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048Y1 -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048Y1
KR200339048Y1 KR20-2003-0032085U KR20030032085U KR200339048Y1 KR 200339048 Y1 KR200339048 Y1 KR 200339048Y1 KR 20030032085 U KR20030032085 U KR 20030032085U KR 200339048 Y1 KR200339048 Y1 KR 200339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rimary
construction waste
sorting
seconda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명헌
Original Assignee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벽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통체인 1차드럼과 2차드럼을 연결하여 구성되데, 1차드럼의 일측 단부가 2차드럼의 일측 단부와 일정한 거리(L) 만큼 겹쳐지게 결합되고, 1차드럼의 외면이 2차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T) 이격되게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드럼의 상기 2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지지대에 설치된 종동롤러의 외주면과 면접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드럼의 상기 1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면접되도록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되어 구성된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A sorting drum of construction waste matter regenerating system}
본 고안은 건축 폐기물 처리 장치의 선별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높이와 폭이 다른 다단의 통체로 구성되어 파쇄된 재생 골재가 다른 통체로 이동시 낙하에 의해 충격을 받아 통체에 형성된 배출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골재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골재 선별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노후에 따라 재건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재건축시 기존의 건축물은 철거하여야 하며 철거할 때에는 많은 양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물을 신축할 때에도 각종 건축 자재의 조각이 생기며 이러한 건축 폐기물들은 불에 의해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매립하는 것이 건축 폐기물의 처리 방법이다.
건축 폐기물의 양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매립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건축 폐기물이 야산이나 들에 그대로 방치되어 미관을 해침은 물론 자연 환경을 회손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건축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건설폐기물의 폐 콘크리트 및 석분 등의 원료를 투입하는 호퍼와, 공급된 원료로부터 철제 등 자성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기와, 풍력으로 나무조각 및 비닐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기와, 이물질이 제거된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파쇄된 건축폐기물로부터 분진 등 작은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용 드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 폐기물 재생 시스템에 구성된 골재 선별용 드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측벽에 형성된 배출공 사이의 간격이 좁히는데 한계가 있어 배출공사이에 막혀진 부분에 흙 등이 누적되어 배출공을 막게 되어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재생골재에 많은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의해 생산되는 재생 골재의 질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재생 골재의 생산량도 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드럼의 배출공이 막힘으로서 시간당 생산되는 재생골재의 양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출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간당 재생 골재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고 이물질을 충분히 배출시킴으로서 고품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골재 선별용 드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드럼 내부에서 건축 폐기물이 낙하되게 함으로서 이 건축 폐기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배출공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게 함으로서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골재 선별용 드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드럼만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종래의 선별용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1차드럼 20 : 2차드럼
30 : 3차드럼 40 : 지지프레임
50 : 망체판 51 : 배출공
60, 60' : 지지링 70 : 마찰링
80 : 구동롤러 90, 90' : 종동롤러
100 : 구동모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 폐기물을 파쇄하는 하나 이상의 파쇄기와,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금속을 분리하는 금속 선별기와,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불순물 선별기 및 각각의 장치들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이송콘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 폐기물 재생 시스템에 구비되어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골재 이외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골재 선별용 드럼에 있어서,
측벽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통체인 1차드럼과 2차드럼을 연결하여 구성되데, 1차드럼의 일측 단부가 2차드럼의 일측 단부와 일정한 거리(L) 만큼 겹쳐지게 결합되고, 1차드럼의 외면이 2차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T) 이격되게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드럼의 상기 2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지지대에 설치된 종동롤러의 외주면과 면접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드럼의 상기 1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면접되도록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드럼을 육각 통체 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드럼만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 드럼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드럼들(10, 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드럼들(10, 20)은 양단이 개방된 통체로서 벽면에는 다수의 배출공(5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드럼(10, 30)의 일측 단부에는 롤러들(80, 90, 9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링(60, 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들(10, 20)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크기 즉, 통체를 횡으로 절단하였을 때 통체 내부의 공간 면적의 크기가 다를 뿐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 유사하므로 1차드럼(10)만을 일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차드럼(10)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판체로 구성되며 정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육각형상을 갖는 다.
즉, 6개의 망체판(50)을 지지프레임(40)으로 결합하여 구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원형의 지지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망체판(50)을 지지프레임(40)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는 고강도의 리벳이나 고정볼트 또는 용접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손상된 망체판(5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볼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판(50)에는 다수의 배출공(51)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공(5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배출공(51)과 인접되게 형성하여 배출공(51)사이의 거리를 좁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51)을 육각으로 형성하고 서로 인전되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벌집 형상이 되게 함으로서 막혀있는 부분 즉, 배출공(51)과 배출공(51)사이의 간격을 아주 좁게 형성하여 드럼 내부의 이물질이 막혀있는 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1차드럼(1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육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망체판과 망체판이 연결되는 부분이 소정의 각을 이루게 되고 이 각의 변화에 따라 드럼의 내부에 투입되는 건축 폐기물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겨 건축 폐기물들 사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건축 폐기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차드럼(10)의 지지링(60')이 설치되지 않은 단부는 2차드럼(2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2차드럼(20)은 1차드럼(10)과 전체적인 형상은 유사하나 그 내부의 횡단면적이 상기 1차드럼(10)보다 넓어 일측 단부가 상기 1차드럼(10)의 일측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1차드럼(10)의 반대측 단부에 지지링(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드럼(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지지링(60)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갖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만들어진 마찰링(70)이 더 설치되어 그 일측에 구비된 구동롤러(80)의 회전에 의해 지지링(6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구동롤러(80)의 그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80)의 반대측에는 상기 지지링(6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종동롤러(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롤러들(80, 90, 90') 및 구동모터(100)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선별용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선별 드럼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드럼(10)과 2차드럼(20)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의 높이(T)는 가능한 높게 구성함으로서 1차드럼(10)으로부터 2차드럼(20)으로이송되는 건축 폐기물이 낙하하는 거리를 높여 충격을 가중시킬 수 있으나 높이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의 크기 차이가 커져야 하고 이러한 크기의 차이는 1차드럼(10)의 크기를 너무 축소시키게 되므로 약 15mm내지 30mm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의 높이(T)가 너무 높으면 1차드럼(10)으로부터 2차드럼(20)으로 낙하하는 골재에 의해 2차드럼(2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 드럼이 손상됨을 물론 드럼을 지지하는 각 롤러들(80, 90, 90')들이 파손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폰이는 상기와 같은 범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1차드럼(10)을 구성하고 있는 지지프레임(40)과 2차드럼(20)을 구성하고 있는 지지프레임(40)을 서로 용점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사이의 단턱 높이(T)가 높을 경우에는 금속 막대 등의 별도의 연결수단으로 각 지지프레임(40)을 연결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거리(L)만큼 겹쳐지게 구성되어 1차드럼(10)으로부터 이송되는 건축 폐기물은 2차드럼(2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1차드럼(10)과 2차드럼(20)이 서로 겹쳐지는 거리(L)는 10mm이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 겹쳐지는 거리(L)가 너무 좁아지면 1차드럼으로부터 이송되는 건축 폐기물이 2차드럼(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외부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차드럼(10)과 2차드럼(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드럼(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2단으로 구성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서 그럼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건축 폐기물 재생 골재가 각 단을 이동하며 다른 단의 드럼으로 낙하하여 드럼에 충격을 줌으로서 드럼에 형성된 배출공(5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보다 완활하게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그 횡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이나 팔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원통형으로 형성할 경우 그 내부의 건축 폐기물이 원형의 내면을 따라 그대로 선회할 수 있어 각을 갖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사각의 경우 드럼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 부분에 건축 폐기물이 쌓여 굳는 문제가 있으므로 육각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 고안에 따른 선별용 드럼은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어 건축 폐기물이 각 단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단으로 낙하하고 이 낙하하는 힘에 의해 드럼에 충격이 가해져 배출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의 선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미세한 모래나 시멘트 또는 나무나 종이 등을 분리하는 기능이 향상됨으로서 보다 고품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로 다양하게 변형,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건축 폐기물을 파쇄하는 하나 이상의 파쇄기와,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금속을 분리하는 금속 선별기와,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불순물 선별기 및 각각의 장치들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이송콘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 폐기물 재생 시스템에 구비되어 파쇄된 건축 폐기물로부터 골재 이외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재생 골재 선별용 드럼에 있어서,
    측벽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통체인 1차드럼과 2차드럼을 연결하여 구성되데, 1차드럼의 일측 단부가 2차드럼의 일측 단부와 일정한 거리(L) 만큼 겹쳐지게 결합되고, 1차드럼의 외면이 2차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T) 이격되게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드럼의 상기 2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지지대에 설치된 종동롤러의 외주면과 면접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차드럼의 상기 1차드럼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면접되도록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지지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드럼은 육각 통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드럼은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망체판과 상기 망체판이 서로 만나는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망체판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망체판은 고정볼트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4.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육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벌집의 형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드럼에 설치된 지지링의 외주면에는 구동롤러와의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마찰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드럼과 2차 드럼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드럼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 드럼의 일측 단부는 상기 1차드럼의 일측 단부와 겹쳐지게 설치되데, 1차드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1차드럼으로부터 이송되는 건축폐기물이 보조 드럼의 내부로 낙하되게 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2차드럼의 일측 단부와 겹쳐지게 설치되데, 상기 2차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보조드럼으로부터 이송되는 건축폐기물이 2차드럼의 내부로 낙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KR20-2003-0032085U 2003-10-13 2003-10-13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KR200339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85U KR200339048Y1 (ko) 2003-10-13 2003-10-13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085U KR200339048Y1 (ko) 2003-10-13 2003-10-13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959A Division KR20050035378A (ko) 2003-10-13 2003-10-13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048Y1 true KR200339048Y1 (ko) 2004-01-16

Family

ID=4942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085U KR200339048Y1 (ko) 2003-10-13 2003-10-13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0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663B1 (ko) * 2019-06-26 2020-12-17 이나라 굼벵이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663B1 (ko) * 2019-06-26 2020-12-17 이나라 굼벵이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1107307B1 (ko)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KR101217241B1 (ko) 회전 트롬멜의 햄머 및 패들의 회전 마찰을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생산 장치
JP2007090323A (ja) 粉砕装置及び方法
KR100854656B1 (ko) 폐전주 재활용 방법에 사용되는 파쇄장치
JP4001194B2 (ja) 建設混合廃棄物の選別処理設備
KR102325696B1 (ko) 건설폐기물 분리선별시스템
KR100936291B1 (ko) 매립폐기물과 오염 토양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358899B1 (ko) 폐콘크리트 골재화장치
KR20050035378A (ko)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US5632380A (en) Ferrous material recovery system
KR101550491B1 (ko) 산업 폐기물 및 지금고철 순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1822922B1 (ko) 회전 트롬멜과 타격햄머를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KR200339048Y1 (ko)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CN116889914A (zh) 基于固粉分离的建筑施工用垃圾回收设备
KR19990017560A (ko)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KR102418742B1 (ko) 분리 가능한 폐기물 분쇄기용 파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분쇄기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1096264A (ja) コンクリート破砕・分別装置
JP3748840B2 (ja) ロールクラッシャーの排出補助装置
CN213078605U (zh) 一种建筑垃圾破碎分选系统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