should be performed.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거울에서 발생되는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출원[20-2003-6505]이 되어 있는 바,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14)를 통해 연결되어 개폐를 이루는 커버(1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거울(140)과, 상기 거울(140)의 테두리에 씌워져 케이스 본체(110)와 거울(140)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부재(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utility model applicatio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20-2003-6505]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 caused by the conventional portable mirror.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pplication is shown in FIG. , A case body 110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over 120 connected to and opened through a coupling protrusion 114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110. The mirror 140 and the fixing member 130 which is covered with the edge of the mirror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case body 110 and the mirror 140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턱부(112)의 내벽에 한 쌍의 삽입홀부(116)가 형성되는 바, 상기 삽입홀부(116)는 턱부(11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부(118)가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130)의 일측이 삽입홀부(116)를 통해 끼워진 후에 가이드 홈부(118) 측으로회전되면서 거울(140)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ase main body 110 has a pair of insertion holes 116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jaw portion 112, and the insertion hole portions 116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jaw portion 112, Since the guide groove 118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13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6 and then rotated toward the guide groove 118 to allow the mirror 140 to be mounted.

상기 고정부재(130)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재질로써,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거울(140)의 테두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내벽에 둘레 방향으로 홈부(132)가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에 다수 개의 안착돌기(136)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부(116)를 통해 케이스 본체(110)에 끼워진 후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착돌기(136)가 가이드 홈부(118)에 위치되면서 고정부재(130)와 거울(140)이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한다.The fixing member 130 is an elastic material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groove 132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o as to be covered with the edge of the mirror 14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136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body 1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6 and then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the seating protrusion 136 is positioned in the guide groove 118 while the fixing member 130 is disposed. And the mirror 140 to be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10.

그러나 상기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고정부재(130)의 일측이 삽입홀부(116)를 통해 끼워진 후에, 가이드 홈부(118) 측으로 회전되면서 거울(140)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나, 실제 조립 과정에서는 케이스 본체(110)에 고정부재(130)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However,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13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6 in the case body 110, so that the mounting of the mirror 140 is made while rotating toward the guide groove 118 side. However, in the actual assembly process, the fixing member 130 is not properly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즉, 고정부재(1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재질로써 케이스 본체(110)의 삽입홀부(116)에 끼워진 후 가이드 홈부(118)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다.That is, the fixing member 130 is an elast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and is often displaced when the fixing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6 of the case body 110 and rotated toward the guide groove 118.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고정부재(130)가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경은 홈부(118)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130)를 회전시킬 경우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부재(130)는 변형되거나, 변형되어 유리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런 이유로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경을 작게 형성시킬 경우, 케이스 본체(110)와 고정부재(130)간에 틈이 발생하여 약간의 흔들림에도 소리가 나서 불량처리 되는 등, 수납케이스에 고정부재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fixing member 130 to be airtightly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member 130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118, and thus, the fixing member 130. The rotating member is deformed or deformed due to the force applied when rotating the glass, such as a problem that the glass is released. For this reason,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member 130 is made small, the case body (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ixing member is not properly coupled to the storage case, such as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110 and the fixing member 130 and the sound is processed poorly even with slight shaking.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를 링형태로 저면에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케이스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를 갖는 결합편을 일체로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 결합편에 고정부재의 결합홈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거울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개선된 다용도 휴대용 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forming a coupling groove in the bottom surface in the form of a ring member, and by integrally protruding the coupling piece having a space in the case body,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is easily coupled to the case body coupling piec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by forming a locking ja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o prevent the mirror from being separated. .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휴대용 거울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도 2는 종래의 다용도 휴대용 거울이 도시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을 타나태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 본체 12 : 제 1 턱부10: case body 12: first jaw portion

14 : 제 1 렌즈부 16 : 공간부14: first lens portion 16: space portion

18 : 결합편 20 : 커버18: bonding piece 20: cover

22 : 제 2 턱부 24 : 제 2 렌즈부22: second jaw portion 24: second lens portion

26 : 연결편 28 : 결합돌기26: connecting piece 28: engaging projection

30 : 고정부재 32 : 결합홈30: fixing member 32: coupling groove

34 : 개구부 36 : 걸림턱34: opening 36: locking jaw

40 : 거울40 mirror

상기 목적은, 테두리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제 1 턱부와, 상기 제 1 턱부의 내부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1 렌즈부로 이루어져,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외주면에 힌지부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제 2 턱부와, 상기 제 2 턱부 내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투명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2 렌즈부로 이루어져,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커버와, 한 쌍이 서로 배면이 대응되도록 접합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를 갖도록 결합편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케이스 본체의 공간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이루어져, 저면에는 결합편과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 거울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The object is composed of a first jaw portion having a rim protruding downward and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jaw portion being convex, and a first lens portion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transparent material,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one side A case body having a hinge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jaw portion having an edge protruding upward, and a second lens portion formed with a concave shape formed in a concave center of the second jaw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consisting of a cover made of a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through a projection, a pair of mirrors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ar surface corresponds to each other and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and a fixing member for mounting the mirror inside the case body. In the case, the coupling piece is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the case body Body protrudes, is formed, the fixing member is made in a ring shape to b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case body, the bottom surface may be achieved through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it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pie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와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거울(40)과, 상기 거울(40)의 테두리에 씌워져 케이스 본체(10)와 거울(40)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부재(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body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over 20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to be connected to the case body 10, and installed in the case body 10 The mirror 40 and the fixing member 30 which is covered between the edge of the mirror 40 and interposed between the case body 10 and the mirror 40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서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케이스 본체(10)를 지지하도록 하는 제 1 턱부(12)와, 상기 제 1 턱부(12)의 내부가 그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 렌즈의 기능을 행하도록 하는 제 1 렌즈부(1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Here, the case body 10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jaw portion 12 to support the case body 10, and the The inside of the first jaw portion 12 includes a first lens portion 14 formed so as to be convex in the center thereof to function as a convex lens.

또한, 상기 제 1 턱부(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렌즈부(14)의 테두리를 이루는 바, 제 1 렌즈부(1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케이스 본체(10)를 보관할 때에 제 1 렌즈부(14)가 다른 물건이나 바닥 등에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렌즈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렌즈의 기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jaw portion 12 protrudes downward to form an edge of the first lens portion 14, and is relatively further outwardly compared to the first lens portion 14. Since it protrudes, the first lens unit 14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other objects or the floor when the case body 10 is stored, thereby preventing the lens from being scratched, thereby maintaining the function of a clean lens for a long time.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는 공간부(16)가 형성되도록 결합편(18)이 원형을 이루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돌기(28)가 결합되기 위한 힌지부(19)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18 forms a circle and protrudes integrally so that the space 16 is formed in the case body 10, and a hinge portion 19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상기 커버(20)는 케이스 본체(10)와 동일한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와 결합돌기(28)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위해서 일측에 연결편(26)이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와 같이 그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턱부(22)와, 상기 제 2 턱부(22)의 내부를 이루는 제 2 렌즈부(24)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 2 렌즈부(24)는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렌즈를 이룬다.The cover 20 is formed in the same plane shape as the case body 10, the connecting piece 26 is formed on one side in order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ase body 1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8, the case body As shown in (10), the second jaw portion 22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thereof, and the second lens portion 24 forming the inside of the second jaw portion 22, the second lens portion ( 24 forms a concave lens with a concave center.

이로써, 사용자는 커버(2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0)의 상면 또는 저면을 통해 거울(40)을 보면 오목 거울과 볼록 거울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us, the user may use both the concave mirror and the convex mirror when looking at the mirror 40 through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10 without opening the cover 20.

상기 거울(40)은 일반적인 평면 거울을 설치한 것으로써, 한 쌍의 거울(40)을 서로 배면이 대응되도록 접합시켜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시키므로 사용자가 커버(20)를 개방시켜 거울(40)을 보면 보통의 평면 거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거울(40)의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씌워져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The mirror 40 is a general planar mirror is installed, a pair of mirrors (40) are bonded to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back and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0, the user opens the cover 20, the mirror Looking at (40) can be used a common flat mirror, the fixing member 30 is covered on the edge of the mirror 40 can be easily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0).

상기 고정부재(30)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재질로써, 링형태로 이루어져 저면에 결합홈(32)이 형성되어, 결합돌기(28)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20)를 개폐시킬 경우, 커버(20)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26)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외주면 일부위에 개구부(34)가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부에는 거울(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6)이 형성된다.The fixing member 30 is an elastic material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Combination groove 3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formed in a ring shap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20 around the engaging projection 28,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piece 26 integrally formed on the cover 20 An opening 34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ocking projection 36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the mirror 40 from being separ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용 거울의 작동을 살펴보면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거울은 휴대가 간편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스스로의 모습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것으로써, 한 쌍의 평면 거울이 상호 배면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양면 거울(40)의 테두리에 고정부재(30)를 씌우게 된다.First, th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appearance of themselves as needed, fixed to the edge of the double-sided mirror 40 made of a pair of plane mirror bonded to each other back The member 30 is covered.

이때, 상기 거울(40)은 고정부재(30)에 형성된 걸림턱(36)에 안착되므로 거울(40)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mirror 40 is seated on the locking projection 36 formed on the fixing membe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rror 40 from being separated.

또한, 거울(40)이 끼워진 고정부재(30)를 케이스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결합홈(32)을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된 결합편(18)에 위치시킨 후, 삽입장치로 강제 삽입 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fixing member 30 fitted with the mirror 40 to the case body 10, the coupling groove 32 of the fixing member 30 to the coupling piece 18 formed in the case body 10. After positioning, it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devic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고정부재(30)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장치는 통상적인 장치로써 상세한 설명과 도면 표기는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ng device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30 in the case body 10 is a conventional device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 notation is omitted.

그리고, 삽입장치가 아닌 작업자가 직접 케이스 본체(10)에 고정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편(18)에 결합홈(32)을 맞춘 후 작업자가 고정부재(30)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결합홈(32)에 결합편(18)이 삽입되는 것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irectly couple the fixing member 30 to the case body 10 by an operator other than the insertion apparatus, the operator fits the coupling groove 32 to the coupling piece 18, and then the worker manually holds the fixing member 30 by hand. When pressed, the coupling piece 18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 anyone can be easily coupled.

또한, 상기 결합홈(32)에 결합편(18)이 삽입되면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된 공간부(16)에도 상기 결합홈(32)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결합홈(32)의 외측부가 삽입되는 것으로써, 케이스 본체(10)에 고정부재(30)가 더욱더 기밀하게 결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iece 18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 the outer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32 naturally formed by the coupling groove 32 is also inserted into the space 16 formed in the case body 10. As a result, the fixing member 30 may be more tightly coupled to the case body 10.

이후에, 사용자가 이 거울을 사용할 때에 특히, 화장을 할 때는 국부적으로자세한 화장을 하기 위해 제 1 렌즈부(14)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 한정된 부위를 자세하게 보면서 화장을 하고, 화장을 마친 후에 전체적인 조화를 보기 위해 상기 제 2 렌즈부(24)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춤으로써, 축소된 본인의 모습 전체를 보면서 화장을 마무리한다.Afterwards, when the user uses the mirror, in particular, when the user wears the make-up, the user performs the makeup by looking at the limited area in detail through the first lens unit 14 in order to make a detailed makeup, and after the make-up In order to see the overall harmony through the second lens unit 24, the appearance of oneself, while looking at the entire reduced appearance of the person to finish the makeup.

물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커버(20)를 개방시키면 보통의 평면 거울에 모습을 비출 수 있다.Of course, opening the cover 20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can be reflected in the ordinary flat mirror.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성부들은 다양한 곳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various places and may take various forms.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양면 거울을 이루고, 이 거울이 지지되는 케이스 본체 및 커버가 투명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이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용도에 맞게 볼록 거울 및 오목 거울의 기능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double-sided mirror, the case body and the cover is supported by the mirro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shape is formed in the shape of convex lens and concave lens, Since the convex mirror and the concave mirror can function as the application without opening the co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용 거울은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를 이루는 제 1 렌즈부와 제 2 렌즈부의 테두리에 각각의 렌즈부와 비교하여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턱부가 형성됨으로써, 렌즈부가 외부의 다른 물건이나 바닥과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어 렌즈부의 흠집 발생이 방지되어 깨끗한 거울을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rst lens portion and the second lens portion forming the convex lens and the concave lens, and the jaw portion protruding more outwardly than the respective lens portions is formed, whereby the lens portion Since contact with other objects or the floor is suppressed, the lens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thereby maintaining a clean mirror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를 갖도록 결합편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편을 삽입시키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거울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시 거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ring shap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the coupling piece is integrally protruding and formed to have a space portion inside the case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by mutual coupling, As well as anyone can easily combine, by forming a locking ja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mirror is seated on the locking jaw can be firmly fixed, very useful to prevent the mirror from being detached when carrying It is an idea.

Claims (2)

테두리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제 1 턱부(12)와, 상기 제 1 턱부(12)의 내부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1 렌즈부(14)로 이루어져,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외주면에 힌지부(19)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10)와,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제 2 턱부(22)와, 상기 제 2 턱부(22) 내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투명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2 렌즈부(24)로 이루어져, 개폐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돌기(28)를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힌지부(19)와 연결되는 연결편(26)으로 이루어진 커버(20)와, 한 쌍이 서로 배면이 대응되도록 접합되어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거울(40)과, 상기 거울(40)이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30)로 이루어진 다용도 휴대용 거울에 있어서,A first jaw portion 12 having a rim protruding downward and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jaw portion 12 are convex and formed of a first lens portion 1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ase body 1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hinge portion 19 form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jaw portion 22 formed by a rim protruding upward, and a center inside the second jaw portion 22 are concave. And a second lens part 2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one side is formed of a connecting piece 26 connected to the hinge part 19 of the case body 10 through a coupling protrusion 28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e cover 20 and a pair of mirrors 40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ar surfaces thereof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fixing member 30 for mounting the mirror 40 inside the case body 10. In th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consisting of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부에는 공간부(16)를 갖도록 결합편(18)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In the case body 10, the coupling piece 18 is integrally protruded and formed to have a space portion 16, 상기 고정부재(30)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저면에는 상기 결합편(18)과 대응되도록 결합홈(32)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거울(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 거울.The fixing member 30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coupl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iece 18, the locking jaw 36 for preventing the mirror 40 from detach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Multipurpose portabl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부재(30)의 외주면 일부위에는 커버(20)의 개폐시 회동되는연결편(26)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개구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 거울.Multipurpose portabl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34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necting piece 26 rotated when the cover 20 is opened and closed.
KR20-2003-0028651U 2003-03-05 2003-09-05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KR2003407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51U KR200340719Y1 (en) 2003-09-05 2003-09-05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US10/754,503 US20040173498A1 (en) 2003-03-05 2004-01-12 Multifunctional compact mirror case
EP04001901A EP1454559A1 (en) 2003-03-05 2004-01-29 Multifunctional compact mirror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51U KR200340719Y1 (en) 2003-09-05 2003-09-05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719Y1 true KR200340719Y1 (en) 2004-02-05

Family

ID=4942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51U KR200340719Y1 (en) 2003-03-05 2003-09-05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71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465A (en) * 2020-02-28 2021-09-08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visible to the outsi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465A (en) * 2020-02-28 2021-09-08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visible to the outside
KR102354311B1 (en) * 2020-02-28 2022-01-24 펌텍코리아(주)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visible to the outs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2155S1 (en) Eyeglass frame with flattened lens opening
USD544979S1 (en) Light fixture
EP1454559A1 (en) Multifunctional compact mirror case
KR20040030409A (en) Clip on eyeware with spring hinge
KR200340719Y1 (en)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USD396747S (en) Eyeglass case
KR200427896Y1 (en) Make-up compact case
KR200381817Y1 (en) Key ring of multifunctional
KR200322293Y1 (en) A portable mirror for the various object
USD403294S (en) Holder for securing eyeglasses to a sunvisor
JP3209007U (en) Cell phone case
JP2011056067A (en) Hand mirror
FR3066909B3 (en) PROTECTIVE GLASSES AND THE USE OF PROTECTIVE GLASSES
KR200428747Y1 (en) Portable contact lens case storage box
KR102320798B1 (en) Glasses case
JP3062266U (en) Sealed container
USD391981S (en) Eyeglasses
KR200356459Y1 (en) A spectacles case
KR20100007604A (en) Contact lens case
USD471580S1 (en) Eyeglasses with joining earpieces
KR200186927Y1 (en) A spectacle case
JP3114190U (en) Compact mirror
KR20110113334A (en) Cellular phone with mirror and mirror assembly accessible to cellular phone
JP3063728U (en) Flashlight
KR200239369Y1 (en) Spectacl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