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635Y1 - device for moving placard - Google Patents

device for moving pla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635Y1
KR200340635Y1 KR20-2003-0034569U KR20030034569U KR200340635Y1 KR 200340635 Y1 KR200340635 Y1 KR 200340635Y1 KR 20030034569 U KR20030034569 U KR 20030034569U KR 200340635 Y1 KR200340635 Y1 KR 200340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haft
coupled
elastic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5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윤두
최은숙
Original Assignee
구윤두
최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429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4063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윤두, 최은숙 filed Critical 구윤두
Priority to KR20-2003-0034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6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6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게첨대가 상하로 이동하여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양측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프레임에 결합된 핸들의 축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타측 프레임측으로 힘을 전달하게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여 상기 샤프트를 역회전시켜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되는 탄성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dle more specifically in a placard post of a plurality of cradle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is moved up and down, and folded,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frame A shaft coupled to the shaft of the handle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transmit a force to the other frame;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the elastic movement means for holding the elas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reversely rotate the shaft to move the cradle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t relate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of the foldable crab.

또한 좌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게첨대가 상하로 이동하여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최하측 구름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하측구름체의 하방 이동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되어 상기 최하측구름체를 상측으로 밀게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lacard post of a plurality of cradle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to be moved up and down and folded, it is located under the lowest cloud body, and retains elastic energy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st cloud body. It relates to a fold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device for pushing the lowermost cloud body upward.

이에따라 게첨대의 작동시 먼저 탄성력에 의해 게첨대가 이동하게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현수막 설치 및 제거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crab rods are first moved by elastic force, the crab rods can be moved more easily up and down,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removal of banners.

Description

접철식 게첨대 이동수단{device for moving placard}Foldable Crab Stick Vehicle {device for moving placard}

본 고안은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에 탄성이동수단을 부설하고 최하측구름체 하부에 탄성장치를 부설하여 보다 용이하게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dle, more specifically, an elastic mov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shaft and an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most cloud body so that the cradle can be moved up and down more easily. It relate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거리에서 다수개의 현수막을 게시하는 경우 종래에는 두개의 기둥사이의 원하는 높이에 현수막을 묶어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둥사이에 현수막을 묶어 게시하는 경우 통행을 위해 높이 설치하게되므로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사다리등을 사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해결하기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304727호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서는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현수막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 현수막 게시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게시대는 일측에 구비된 핸들을 돌려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는데 상기 게첨대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추를 부설하여 상기 게첨대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posting a plurality of banners at a distance, the banner was conventionally tied and fixed at a desired height between two pillars. However, when tying the placards between the posts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is high for traffic, so when the placard is installed or removed, the work is performed using a ladder, etc.,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4727 folding banner posting st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banner posting board configur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banner by moving the cradle up and down. The bulletin board is to move the crab rod up and down by turning the handle provided on one side. The weight of the crab rod is heavy so that it is easy to move the balance by placing a weight to easily move it. It is configured to b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추를 사용하는 것은 추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프레임등의 부품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use of the weigh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is heavy, so parts such as frames may be bent or broken.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이하게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워 프레임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mps that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to b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of movement of a folding cradl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light and prevents damage to a frame.

도1 : 접철식 게첨대의 정면도1: Front view of the folding crab

도2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이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a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 : 탄성장치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를 표시한 도.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astic energy is stored in the elastic device.

도11 :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1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a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좌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게첨대가 상하로 이동하여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양측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프레임에 결합된 핸들의 축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타측 프레임측으로 힘을 전달하게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여 상기 샤프트를 역회전시켜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되는 탄성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card post in which a plurality of cradles located between left and right frames are moved up and down to be folded, and ar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two frames and are coupled to one frame. A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transmit a force to the other frame;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the elastic movement means for holding the elas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reverse the shaft to move the cradle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이동수단은, 일측말단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타측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태엽 또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Preferably, the elastic movement means, one end is coupled to the shaft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or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fram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이동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되는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게 된다.Also preferably, the elastic movement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an elastic material that is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to retain the elastic energ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탄성소재는, 태엽 또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in, the elastic material is preferably a spring or a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핸들의 축은, 래칫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이동수단의 탄성에 의해 게첨대가 하측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And the shaft of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ratch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ovement means.

그리고 상기 동력이동수단은, 샤프트의 일측말단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1보빈과; 상기 제1보빈과 동일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2보빈과; 상기 제1보빈의 하측 프레임 내에 위치하게 되는 제3보빈과; 상기 제3보빈과 동일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되는 제4보빈과; 상기 제1보빈과 제3보빈에 양측 말단이 각각 체결되며 게첨대의 상향시 상기 제3보빈에서 풀려 상기 제1보빈에 감기게 되며, 게첨대의 하향시 제1보빈은 풀려 제3보빈에 감기게 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2보빈과 제4보빈에 양측 말단이 각각 체결되며 게첨대의 상향시 상기 제2보빈에서 풀려 상기 제4보빈에 감기게 되며, 게첨대의 하향시 제4보빈은 풀려 제2보빈에 감기게 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양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The power moving means includes: a first bobbin coupled to one end of th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first bobbin and rotating together; A third bobbin positioned in a lower frame of the first bobbin; A fourth bobbin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third bobbin and rotating together;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first bobbin and the third bobbin, respectively, and are loosened from the third bobbin and wound around the first bobbin when the cradle is upward, and the first bobbin is unwound and wound around the third bobbin when the cradle is downward. A first wire;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second bobbin and the fourth bobbin, respectively, and are loosened from the second bobbin and wound around the fourth bobbin when the cradle is upward, and the fourth bobbin is unwound and wound around the second bobbin when the cradle is down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wi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또한 최하측 구름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하측구름체의 하방 이동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되어 상기 최하측구름체를 상측으로 밀게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most cloud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device that is to hold the elastic energy whe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st cloud body to push the lowest cloud body upwards .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장치는, 압축스프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된다.Preferably, the elast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상기 탄성장치는 지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최하측구름체사이에 설치되며,교차되는 다수개의 바를 연속으로 연결하고 최하측의 바중 일측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최상측은 상기 최하측 구름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상기 최하측 구름체를 상측으로 밀게 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게된다.The elastic device includes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on the grou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lowermost cloud body, and connects a plurality of cross bars in series and one side of the lower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uppermost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cloud body to elast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It is another featur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operating unit for pushing the lowermost cloud body upward by the energy.

그리고 상기 탄성장치는, 쇼크업소버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게된다.The elast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is another feature.

본 고안은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이를위해 본 고안에서는 양측 프레임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에 탄성이동수단을 구비하고, 프레임내부의 최하측 구름체 아래에 탄성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는 상기 탄성이동수단과 탄성장치에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의 고정장치를 풀게되면 상기 탄성에너지에의해 게첨대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을 시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object of the operator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move the cradle more easily up and dow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astic movement means on the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between the two frames,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device under the lowest cloud body in the frame. This is to allow the cradle to start moving upward or downward by the elastic energy when the worker releases the fixing device of the handle in the state of holding the elastic energy in the elastic moving means and the elastic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ving means of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접철식 게첨대(2)의 이동수단은 샤프트(10)와 탄성이동수단과 동력이동수단 그리고 탄성장치로 구성된다.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aft 10, an elastic moving means, a power moving means, and an elastic device.

먼저 샤프트(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샤프트(10)는 양측 프레임(1)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있으며 일측 프레임(1)에 구비된 핸들과 후술하게될 동력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회전력을 타측의 프레임(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First, the shaft 10 will be described. The shaft 1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ide frames (1) and connected to the handle provided in one frame (1) and the power mov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to rotate the other side It serves to deliver to the frame (1) of.

다음으로 탄성이동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이동수단은 탄성을 지닌 소재를 포함하게 되어 샤프트(10)의 회전력을 탄성에너지로 보유하게 된다.Next, the elastic movement means will be described. The elastic movement means include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reta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0 as elastic energy.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이동수단으로 토션스프링(20)을 사용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torsion spring 20 as the elastic movement means.

상기 토션스프링(20)의 일측말단은 상기 샤프트(10)에 연결되고 타측말단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20)은 상기 샤프트(10)가 회전하여 상기 게첨대(2)가 이동할 때 상기 샤프트(10)의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장치를 풀어 상기 샤프트(1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0)은 탄성에 의해 상기 샤프트(10)를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게첨대(2)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20 is connected to the shaft 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rame 1. The torsion spring 20 is configured to wind or unwi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10 when the shaft 10 rotates so that the crab 2 moves. Therefore, when the worker releases the fixing device and the shaft 10 is freely rotatable, the torsion spring 20 rotates the shaft 10 by elasticity, thereby moving the cradle 2 upward or downward. Let's go.

상기와 같이 토션스프링(20)을 샤프트(10)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10)의 말단에 태엽(30)의 일측을 부착하고 타측은 프레임(1)등에 고정하여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태엽(3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orsion spring 20 is not limited to being fixed to the shaft 10. One side of the mainspring 3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aft 1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rame 1 and the like so that the elastic energy is stored in the mainspring 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10.

또한, 상기 샤프트(10)에 직접 탄성을 지닌 소재를 부설하는 대신 상기 샤프트(10)의 양측말단에 각각 기어(3)를 장착하고 상기 기어(3)에 종동기어(40)를 다수개 부착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동력전달수단을 부설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 또는 태엽(30)등의 탄성소재를 구비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토션스프링(20) 또는 태엽(30)에 탄성에너지형태로 저장하는 것도 무방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기어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대신 후술하게되는 동력이동수단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stead of lay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directly on the shaft 10, the gears 3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shaft 10, and a plurality of driven gears 40 are attached to the gears 3, respectively. Lay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and hav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the torsion spring or spring 30 on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he torsion spring 20 or spring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 the form of elastic energy at (30). Here, instead of transmitting power using a plurality of gears,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by connecting to a power mov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탄성소재의 탄성과 상기 게첨대(2)의 무게에 의해 상하로 계속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의 축(5)에 래칫(97)을 결합하여 상기 게첨대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게첨대(2)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상기 래칫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게첨대(2)가 상하로 진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게첨대(2)를 하향으로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래칫을 풀게되면 탄성소재에 의해 게첨대(2)가 소정간격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핸들(4)을 계속 돌려 완전히 내리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material and the weight of the cradle (2) can continue to vibrate up and down, the ratchet (97) is coupled to the shaft (5) of the handle to prevent the cradle to move upwards It is to be made freely and the movement of the cradle 2 is to be prevented by the ratchet so that the cradle 2 does not vibrate up and down. When the cradle rod 2 is to be moved downward, the ratchet is released by loosening the ratchet, and the cradle rod 2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lastic material, and then the handle 4 is continuously turned down to completely lower it.

여기서 상기 기어를 베벨기어(81,82)로 하여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프레임(1)내부에 토션스프링(20)을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종동기어(40)의 일측에 보빈등을 설치하고 줄(70)을 연결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줄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고 상기 줄의 일측말단에 인장스프링(71)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인장스프링을 상기 프레임(1)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Here, the bevel gears 81 and 82 are used to convert the rotational direction vertically so that the torsion spring 20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frame 1 or a bobbin l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n gear 40. By connecting the 70 to the rope to be wound or unwind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d the tension spring 7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ing and the tension spring may b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frame (1).

다음으로 동력이동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이동수단은 핸들Next, the power moving means will be described. The power moving means handle

이 구비된 프레임(1)에서는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1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일측에 최상측 구름체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최상측 구름체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이동수단으로 일측 프레임(1)에 상측의 샤프트(10)에 제1,2보빈(91,92)을 설치하고 하측에 동일축을 이루는 제3,4보빈(93,94)을 설치하고 제1보빈(91)과 제3보빈(93)을 제1와이어(95)로 연결하고 제2보빈(92)과 제4보빈(94)을 제2와이어(96)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반대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측와이어가 상측 보빈에 감기게 되면 타측 와이어는 하측 보빈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결합된 두개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은 게첨대(2)가 상하로 이동할 때 힘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provided frame 1,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is transmitted to the shaft 10. In addition, the uppermost cloud is connected to one side is configured to move the uppermost clou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91 and 92 are installed on the shaft 10 on the one side frame 1 as the power moving means, and the third and fourth bobbins 93 having the same axis on the lower side thereof. And 94, the first bobbin 91 and the third bobbin 93 a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95, and the second bobbin 92 and the fourth bobbin 9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96. Will be connected. At this tim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one wire is wound on the upper bobbin is configured so that the other wire is wound on the lower bobbin. The use of two wires coup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accurately transfer the force when the cradle 2 moves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측에는 최상측 구름체가 연결되어 게첨대(2)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And the uppermost clou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wire to move the cradle 2 up and down.

여기서 동력이동수단으로 상하측에 체인휠을 설치하고 체인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하측에 각각 두개의 보빈을 설치하고 두개의 와이어로 결합하고 있는 것은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이다.Here, the chain wheel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s the power moving means, and the chain may be used to transmit pow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bobbins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the two bobbins are coupled to each other becaus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chain is used and the structure are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the cost is reduced.

다음으로 탄성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게시대의 프레임(1)내부에 위치한 최하측 구름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름체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에너지가 발생하여 보유하게 되며, 핸들의 고정장치(도시안됨)가 풀린상태에서 상기 최하측 구름체를 상측으로 밀도록 구성된다.Next, the elastic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elastic devic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most rolling body located inside the frame 1 of the post table so that the elastic energy is generated and retained when the rolling member moves downward, and the fixing device (not shown) of the handle is released. In the lowermost cloud is configured to push upward.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장치로 압축스프링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압축스프링과 X자로 교차한 바를 다수개 연결한 작동부의 조합을 사용하게된다. 또한 압축스프링대신 쇼크업소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압축스프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측말단을 지면 또는 프레임(1)의 바닥에 고정하고 상측은 구름체와 이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구름체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압축스프링등 탄성소재의 상측을 상기 구름체에 연결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device may be used alone as the elastic device, or a combination of an operation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intersecting the compression spring with an X letter is used. You can also use a shock absorber instead of a compression spring. In the case of using the compression spring alone, the low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bottom of the frame 1, and the upp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rolling body. Accordingly, when the rolling body moves downward,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to retain elastic energy. However,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material such as the compression spring may be connected to the rolling body.

압축스프링과 작동부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축스프링의 하부를 지면 또는 프레임(1)의 바닥에 고정하고 상부에 작동부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는 두개의 바를 회전가능하도록 'X'자로 교차하고 상기 교차된 바들을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에따라 하부의 바가 움직이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타측말단이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의 최하측은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부가 상기 작동부 최하측의 교차점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하측에 위치한 두개의 바 중앙의 관통공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교차점 하부에서 상측으로 밀게되면 최하측 바들에 결합된 핀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면 최하측에 위치한 두개의 바 상부 말단이 가까워지고 이에따라 상기 작동부의 상측말단은 상기 압축용수철의 이동거리보다 더 멀리 이동하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a combina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actuat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bottom of the frame 1 and the actua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 op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cross the two bars rotatable 'X' and to connect a plurality of the crossed bars. Accordingly, when the lower bar moves, the other end moves up and down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lowermost side of the actuating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actuating part. In addition, the through-holes in the center of the two bars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means that when the compression spring is push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intersection point, the pins coupled to the lowermost bars move upwards,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two bar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part moves the compression spring. You move farther than the distance.

그리고 쇼크업소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쇼크업소브의 실린더를 지면 또는 프레임(1)의 바닥에 결합하고 피스톤을 상기 구름체에 연결하여 구름체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내의 유체가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shock absorber, when the cylinder of the shock absorber is coupled to the ground or the bottom of the frame 1 and the piston is connected to the rolling body, and the rolling body moves downward, the fluid in the cylinder is compressed to give elastic energy. It is configured to hav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게첨대(2)의 이동수단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10)를 프레임(1)의 상측 말단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0)의 양측에 각각 토션스프링(20)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은 프레임에 고정하게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20)은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게첨대가 바닥에서 소정거리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정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shaft 10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 And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2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haft 1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rame.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20 is adjusted so as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crab rod is moved ab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in the state where no force is applied.

먼저 작업자는 핸들의 고정장치와 래칫을 푼 후 핸들을 회전시켜 게첨대(2)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핸들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1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샤프트(10)에 결합된 토션스프링(20)의 지름이 커지면서 탄성에너지를저장하게 된다.First, the operator loosens the fixing device and the ratchet of the handle, and then rotates the handle to move the cradle 2 downward. The shaft 1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torsion spring 20 coupled to the shaft 10 to store the elastic energy.

상기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에 게첨대(2)를 위치시키고 핸들을 고정한 후 현수막을 상기 게첨대(2)에 걸게 된다. 현수막을 건 후 핸들의 고정장치를 풀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샤프트(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게첨대(2)가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업자가 핸들을 계속 돌려 게첨대(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0)은 지름이 적어지면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핸들의 고정장치와 래칫을 풀게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샤프트(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게첨대(2)가 소정거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worker places the crab stem 2 in a desired position, fixes the handle, and hangs the banner on the crab stem 2. When the fixing device of the handle is released after hanging the banner, the shaft 10 is rotated b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torsion spring 20, and the cradle 2 is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worker keeps turning the handle to move the cradle 2 upward, the torsion spring 20 stores elastic energy while the diameter decreases. Then, when the worker releases the fixing device and the ratchet of the handle, the shaft 10 is rotated by the torsion spring, so that the cradle 2 mov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접철식 게첨대 이동수단에 의하면 탄성에너지에 의해 게첨대가 이동을 시작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워 프레임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ldable crab rod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b rod starts to move by elastic energy,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crab rod up and down, thereby simplifying the work.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l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frame.

Claims (11)

좌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게첨대가 상하로 이동하여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In the banner post of the way that the number of crab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are moved up and down and folded, 양측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프레임에 결합된 핸들의 축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타측 프레임측으로 힘을 전달하게 되는 샤프트와;A shaft which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two frames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handle coupled to the one fram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transmit the force to the other frame;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여 상기 샤프트를 역회전시켜 게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되는 탄성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the elastic movement means for holding the elas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reversely rotate the shaft to move the cradle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able crab carr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이동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ovement means, 일측말단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타측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태엽 또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One end is coupled to the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foldable crab movemen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or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이동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ovement means,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동력전달수단과;A powe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되는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And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to retain elastic energ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aterial, 태엽 또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spring or torsion sp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aterial, 동력전달수단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줄의 일측에 결합된 인장스프링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And a tension spring coupled to the shaft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tension spring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pe wound or unwound by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축은,The shaft of claim 1, wherein 래칫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이동수단의 탄성에 의해 게첨대가 하측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The ratchet is provided, the movement means of the foldable crab 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stem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ovemen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이동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moving means, 샤프트의 일측말단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1보빈과;A first bobbin coupled to one end of th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상기 제1보빈과 동일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2보빈과;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first bobbin and rotating together; 상기 제1보빈의 하측 프레임 내에 위치하게 되는 제3보빈과;A third bobbin positioned in a lower frame of the first bobbin; 상기 제3보빈과 동일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되는 제4보빈과;A fourth bobbin coupled to the same axis as the third bobbin and rotating together; 상기 제1보빈과 제3보빈에 양측 말단이 각각 체결되며 게첨대의 상향시 상기 제3보빈에서 풀려 상기 제1보빈에 감기게 되며, 게첨대의 하향시 제1보빈은 풀려 제3보빈에 감기게 되는 제1와이어와;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first bobbin and the third bobbin, respectively, and are loosened from the third bobbin and wound around the first bobbin when the cradle is upward, and the first bobbin is unwound and wound around the third bobbin when the cradle is downward. A first wire; 상기 제2보빈과 제4보빈에 양측 말단이 각각 체결되며 게첨대의 상향시 상기 제2보빈에서 풀려 상기 제4보빈에 감기게 되며, 게첨대의 하향시 제4보빈은 풀려 제2보빈에 감기게 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양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second bobbin and the fourth bobbin, respectively, and are loosened from the second bobbin and wound around the fourth bobbin when the cradle is upward, and the fourth bobbin is unwound and wound around the second bobbin when the cradle is downward. Second wire; Conveying means of the folding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좌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게첨대가 상하로 이동하여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In the banner post of the way that the number of crab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are moved up and down and folded, 최하측 구름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하측구름체의 하방 이동시 탄성에너지를 보유하게 되어 상기 최하측구름체를 상측으로 밀게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I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loud body, the movement of the foldable cra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device that retains the elastic energy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st cloud body to push the lowest cloud body upwards W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device, 압축스프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device 지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과;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on the ground; 상기 압축스프링과 최하측구름체사이에 설치되며,교차되는 다수개의 바를 연속으로 연결하고 최하측의 바중 일측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최상측은 상기 최하측 구름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상기 최하측 구름체를 상측으로 밀게 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It is installed between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lowermost cloud body, and connects a plurality of cross bars in series and one side of the lower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uppermost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cloud body to elast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Movement unit for pushing the lowermost cloud by the upper side by energy; moving means of the fold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device, 쇼크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게첨대의 이동수단.Moving means of the foldable crab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KR20-2003-0034569U 2003-11-04 2003-11-04 device for moving placard KR2003406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69U KR200340635Y1 (en) 2003-11-04 2003-11-04 device for moving pla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69U KR200340635Y1 (en) 2003-11-04 2003-11-04 device for moving pla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635Y1 true KR200340635Y1 (en) 2004-02-05

Family

ID=4934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569U KR200340635Y1 (en) 2003-11-04 2003-11-04 device for moving pla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63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26B1 (en) * 2016-12-05 2018-04-19 주식회사 보광피앤피 A apparatus for banner advertisement of moving operatio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26B1 (en) * 2016-12-05 2018-04-19 주식회사 보광피앤피 A apparatus for banner advertisement of moving operatio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360B1 (en) Traffic barrier deployment system
DE102007044655A1 (en) Dragon power plant
KR200340635Y1 (en) device for moving placard
JP4129815B2 (en) Column material erection device and erection device
CN207362730U (en) A kind of urban construction road construction direction board
CN114701971A (en) Lifting formula street lamp hoisting accessory for building engineering
CN210944346U (en) Rope winding device for unfolding and accommodating soft rope
CN210856873U (en) A device that is used for municipal administration road surface area ash unwrapping wire
CA2867634C (en) Arrangement for imparting motion through counter-rotation of opposing terminations of arched flexible member
CN2792720Y (en) Pulling device for taking out steel cover of automobile
KR100757301B1 (en) stand for hanging banner
KR100799726B1 (en) A Placard Bulletin Stand
CN212709592U (en) Garden road barricade transfer device
KR200167292Y1 (en) Folding type basketball support
JPH09256764A (en) Ladder fixing means
CN214786514U (en) Building construction guardrail with adjustable protection area
CN201421983Y (en) Utility pole trolley
CN101854037A (en) Utility pole work car
CN112973136B (en) Single-motor-driven reversible time-release gyro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0349346Y1 (en) placard stand
KR100461749B1 (en) foldable placards stand
CN212426823U (en) Warning device for road
CN116239059B (en) Crown block lifting device
CN108104588A (en) It is a kind of that there is removable track traffic construction protective fence
CN221090936U (en) Simple and easy nursery stock closely transports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426

Effective date: 200611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10

Effective date: 200805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221

Effective date: 2007120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26

Effective date: 20080710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25

Effective date: 200903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