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396Y1 - 해저토질 개선기 - Google Patents

해저토질 개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396Y1
KR200339396Y1 KR20-2003-0032040U KR20030032040U KR200339396Y1 KR 200339396 Y1 KR200339396 Y1 KR 200339396Y1 KR 20030032040 U KR20030032040 U KR 20030032040U KR 200339396 Y1 KR200339396 Y1 KR 200339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ressure water
high pressure
sea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생 목
목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2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저토질 개선기에 관한 것으로, 고압수 유입관에 연결된 고압수 분배관에 수개의 침봉 사이 마다 고압수관이 일체로 된 침봉판을 등간격으로 용접하고, 타측 고정간에는 부유물 방지포가 고정된 봉체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해저면에 하강 시킨 후 선상에서 신선한 해수를 공급 분사함과 동시에 견인하면,
고압 분사수에 의해 해저 표면토와 하부토가 섞이면서 부유물이 발생하면 타측(배면)에 연결된 부유물 방지포가 침강시켜 주므로써 해저 토질 개선의 효율을 높혀 연안어장 환경을 복원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오염된 해저토질에 풍부한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 용존량을 향상시켜 주므로써, 혐기성에서 호기성으로 해저토질을 바꾸어 오염 퇴적층의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켜 토질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저토질 개선기{The seabed soil improvement}
본 고안은 해저토질 개선기에 관한 것으로, 공해 요인으로 오염된 해저면에 산소량이 많은 신선한 고압수를 분사하여, 하부토와 상부토를 섞어 황폐화된 해저면의 토질을 개선, 복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저 토질오염의 일반적인 주원인은 유기물에 의한 해양오염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점차 무산소화 되어 생물이 성장할 수 없는 지역이 확산되어 가고 있고, 호기성 생물이 소멸되면서 염기성 미생물로 대체 되므로,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 지지 않아 해저 오염의 퇴적충이 두껍게 쌓이므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고 연안 어장이 황폐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오염된 해저면 토질을 개선하려고 개발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0-9972는 고압수 분배관에 종분사공과 수개의 횡분사공이 뚫린 연통관을 등간격으로 연결하여 중량체와 일체로 고정된 견인간에 견인 로우프를 결착하여 끌어 줄때에 선상의 고압 펌프를 가동하여 고압수를 고압수 유입관을 통해 공급하면, 고압수 분배관을 통해 분사관이 횡분사공과 종분사공으로 분사되는 분사수에 의해 해저면의 오염된 뻘을 개선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종분사공이 작업중 해저 토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있고, 다수개의 횡분사공은 해저의 토질과 거의 평행선 상으로 고압수가 분사되므로써 해저 토질 개선에는 별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압수 유입관에 연결된 고압수 분배관에 수개의 침봉 사이 마다 고압수관이 일체로 된 침봉판을 등간격으로 용접하고, 타측 고정간에는 부유물 방지포가 고정된 봉체를 경첩으로 연결하여 해저면에 하강 시킨 후 선상에서 신선한 해수를 공급 분사함과 동시에 견인하면,
침봉과 침봉판이 해저의 깊은 토질까지 깊숙히 긁으면서 파헤침과 동시에 고압수 분사관의 분사노즐로 분출되는 고압분출수가 상.하부토를 섞어 주게 되고 이 과정에 발생하는 부유물은 타측에 연결된 부유물 방지포가 침강시켜 주므로써 해저 토질 개선의 효율을 높혀 연안어장환경 복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 는 도2의 (A) 부분 확대도
도 5 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량추 2; 견인판 3; "ㄷ"자형 지주
4; 연결봉 5; 고압수 분배관 6; 고압수 유입관
7; 토질 개선기 8; 침봉 9; 분사 노즐 10; 고압수 분사관
11; 침봉판 12; 고정간 13,15; 경첩부 14; 봉체
16; 볼트 17; 넛트 18; 중량체
19; 부유물 방지포
중량추(1)에 견인판(2)이 각각 고정된 양측 "ㄷ"자형 지주(3)의 상측은 연결봉(4)과 하측은 고압수분배관(5)을 평행되게 연결하고 중앙부분은 고압수 유입관 (6)을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통상의 토질 개선기(7)에 있어서 고압수분배관(5)에는 등간격으로 연결된 수개의 침봉(8) 사이마다 단부에 분사노즐(9)이 장착된 고압수분사관(10)의 침봉판(11)을 각각 고정하고 타측면 고정간(12)의 경첩부(13)에는 봉체(14)의 경첩부(15)를 끼워 볼트(16)와 넛트(17)로 착.탈되게 하되 봉체(14)에는 중량체(18)가 고정된 부유물방지포(19)의 일측면을 봉착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20 은 침봉고정판
21 은 로우프
22 는 호스
23 은 커버 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선박에 설치된 펌프에 유기물분해제나 개선제를 신선한 해수와 함께 해저면에 분출 할 수 있게 설비를 하고 호스는 토질개선기(7)의 고압수유입관(6)에 연결한 후 로우프는 양측의 중량추(1) 상측 견인판(2)에 연결한 상태에서 토질개선기(7)를 해저면에 안착하고 통상대로 펌프를 가동하면서 선박을 전진시키면 고압수분배관(5)에 등간격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침봉(8)이 해저면 토질에 박혀 퍼올리게 되고 다소 길이가 짧은 침봉판(11)은 고압수분사관(10)을 지지하면서 해저 저면의 토질에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선상의 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신선한 해수는 고압수유입관(6)과 고압수분배관(5)을 경유해 횡 방향으로 퍼지면서 침봉판(11)에 용접된 고압수 분사관(10) 단부의 분사노즐(9)을 통해 분출할때에 파헤처진 해저면의 상.하부 토질을 골고루 섞어 주게 되며 고압수분사관(10)의 분사노즐(9)은 침봉판(11)의 단부에서 간격(a)만큼 짧게 형성 되었으므로 토질개선기(7)가 전진시에 분사노즐(9)은 해저 퇴적물에 직접 접촉이 되지 않게 되어 막히거나 파손이 되지 않게 되므로써 고압의 분출수는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계속해 분출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퇴적물에 함유된 부유물이 부유하면 고정간(12)의 경첩부(13)와 봉체(14)의 경첩부(15)는 볼트(16)와 넛트(17)로 고정되었으므로 봉체(14)는 부유물 방지포(19)를 지지해 주고 선박이 전진시에 상측에 고정된 중량체(18)는 부유물 방지포(19)를 펼처지게 유도하면서 평행 상태를 유지시켜 해저면 위를 자연스럽게 스쳐지나게 되므로 부유물은 상측으로는 올라가지 않고 침강시켜 주게 되며 작업 환경 여건에 따라 해저면 토질에 섞인 오.폐물을 수거할 경우에는 볼트(16)와 넛트(17)를 풀고 고정간(12)의 경첩부(13)에서 봉체(14)의 경첩부(15)를 분리한 후 고정간(12)과 양측의 "ㄷ"자형 지주(3) 위에 연결된 연결봉(4)에 그물(도시하지 않았음)을 연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을 진행시키면 오.폐물은 편리하게 수거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침봉판(11)과 일체로 용접된 고압수관(10)의 분사노즐(9)을 통해 고압수를 분출하여 오염된 해저토질에 깊숙히 풍부한 산소를 공급해 산소 용존량을 향상시켜 주므로써 혐기성에서 호기성으로 해저토질을 바꾸어 오염된 퇴적층의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켜 토질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량추(1)와 견인판(2)이 각각 고정된 양측 "ㄷ"자형 지주(3)의 상측은 연결봉(4)과 하측은 고압수분배관(5)을 평행되게 연결하고 중앙부분은 고압수 유입관 (6)을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통상의 토질개선기(7)에 있어서 고압수분배관(5)에는 등간격으로 연결된 수개의 침봉(8) 사이마다 단부에 분사노즐(9)이 장착된 고압수분사관(10)의 침봉판(11)을 각각 고정하고 타측면 고정간(12)의 경첩부(13)에는 봉체(14)의 경첩부(15)를 끼워 볼트(16)와 넛트(17)로 착.탈되게 하되 봉체(14)에는 중량체(18)가 고정된 부유물방지포(19)의 일측면을 봉착하여서 된 해저토질개선기
KR20-2003-0032040U 2003-10-13 2003-10-13 해저토질 개선기 KR200339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40U KR200339396Y1 (ko) 2003-10-13 2003-10-13 해저토질 개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40U KR200339396Y1 (ko) 2003-10-13 2003-10-13 해저토질 개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396Y1 true KR200339396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040U KR200339396Y1 (ko) 2003-10-13 2003-10-13 해저토질 개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3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56B1 (ko) 2006-05-24 2007-05-16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해저토질 개선기
KR101153077B1 (ko) 2010-05-13 2012-06-04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해저토질 개선기
KR101543729B1 (ko)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543723B1 (ko)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의 분사부 구조 및 그의 분사방법
KR20180000172U (ko) * 2016-07-06 2018-01-1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56B1 (ko) 2006-05-24 2007-05-16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해저토질 개선기
KR101153077B1 (ko) 2010-05-13 2012-06-04 한국해저환경주식회사 해저토질 개선기
KR101543729B1 (ko)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543723B1 (ko)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의 분사부 구조 및 그의 분사방법
KR20180000172U (ko) * 2016-07-06 2018-01-1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KR200486145Y1 (ko) * 2016-07-06 2018-04-09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729A (en) Oil spill recovery apparatus
KR101803364B1 (ko) 수상부유물 제거장치
US9345993B2 (en) Cleaning apparatus for filtration layer in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CN101624820A (zh) 一种治理湖泊水华的自动化除藻船
US4758355A (en) Oil spill recovery method
KR100722318B1 (ko)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CN106430623A (zh) 一种河道污水原生态处理设备
CN109020064A (zh) 黑臭水体的生态修复方法
KR200339396Y1 (ko) 해저토질 개선기
CN106219913A (zh) 一种河道污水处理系统
KR100899573B1 (ko)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KR101255462B1 (ko) 이동식 부유물 제거장치
KR101781480B1 (ko) 신형망(新形網)
CN102092889B (zh) 一种湖泊净化及水生态环境复原的方法
CN206069530U (zh) 一种河道污水原生态处理设备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KR100352584B1 (ko) 수질정화용 선박
CN211111480U (zh) 一种养殖圈舍污水快速处理装置
CN211338977U (zh) 一种用于河道治理的生态循环净滤系统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0714056B1 (ko) 해저토질 개선기
KR101543729B1 (ko)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화방법
CN101774718B (zh) 一种湖泊水污染预防和治理的方法及装置
CN207418456U (zh) 含油废水处理装置
CN212772547U (zh) 一种水下污泥清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06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