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838Y1 -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 Google Patents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838Y1
KR200339838Y1 KR20-2003-0025719U KR20030025719U KR200339838Y1 KR 200339838 Y1 KR200339838 Y1 KR 200339838Y1 KR 20030025719 U KR20030025719 U KR 20030025719U KR 200339838 Y1 KR200339838 Y1 KR 200339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nose
pads
coupling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7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홍주
Original Assignee
이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주 filed Critical 이홍주
Priority to KR20-2003-0025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8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8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을 얼굴의 콧등에 지지시키는 안경코받침대에 있어서 패드(pad)착탈을 간편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콧등에 안착되는 패드, 그 패드와 연결되는 연결로드 및 그 연결로드가 설치되는 리테이너를 가지는 안경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패드가 각각 단일체로 분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패드가 상기 연결로드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pad (pad)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for supporting the glasses to the nose of the face. That is,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having a pad seated on the nose, the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pad and the retainer is installed, the connecting rod and the pad are each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the pad is the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rod.

이와 같은 구조의 코받침대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패드(pad)의 착탈이 용이하여져, 손상된 패드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의 패드의 선택적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존 사용중인 안경 코받침대에도 간단히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구성된 "패드(pad)의 착탈(着脫)이 간편한 안경 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By adopting such a nose support, the pa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the damaged pad can be easily cleaned and replaced, and various types of pads can be selectively wor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nient eyeglass nose support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existing nose cover.

Description

패드(pad)의 착탈(着脫)이 간편한 안경 코받침대{omitted}Eyeglass nose pad easy to attach and detach pad

본 고안은 안경을 콧등에 지지시키는 안경 코받침대에 있어서 패드(41)의 착탈을 간편하게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콧등에 안착되는 패드, 그 패드와 연결된 연결편 및 그 연결편이 설치되는 리테이너를 가지는 안경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패드가 각각 단일체로 분리 구성되고, 연결편 양단부 각각에는 패드와 리테이너에 각각 결합되어지는 결합수단이 각각 설치되고, 패드 배면에는 연결편과 결합되어 질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패드를 상기 연결편에다 별도의 작업공구(드라이버, 핀세트)가 필요 없이 손(手)으로 간단히 착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detachment of the pad 41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for supporting the glasses on the nose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having a pad seated on the nose or the like, a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pad and a retainer to which the connecting piece is installed,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pad are each separated into a single body, and each of the connecting piece ends has a pad and a retainer. Coupling means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is installed, the coupling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on the back of the pad, the pa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work tool (driver, tweezers) Easily detachable.

상기와 같이 새롭게 구성된 코받침대를 채용하므로서, 손상된 패드의 교체 및 청소용이, 다양한 형태의 패드의 선택적 착용이 가능하고, 또한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에도 간단히 교체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안경 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By adopting the nose pads new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place and clean the damaged pads, and to selectively wear various types of pads. will be.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한쌍의 렌즈테(20)와, 그 렌즈테을 귀(耳)에 지지시키는 한쌍의 안경다리(30)와, 그 렌즈테(20)를 콧등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코받침대(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래의 안경코받침대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테(20)에 지지간(49)를 통해 설치되어지는 리테이너(45)와 그 리테이너(45)에 수납되어 결합나사(47)로 체결되어지는 연결편(43)과, 그 연결편(43)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패드(41)로 이루어져있다.In the related art,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the conventional glasses include a pair of lens frames 20 for fixing the lens, a pair of eyeglasses 30 for supporting the lens frame to the ears, and Consists of a pair of nose support 40 to support the lens frame 20 to the nose, the conventional eyeglass nose support, as shown in Figure 2, through the support frame 49 to the lens frame 20 It consists of a retainer (45) to be installed, a connecting piece (43) stored in the retainer (45) and fastened by a coupling screw (47), and a pad (41) integr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43). have.

여기서의 연결편과 패드는 도3(100)에서와 같이, 연결편(43) 일단을 가요성 합성수지로 인서트 사출성형하여서 형성되는 패드(41)는 일체형으로 완전결합 고정되어 있다. 때문에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에서 손상된 패드를 청소하려거나 새 패드로 교체하려면 도3에서와 같이 리테이너(45)와 연결편(43)을 결합시키고 있는 결합나사(47)를 공구(드라이버, 핀세트)를 사용하여 풀어내어 패드(41)를 떼어낸 후 새 패드를 끼우고, 다시 결합나사(47)를 축공(42)과 나사공(48)의 맞춘 구멍에 끼우고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재결합시키는 작업과정을 패드(41)을 교체할 때마다 매번 거쳐야 하는 큰 불편이 있다. 또한 결합나사(47) 크기가 매우 작고 작업공간도 매우 비좁아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다.(드라이버, 핀세트같은 공구를 갖추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때문에 손상된 패드(41)의 청소 및 교체, 다양한 형태의 패드의 선택적 착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ere,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pad, as shown in Figure 3 (100), the pad 41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43 with a flexible synthetic resin is fixed integrally integrally. Therefore, in order to clean the damaged pad in the conventional eyeglass nose support or replace with a new pad, as shown in FIG. Remove the pad (41), insert the new pad, and then insert the coupling screw (47) into the matching hole of the shaft hole (42) and the screw hole (48) again and use a screwdriver to recombine it. Every time the pad 41 is replaced,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to go through each time. In addition, the coupling screw 47 is very small in size and the working space is very small, which makes the replacement work very difficul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have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and a tweez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lective wearing of the pad is not easy.

상기에서의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4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패드(41)를 착탈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공구(드라이버, 핀세트)준비와 어려운 작업과정(매우좁은 작업공간)을 거쳐야 하는 결합나사(47) 형태를 탈피하여 손(手)으로 간단히 끼우고 빼고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패드 교체방식이 패드(4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편(43)을 리테이너(45)에다 끼우고 결합나사(47)에 의해 착탈하는 형태가 아니고, 도 8(나)에서와 같이 리테이너(45)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로드(54)의 결합돌기(44)에다 패드(55)의 결합홈(51)을 손(手)을 사용하여 끼웠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에도 간단히 교체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eyeglass nose support 40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separate work tool (driver, tweezers) and difficult work process (very narrow workspace) to detach the pad 41 Peel off the form of the coupling screw (47) to be passed through the hand (手) to be able to insert and pull out.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ad replacement method is not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retainer 45 by the connecting piece 43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pad 41, and is detached by the coupling screw 47.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grooves 51 of the pads 55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s 44 of the connecting rods 54 coupled to the retainers 45 using hands. . In addition,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configure a simple re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glasses nose support.

도 1은 종래의 안경 코받침대가 설치된 안경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glasse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eyeglass nose

도 2는 도1의 안경 코받침대를 확대한 평면도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eyeglass nose rest of FIG.

도 3은 도2에 도시된 안경 코받침대를 코받침대 다리부(105)와 코받침대 패드부(100)로 구분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lasses nose rest shown in FIG. 2 divided into a nose rest leg portion 105 and a nose rest pad part 100.

도 4는 도2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도 5는 본 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도8(가)에서의 200]를 나타낸 한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showing the nose pad pad portion [200 in Fig. 8 (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 패드부가 설치된 안경 코받침대의 확대 평면도Figure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eyeglass nose supporter installed nose pad pa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6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6.

도 8은 본 고안의 패드부(200)가 코받침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ad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nose support

도 9는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pad in the nos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 형태가 단일체(one long pad)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pad form is a one-piece (one long pad) in the nos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사시도 (b) 정면도 (c) 배면도 (d) 패드의 물성을 나타낸 참고도(a) Perspective view (b) Front view (c) Back view (d) Reference drawing show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d

도 11은 도10에서의 단일체 패드가 부착된 안경 코받침대를 나타낸 도면FIG. 11 is a view showing the nose pad with the monolithic pad attached to FIG. 10; FIG.

도 12는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에서 리테이너와 연결로드의 결합형태가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form of the retainer and the connecting rod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렌즈테 30 : 안경다리 40 : 코받침대20: lens frame 30: glasses 40: nose rest

41,55 : 패드 42 : 축공 43 : 연결편 44 : 결합돌기41, 55: Pad 42: Shaft hole 43: Connecting piece 44: Joining protrusion

45 : 리테이너 46 : 공간부 47 : 결합나사 48 : 나사공45 retainer 46 space portion 47 coupling screw 48 screw hole

49 : 지지간 50 : 단일체 패드 51 : 결합홈 52 : 주름49: support interval 50: monolithic pad 51: coupling groove 52: corrugation

54 : 연결로드54: connecting rod

100, 200 : 코받침대 패드부 105 : 코받침대 다리부100, 200: nose support pad portion 105: nose support leg portion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as follows.

도 5은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에서, 단일체로 분리 구성되어진 연결로드(54)와 패드(55)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도 6의 안경 코받침대를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리테이너(45)에 연결로드(54)와 패드(55)가 차례로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은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55)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서 패드형태가 한쌍(55,55') (=two short pad)인 경우가 아닌 단일체(50)(=one long pad)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단일체 패드(50)가 설치된 안경 코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에서 리테이너와 연결로드의 결합형태가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shows the shape of the connecting rod 54 and the pad 55 which are separated into a single unit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the eyeglass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nose pad of the eyeglasses, and FIG. 8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necting rod 54 and the pad 55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retainer 45 in the nos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pad 55 in the nos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ir (55, 55 ') (= two short) of the pad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pad unit 50 (= one long pad), not a case,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nose pad of the eyeglass pad 50 is installed, Figure 12 is a pair of eyeglass nos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form of a retainer and a connection rod.

본문에서 안경의 코받침대는 통상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좌우가 동일한 구조 형태이므로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ain text, the nose rest of the glasses is usually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since the left and right are the same structure,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side is omitted.

통상의 안경 코받침대에서는, 콧등 측면에 당접되는 패드(41)와, 상기 패드와 결합 고정된 연결편(43)과, 상기 연결편이 설치되는 리테이너(45)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한 안경 코받침대에서는 상기에서 일체로 결합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편(43)과 상기 패드(41)를 단일체로 각각 분리 구성하여, 상기 연결편(43)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결합수단을 가지는 연결로드(54)로 구성하고, 상기 패드(41)의 배면중앙부에는 결합홈(51)을 가지는 패드(55)로 구성시키되, 상기 결합돌기(44)와 상기 결합홈(51)이 간단히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 typical eyeglass nose supporter, the pad 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nose, a connecting piece 43 fixedly coupled to the pad, and a retainer 45 in which the connecting piece is installed. In the pedestal, the connecting piece 43 and the pad 41, which are integrally fixed and fixed in the above, are separated and formed as a single body, respectively, by connecting rods 54 having coupling means at each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ece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pad 41 is composed of a pad 55 having a coupling groove 51, the coupling protrusion 44 and the coupling groove 5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detach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를 확대 도시한 것인데, 좀더 차례로 본 고안의 코받침대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8(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렌즈테(20)에 지지간(49)을 통해 설치되는 리테이너(45) 즉, 코받침대 다리부(105)와 그 리테이너에 수납되는 연결로드(54)와, 상기 연결로드(54)에 끼워지는 패드(55) 즉, 코받침대 패드부(200)로 구성된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eyeglass nos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tail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ose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b), the lens frame 20 is supported. The retainer 45 installed through the liver 49, that is, the nose support leg 105 and the connecting rod 54 accommodated in the retainer, and the pad 55 fitted into the connecting rod 54, that is, the nose It is composed of a pedestal pad portion 200.

상기에서 연결로드(54)은 그 길이 방향으로 일단부에는 리테이너(45)와의 체결용 축공(42)이 형성되고 타단끝에는 얇은 원판형의 결합돌기(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매우 단단한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55)의 배면 중앙부에는 얕은 반구형의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탄성재료로 만들어 진다.(도 5참조)In the connecting rod 5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one end of the shaft hole 42 for fastening with the retainer 45 is formed, and at the other end, a thin disk-shaped coupling protrusion 44 is integrally formed. It is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In addition, a shallow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5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d 55,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ee FIG. 5).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51) 입구의 직경크기는 결합돌기(44)의 직경보다 작고 결합홈(51)의 내부공간 크기는 결합돌기(4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되어 결합된 결합돌기(44)는 결합홈(51)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약간의 유격(공차)를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coupling groove 5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44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groove 51 is larger than the coupling protrusion 44. The coupling protrusion 44 inserted and coupled has a slight clearance (toleranc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51.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코받침대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8 the assembly and operation of the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통상의 안경 코받침대(40)의 리테이너(45)에, 본 고안의 연결로드(54)와 패드(55)를 설치하려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리테이너(45)에 연결로드(54)의 축공부(42)를 끼우고 나사공(48)과 축공(42)을 통하여 결합나사(47)로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는 리테이너(45)에 체결된 상기 연결로드(54)의 결합돌기(44)에다 패드(55)의 결합홈(51)을 손(手)으로 밀어 끼워 삽입시킴으로서 조립은 완료된다.To install the connecting rod 54 and the pad 5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tainer 45 of the conventional eyeglass nose support 40, as shown in FIG. 8, first, the connecting rod 54 to the retainer 45. Insert the shaft hole 42 of the) and fasten with the coupling screw 47 through the screw hole 48 and the shaft hole (42). T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engaging groove 51 of the pad 55 by hand into the engaging projection 44 of the connecting rod 54 fastened to the retainer 45.

상기에서 리테이너(45)와 연결로드(54)의 결합동작은 한번으로 끝나고 재반복 하지 않으며 연결로드의 결합돌기(44)에다 패드의 결합홈(51)의 착탈동작만 행하기만 하면 된다.In the above,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retainer 45 and the connecting rod 54 is not repeated once, and only a detach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groove 51 of the pad is perform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44 of the connecting rod.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의 코받침대에서 패드(55)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51)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의 66은 결합홈을, 67은 삽입통로를 나타낸 것이다.And, Figure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groove 5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pad 55 in the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66 is a coupling groove, 67 is an insertion path.

그리고 도 10과 도 11은 패드형태가 한 쌍의 패드 (55·55')(=two short pad) 대신에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50)(=one long pad)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단일체 패드(50)의 양단부의 결합홈(51·51')이 상기 양 연결로드(54·54')의 결합돌기(44·44')에 각각 끼워져 사용되는 것으로 완만한 반구형 형태의 양단부 각각은 콧등의 양 측면에 각각 당접되고 "띠" 모양의 중앙부는 콧등의 윗면에 가로걸려 착용되어지는 패드(=one long pad)의 형태를 나타낸 경우이다.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50)은 실리콘, (생)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며 "띠"모양의 중앙부 표면(콧등에 맞닿는 부분)에 흘러내림 방지용 주름(52)이 횡(橫)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10 and 11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pad form is formed of a rectangular unitary pad 50 (= one long pad) instead of a pair of pads 55 · 55 '(= two short pad). Engagement grooves 51 and 51 'at both ends of 50 are fitted to the engaging projections 44 and 44' of both connecting rods 54 and 54 ', respectively. It is a case of a pad (= one long pad) which is abutted on both sides and is worn over the top of the nose. The rectangular monolithic pad 50 is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aw) rubber, synthetic resin, etc., and the anti-wrinkle crease 5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on the central surface of the "belt" shape (the part contacting the nose, etc.). It is formed.

그리고 도 11에서 상기 연결로드(54, 54')의 결합돌기(44, 44')와 상기 단일체 패드(50) 양단부의 결합홈(51, 51'))은 약간 공차가 있는 결합상태이므로 상기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 양단부는 상기 연결로드의 결합돌기(44, 44'))를 축으로 상하로 약간 회전가능하다.And the coupling protrusions 44 and 44 'of the connecting rods 54 and 54' and the coupling grooves 51 and 51 'at both ends of the monolithic pad 50) are slightly rectangular, so that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oupling rods 54 and 54' is shown in FIG. Both ends of the monolithic pads are slightly rotatable up and down about the coupling protrusions 44 and 44 'of the connecting rod.

그리고 도 12는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에서 리테이너(45)와 연결로드(54)의 결합형태가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리테이너(45)에는 좌우측 내면벽 중앙에 공간부(46)를 향해 탄두형 돌기(88,88' )가 돌착되고 연결로드(54)에는 일단부 표면에 좌우 양측으로 반구형 요홈(89,89' )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얇은 원판형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있고 패드(55)에는 배면 중앙부에 결합홈(51)이 형성된 경우이다.And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form of the retainer 45 and the connecting rod 54 in the eyeglass nos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retainer 45 protrudes the warhead type projections 88 and 88 'toward the space 46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and the hemispherical grooves 89 and 89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54 on the one end surface. ')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a thin disk-shaped engaging projection 44 is formed, the pad 55 is a cas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51 is formed in the rear center.

물론 도 12에서와 같은 리테이너와 연결로드의 결합형태에서도, 패드형태가 도 11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50)(one long pad)가 적용될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even in the coupling form of the retainer and the connecting rod as shown in Figure 12, the pad form of the rectangular unitary pad 50 (one long pad) can be applied as in FIG.

그리고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연결로드(54)의 양단부와 패드(55)의 배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수단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the shape of the coupling mean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54 and the back portion of the pad 55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can be changed to various forms of course.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는 렌즈테(20)가 있는 안경에 서술하였지만, 렌즈테가 없이 렌즈에 직접 코받침대(40)가 설치되는 안경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while the eyeglass nos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is described in the glasses with the lens frame 20, it can be applied to the glasses with the nose support 40 directly installed on the lens without the lens fram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기와 같은 패드(pad)의 착탈이 간편한 본 고안의 안경 코받침대를 사용하게 되면, 패드 착탈을 별도의 작업공구(드라이버, 핀세트)와 어려운 작업과정(좁은 작업공간)을 거치지 않고 손(手) 사용으로 간단히 할 수 있게 되므로, 손상된 패드교체 및 청결유지를 쉽게 할 수 있고 다양하게 디자인된 여러 형태의 패드를 착용자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자의 활동여건에 따라 two shot pad(55, 55')와 one long pad(50)를 수시로 변경선택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편에다 패드를 인서트 사출 성형시키는 가공공정이 생략되므로 인건비 절감으로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존 사용중인 안경 코받침대에도 쉽게 교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the eyeglass nose supp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attach or detach the pad, the pad can be detached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work tool (driver, tweezers) and a difficult work process (narrow working space). It is simple to use, so it is easy to replace damaged pads and maintain cleanliness, and various types of pads designed variously can be easily worn according to the wearer's preference and two shot pad ( 55, 55 ') and one long pad 50 can be changed and worn at any time.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pad on the connecting piece is omitted, the labor cost can be reduced, and 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on the existing eyeglass nose support.

Claims (6)

안경을 얼굴의 콧등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콧등의 양 측면에 당접되는 패드(55, 55'), 그 패드와 연결되는 연결로드(54, 54') 및 그 연결로드가 설치되는 리테이너(45, 45')를 가지는 안경 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패드(55, 55')와 상기 연결로드(54, 54')가 각각 단일체로 분리 구성됨과 더불어 서로 간편한 착탈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Supporting glasses to the nose of the face, the pads 55, 55 'abutting on both sides of the nose, the connecting rods 54, 54' connected to the pad and the retainer 45 is installed , 45 '), wherein the pads 55 and 55' and the connecting rods 54 and 54 'are separated into a single body, and the glass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easi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Nose rest 제 1항에 있어시, 분리 구성된 단일체의 상기 연결로드(54)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일단에는 리테이너(45)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타단에는 패드(55)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분리 구성된 단일체의 상기 패드(55)는 배면중앙부에 상기 연결로드(54)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로드(54)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수단이 축공(42)과 얇은 원판형의 결합돌기(44)로 되어 있고, 상기 패드(55)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수단이 얕은 반구형 결합홈(51)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rod 54 of the separated unitary unit includes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retainer 45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pad 55 at the other end. The pad 55 of the unitary unit includes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connection rod 54 at a rear center portion thereof, and coupling mea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rod 54 includes a shaft hole 42 and a coupling means. A pair of thin disk-shaped engaging projections 44, wherein the coupling means formed on the back of the pad 55 is a shallow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51, characterized in that the nose suppo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에서의 패드 형태가 콧등에 가로걸려 착용되어지는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50) (=one long pad)로 이루어진 것으로, 장방형의 단일체 패드(50) 형태가 콧등에 맞닿는 정면쪽 양단부 각각이 완만한 반구형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반구형 양단부를 잇고 있는 중앙부는 얇고 긴 "띠"모양을 하며 양단부 배면 중앙부 각각에는 얕은 반구형 결합홈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pad form is made of a rectangular unitary pad 50 (= one long pad) to be worn across the nose, etc., the rectangular unitary pad 50 form of the nose, etc.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a gentle hemispherical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connecting the hemispherical both ends has a thin and long "strap" shape, and each of the center portions at the rear side of the both ends has the same shallow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Glasses nose sta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와 연결로드의 구조형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5)에는 내측 양측벽에 공간부(46)쪽으로 반구형 돌기(88,8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54)에는 일단부 양쪽면에 상기 반구형 돌기(88,88')와 결합되는 반구형 요홈(89,89')을 각각 포함하고 다른 일단부에는 패드(55, 50)의 결합홈(51)과 결합되는 얇은 원판형 결합돌기(44)를 가지며, 상기 패드(55, 50)는 배면에 상기 연결로드(54)의 결합돌기(44)와 결합되어지는 얕은 반구형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in the structure of the retainer and the connecting rod, the retainer 45 is provided with hemispherical protrusions 88,88 'on the inner side walls toward the space 46, respectively, The connecting rod 54 includes hemispherical grooves 89 and 89 'coupled to the hemispherical protrusions 88 and 88' at both ends of one end thereof, and coupling grooves 51 of the pads 55 and 50 at the other end thereof. ) Has a thin disk-shaped coupling protrusion 44 coupled to the pads (55, 50) has a shallow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51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44 of the connecting rod 54 on the back Glasses nos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0,55)의 한쪽 표면(콧등에 맞닿는 부위)에 흘러내림 방지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흘러내림 방지용 수단으로 여러갈래의 가느다란 주름(52)이 횡(橫) 방향으로 밖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ti-dripping means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ds 50 and 55 (abutment against the nose, etc.). Eyeglass nose 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outward in the direction 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54)의 재질이 금속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55, 50)의 재질이 실리콘, (생)고무 또는 합성수지재 등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패드(55, 50)에 다양한 향, 색상 또는 약효성분을 첨가하여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패드(55, 50)을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대The materia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ng rod 54 is made of metal or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pads 55, 50 are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aw) rubber or synthetic resin. Glasses nose pad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s (55, 50) by adding a variety of flavors, colors or medicinal ingredients to selectively wear the pads (55, 50) according to the wearer's preference
KR20-2003-0025719U 2003-08-05 2003-08-05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KR2003398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19U KR200339838Y1 (en) 2003-08-05 2003-08-05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19U KR200339838Y1 (en) 2003-08-05 2003-08-05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838Y1 true KR200339838Y1 (en) 2004-01-28

Family

ID=4934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719U KR200339838Y1 (en) 2003-08-05 2003-08-05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83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3331A (en) Eyeglasses comprising frame unit and snap fitted lens unit
RU2683822C1 (en) Glasses with individualisized rim
US4951322A (en) Detachable mono-glass sports goggles
US7384141B2 (en) Auxiliary and primary eyewear with easy release snap connection
US6749299B1 (en) Auxiliary frame for eyeglasses
US20040141147A1 (en) Eyewear
KR200259088Y1 (en) the connect structure of assistance spectacles having a magnetic clip
KR960033419A (en) goggles
US7661816B2 (en) Eyeglasses assembly
US7007310B2 (en) Integrated swimming goggles mechanism
JP2000237346A (en) Swimming goggles
KR200339838Y1 (en) Glasses nose rest for easy removal of pad
JP4413200B2 (en) Eyeglass frames
CA2337731C (en) Eyewear
TWI604245B (en) Replacement structure of glasses lens
KR200174219Y1 (en) Glasses
KR200315936Y1 (en) A replacing structure of the glasses' leg including rim and connecter
KR20150003956U (en) Frames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es
KR101744658B1 (en) Frame of eyeglasses having improved assembly structure of nose support
JP3838706B2 (en) goggles
KR101974778B1 (en) Glasses leg with assembly accessory
JP2549000Y2 (en) Underwater glasses
KR200193313Y1 (en) a supplement browbar of easy exchangable spectacles
KR200188413Y1 (en) Glasses lens fixer
KR102570372B1 (en) Glasses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