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393Y1 -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 Google Patents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393Y1
KR200339393Y1 KR20-2003-0032008U KR20030032008U KR200339393Y1 KR 200339393 Y1 KR200339393 Y1 KR 200339393Y1 KR 20030032008 U KR20030032008 U KR 20030032008U KR 200339393 Y1 KR200339393 Y1 KR 200339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container
liquid storage
outflow direc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0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태성
Original Assignee
송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성 filed Critical 송태성
Priority to KR20-2003-0032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3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39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위 병목이 없는 액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액체의 유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1)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2)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제공되는 내장부와, (3) 상기 내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내장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 (4)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마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storage container hav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capable of changing the outflow direction of liquid in a so-called bottle-free liquid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1) a liquid inflow and outflow opening and a liquid to be stored; A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2) a built-in por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adjacent to the liquid inlet and outlet openings, (3) a fixed portion fixed to the built-in portion, and a penetrating portion of the built-in portion from the fixed portion. And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including a corrugation portion extending therein and provid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and (4) a stopp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특히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상기 내장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내장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wrinkle part can be changed between a first state when it is shrunk and stored in the interior part, and a second state which has flexibility extending from the interior part and changing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liquid.

Description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Liquid container housing with a built-i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본 고안은 유출 방향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저장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주름관을 제공하여 액체를 유출시킬 때 유출 방향으로 여러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providing a corrugated pipe in the spout portion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to change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outflow direction when the liquid is outflowed. .

액체는 캔과 같은 용기에 담아 유통되는데 특히 1.5 리터 이상의 대용량의 액체는 페트(PET)병에 담겨져서 유통되고 있다.The liquid is distributed in cans such as cans, especially large volumes of liquids larger than 1.5 liters in PET bottles.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액체 저장 용기는 그 안에 담겨있는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기울여야 했다. 이처럼 액체가 담겨져 있는 상태의 무거운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수반되었고, 또한 급작스럽게 많은 양의 액체가 유출됨으로써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액체가 헛되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liquid storage containers currently in use had to tilt the entire liquid storage container in order to drain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tilt the entire heavy liquid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and a large amount of liquid is suddenly spilled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or the liquid is wasted in vai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29571호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제안된 고안은 마개 체결부 소위 병목이 없는 저장 용기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3-0029571 has proposed a liqui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However, this proposed desig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storage container without a so-called bottle cap fastener.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병목이 없는 액체 저장 용기에 적용 가능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iquid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applicable to a liquid storage container free of bottleneck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체 저장 용기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외부로 연장한 상태의 일부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extends outward in a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저장 용기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용기 내에 내장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container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외부로 연장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extends outwar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액체 저장 용기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외부로 연장한 상태의 일부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extends outwar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체 저장 용기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용기 내에 내장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tainer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액체 저장 용기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가 외부로 연장한 상태의 일부 사시도.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extending outwar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shown in FIGS. 4 and 5;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액체 저장 용기 10: 용기 본체1: liquid storage container 10: container body

30: 유출 방향 변경 부재 33: 통로30: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33: passage

35: 주름부 40: 마개35: wrinkles 40: stopper

45: 고리 47: 마개 연결부45: collar 47: plug connection

50: 내장부 55: 함몰부50: internal portion 55: depression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체 저장 용기의 제1 형태는, (1)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2)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제공되는 내장부와, (3) 상기 내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내장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 (4)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마개를 포함한다.A first aspect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1) a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including a liquid inlet and outlet opening and configured to store liquid, and (2) the liquid inlet and outlet A pleat provided with a visceral por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adjacent to the opening, (3)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visceral portion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passes through the viscer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and provided inside An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including a part, and (4) a stopp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특히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상기 내장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내장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wrinkle part can be changed between a first state when it is shrunk and stored in the interior part, and a second state which has flexibility extending from the interior part and changing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liqui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개를 개방하여 액체 저장 용기 본체의 액체가 유출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주름부를 용기 본체 외부로 연장시켜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꺽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 약간만 기울이더라도 액체 저장 용기 본체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체 저장 용기와 같은 불편함이 제거된다. 그리고 액체를 손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병목이 없는 저장 용기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topper is opened to allow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to flow out, the pleats can be extended outside the container body to bend at a desired direction and angle. In this state, the entire liquid storage container is opened. Even if it is not tilted much, even if it is slightly tilted,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drain the liquid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orage container without the bottleneck.

본 고안의 저장 용기의 제2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와 상기 액체 저장 용기 사이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ainer of the first aspect, a depression is formed between the built-in portion and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이 함몰부를 제공함으로써 이 함몰부에 손가락 등을 넣어 상기 주름관을 용기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the depression, the corrugated pipe can be easi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by inserting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depression.

본 고안의 제3 형태의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가 상기 저장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of the 3rd form of this invention, the said stopper is formed in the said storage container main body in the container of a said 1st form or a 2nd form.

본 고안의 제4 형태의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가 유출 방향 변경 부재에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of the 4th form of this invention, in the said 1st form or 2nd form of container, the said stopper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to the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1)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1 incorporat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저장 용기(1)는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와,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와, 마개(40)를 포함한다.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는 고정부(31)와, 이 고정부(31)로부터 연장하는 주름부(35)를 포함하고, 그 내측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는 후술하는 내장부(50)의 내측 벽면에 접합되어 용기 본체(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진동 융착이나 회전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ncludes a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10 in which liquid is stored,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and a stopper 40.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includes a fixing portion 31 and a pleat portion 35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31, and a passage 33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is formed as a through hole therein. Formed. The fixing part 31 is bon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t-in part 5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10, it is bonded through the vibration fusion or rotation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process Can be.

용기 본체(1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장부(50)가 제공되는데 상기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는 수축한 상태일 때에 내장부(50)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된다. 내장부(50)와 용기 본체(10)의 연결부에는 함몰부(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마개(40)를 열고 내장부(50)에 수축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를 본체(10)외부로 용이하게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즉 이 함몰부(55)에 손가락 등을 넣어 주름부(35)를 잡아 당기면 용이하게 주름부가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is provided with a built-in portion 50,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is in the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ure 2 in the built-in portion 50 It is stored. It is preferable that a recessed portion 55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terior portion 50 and the container body 10, which opens the stopper 40 and is housed in a contracted state in the interior portion 50. This is to easily extend the 3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uts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recessed part 55 and pulls out the wrinkle part 35, the wrinkle part may be easily extended.

마개(40)는 용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데 통로(33)를 개폐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마개(4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리(45)를 마개(40)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40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33. And in order to facilitate opening of the stopper 40, it is preferable to form a ring 45 on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40.

도 3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체 저장 용기(1)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가 본체(10) 외부로 연장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extending out of the main body 10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주름부(3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축되어 내장부(50)에 수납되어 있는 제1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액체의 유출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상태인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부(35)의 가요성은 정상 상태에서는 주름부(35)의 연장 상태가 유지되지만, 소정의 힘 이상을 가하여 주름부(35)를 절곡시키면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특성을 의미한다.The pleats 35 of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are contracted as shown in FIG. 2 and housed in the built-in section 50, and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s shown in FIG. Deform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second state, which is a state that is flexible to extend and change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liqui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lexibility of the wrinkle part 35 means that the extension state of the wrinkle part 35 is maintained in the normal state, but when bending the wrinkle part 35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t means a property that is bent in a desired direction.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를 절곡시키면, 용기 본체(10)내의 액체는 그 절곡된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outflow direction change member 30 is bent in the desired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10 can flow out in the bent direction.

원하는 양만큼 유출한 다음에는 주름부(35)를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시키고 힘을 가해 내장부(50)에 수납되는 제1 상태로 수축시킨 후 마개(40)를 막으면 보관 상태로 복귀된다.After spilling by the desired amount, the wrinkles 35 are returned to the state shown in FIG. 3, and the force is shrunk to a first stat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part 50, and then the stopper 40 is blocked to return to the storage state. Is returned.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1)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름부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제2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용기는, 마개(40)가 연결 부재(47)에 의하여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ncorporating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leats are in the second state as defined above. The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stopper 40 is connected to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30 by the connecting member 47,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본 고안은, PET병, 유리병 등 액체 저장 용기 본체의 재질을 가리지 아니하고 적용이 가능하며, 그러한 재질 내지 종류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 저장 용기의 상부를 통하여 액체가 유출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출 방향 변경 부재는 액체 저장 용기의 상부 뿐만 아니라 측면 등 다른 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body such as PET bottle, glass bottle,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such material or type. And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for the technology that the liquid flow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other parts, such as the side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s well as the upper side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점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changes or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에 의하면,액체 저장 용기에 저정되어 있는 액체의 유출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 내의 액체를 음용을 위해서 따르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로 유출시킬 때에 많은 편의를 제공하게 되며, 특히, 병목이 없는 용기 본체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can be chang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ly, when the liquid in the storage container is poured out for drinking or for other uses, it provides a lot of convenience,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ontainer body without the bottleneck.

Claims (4)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A liquid reservoir container body including a liquid inlet and outlet opening and configured to store liquid thereon;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제공되는 내장부와,A viscera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adjacent to the liquid inlet and outlet openings; 상기 내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내장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includ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interior part and a pleat part extending through the interior part from the fixing part and provid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며,A stopp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상기 내장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내장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The said pleated part can be changed between the 1st state when it contracts and is accommodated in the said internal part, and the 2nd state which has the flexibility which can be extended out of the said internal part, and the flow direction of a liquid can be changed. Liquid storage container with built-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와 상기 액체 저장 용기 사이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built-in portion and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저장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 discharge direction change member formed in the storage container body.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에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pper contains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connected to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member by a connecting means.
KR20-2003-0032008U 2003-10-13 2003-10-13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KR2003393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08U KR200339393Y1 (en) 2003-10-13 2003-10-13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08U KR200339393Y1 (en) 2003-10-13 2003-10-13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393Y1 true KR200339393Y1 (en) 2004-01-24

Family

ID=4934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008U KR200339393Y1 (en) 2003-10-13 2003-10-13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3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1970C2 (en) Closure with one or more covers
EP2074053B1 (en) Dispensing closure
EP2184235B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ES2314221T3 (en) PAINT CONTAINER.
US7823756B2 (en) Alternative flexible gate restrictors
US20070181611A1 (en) Pump having a sealing mechanism
JP2009505920A (en) Liquid leakage prevention lid
JP2010502522A (en) Sealed body with protective lid
JP4630315B2 (en) Cap with lid
JP2000043902A (en) Liquid storage pouch
US6547105B1 (en) Plastic container and corresponding metering element with a closure
US7775400B2 (en) Rotatable, reclosable closure
KR200339393Y1 (en) Liquid Container Hous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JP6219088B2 (en) Dispensing container
KR20130060836A (en) Straw device for beverages container
JP3124569U (en) Container plug device
KR200335089Y1 (en) Liquid Container Hav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JP2008162673A (en) Cap and inversely-standable container having the same
US20020170930A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MXPA03002883A (en) Positive-orientation systems for closures and containers.
US5794824A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JP4294242B2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that can be fixed with the lid open
CN111867940B (en) Pour spout fitment for flexible container
JP5256013B2 (en) Pouring cap
JP7407548B2 (en) hinge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