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554Y1 -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 Google Patents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554Y1
KR200338554Y1 KR20-2003-0032490U KR20030032490U KR200338554Y1 KR 200338554 Y1 KR200338554 Y1 KR 200338554Y1 KR 20030032490 U KR20030032490 U KR 20030032490U KR 200338554 Y1 KR200338554 Y1 KR 200338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lumn
height
shaped holder
moving
sta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철우
Original Assignee
동명통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통산(주) filed Critical 동명통산(주)
Priority to KR20-2003-0032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5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55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Abstract

본 고안은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되는 부품박스의 무게에 관계없이 부품박스의 상단부가 일정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ing device used in the production site, and to a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to maintain the upper end of the component box at a certain heigh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component box to be loaded.

이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진 한쌍의 가이드 컬럼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컬럼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제 1, 제 2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컬럼부와; 상기 가이드 컬럼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컬럼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L자 거치대와; 일단이 상기 L자 거치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컬럼부 또는 이동프레임과 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olumn portion consisting of a pair of guide columns vertic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guide columns; A moving fram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column; An L-shaped holder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reciprocating on the guide column; One end is coupled to the L-shaped holde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stack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coupled to the guide column or moving frame.

Description

높이조절 적재장치{Height control loading device}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본 고안은 높이조절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되는 박스의 무게에 상관없이 박스 상단부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sta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ck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box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box to be loaded.

공장의 생산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박스단위로 적재되어 있어서, 생산설비의 위치로 부품박스를 이동하여 작업대 옆으로 위치를 고정시키고 부품을 상기 부품박스로부터 작업대로 가져가 부품의 가공 작업을 행하게 된다.In the factory production site, various kinds of parts are stacked in box units, moving the parts box to the position of the production equipment to fix the position next to the workbench, and taking the parts from the parts box to the workbench to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parts. do.

이러한 부품박스의 적재 및 이동 그리고 부품가공작업에 사용되는 종래의 적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적재장치의 거치대(13)에 부품박스를 적재하여 작업대에 이동시킨 후, 상기 부품박스에서 부품을 집어 작업대에 배치하여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 중에는, 특히, 금형으로 고무를 성형하는 작업에 있어서 스틸(steel)을 상기 성형고무에 본딩하는 작업이 병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여기서 본딩 재료에 의한 원활한 본딩이 행해지도록 상기 스틸을 예열기에서 예열하는 중간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틸을 담은 박스가 부품박스에 해당하고, 상기 금형 및 예열기가 작업대에 해당하게 된다. 즉, 상기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스틸을 부품박스로부터 이송하여 상기 예열기에 넣고 일정시간 예열한 다음, 예열된 스틸을 금형에 넣어 성형고무와 본딩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loading device used for the loading and moving of the component box and the machining of parts is as shown in FIG. 1. After loading the component box on the cradle 13 of the stacking device and moving it to the workbench, the component box is picked up and placed on the workbench. During such work,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molding rubber with a mold, the work of bonding steel to the molding rubber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herein the steel is preheated in a preheater so that smooth bonding by a bonding material is performed. An intermediate process is needed. At this time, the box containing the steel corresponds to the component box, the mold and the preheater corresponds to the workbench. That i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peration, first, the steel is transferred from the component box, placed in the preheater, preh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preheated steel is put into a mold and bonded with the molding rubber.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품박스를 거치대(13)로부터 작업대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작업거리가 수직으로 길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과정이 반복되어 작업자의 인체에 무리가 가해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예에서와 같이 금형, 예열기 등의 대부분의 작업대는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성인의 허리높이 정도의 일정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상에서의 이러한 반복적 이송작업상의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arts box from the holder 13 to the workbench, as the working distance is vertically lengthened, the worker bends and unfolds the process repeatedly so that the worker's body is exerted and the work time is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of lengthening. In particular, as in the above example, most of the workbenches such as molds, preheaters, etc. maintain a constant height as high as the waist height of an adult so that a worker can work comfortably, and thus there existed problems in this repetitive transfer operation in the work.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장치에 적재된 부품박스로부터 부품을 작업대로 이송하여 작업하는 경우에 있어 이송과정의 효율을 향상시켜 작업상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fer process in the case of working by transferring the parts from the component box loaded in the stacking device to the workbench,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도 1은 종래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ading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높이조절 적재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loading device of FIG.

도 4a, 도 4b는 도 2의 일 구성요소인 L자 거치대를 나타내는 전방측 및 후방측 사시도이다.4A and 4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L-shaped holder that is one component of FIG. 2.

도 5는 도 2의 일 구성요소인 높이조절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one component of FIG.

도 6은 도 2의 일 구성요소인 L자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shaped holder of one componen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가이드 컬럼부 111 : 가이드 컬럼110: guide column 111: guide column

113 : 제 1 지지봉 115 : 제 2 지지봉113: first support rod 115: second support rod

120 : 이동프레임 121 : 스프링 지지부120: moving frame 121: spring support

121a : 지지고리 130 : L자 거치대121a: support ring 130: L-shaped holder

131 : 거치부 133 : 슬라이드부131: mounting portion 133: slide portion

135 : 롤러바퀴 140 : 높이조절수단135: roller wheel 140: height adjustment means

141 : 스프링 143 : 회전풀리141: spring 143: rotating pulley

145 : 체인 233a : 슬라이딩 부재145: chain 233a: slid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진 한쌍의 가이드 컬럼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컬럼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제 1, 제 2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컬럼부와; 상기 가이드 컬럼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컬럼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L자 거치대와; 일단이 상기 L자 거치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컬럼부 또는 이동프레임과 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column portion consisting of a pair of guide columns vertic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guide columns; A moving fram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column; An L-shaped holder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reciprocating on the guide column; One end is coupled to the L-shaped holde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stack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coupled to the guide column or moving frame.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L자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컬럼과 롤러결합하는 복수의 롤러회전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ing means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shaped cradle,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 rotating portion for roller coupling with the guide column.

또한,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L자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컬럼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shaped holder,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ides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column.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제 1 지지봉 상에 설치된 회전풀리와, 일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회전풀리에 감기며 타단이 상기 L자 거치대에 연결된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spring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a rotating pulley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rod, one end connected to the spring, an intermediate part wound on the rotating pulle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shaped holder. It is preferable to b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hai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적재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컬럼(111)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컬럼부(110)와, 상기 가이드 컬럼부(110)의 하단에 설치된 이동프레임(120)과, 상기 가이드 컬럼(111)과 롤러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컬럼(111)상에서 왕복운동하는 L자 거치대(130)와, 양단이 각각 상기 L자 거치대(130) 및 상기 이동프레임(120)과 결합된 높이조절수단(140)으로 구성된다.Height adjustment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guide column portion 110 consisting of a pair of guide columns 111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and the guide column portion ( The movable frame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110, the L-shaped holder 130 reciprocating on the guide column 111 by roller coupling with the guide column 111, and both ends of the L-shaped holder 130 )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40 coupled with the moving frame 120.

가이드 컬럼부(110)는, 단면이 ㄷ자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어 나란하게 세워진 한쌍의 가이드 컬럼(111)과, 상기 가이드 컬럼(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수평으로 상기 가이드 컬럼(111) 상호간을 연결 지지하는 제 1 지지봉(113) 및 제 2 지지봉(11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guide column 110 includes a pair of guide columns 111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and face each other, and the guide columns 111 are horizontally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column 111. It is comprised by the 1st support rod 113 and the 2nd support rod 114 which support and support.

이동프레임(120)은, ㄷ자로 형성되어 각 모서리부에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컬럼(111)의 각 하단이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ㄷ자 형상의 각 단부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20)은 상기 가이드 컬럼부(110)의 후방으로 고정결합된 스프링지지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121)는 그 상면에 볼트결합된 복수의 지지고리(121a)가 구비되어, 이에 의해 후술할 높이조절수단(140)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oving frame 120 is a frame having wheels formed at corners formed at the letter C, and as shown in FIG. 2, each lower end of the guide column 111 is formed at the angle of the letter C of the moving frame 120.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And, as shown in Figure 2, the movable frame 120 includes a spring support 121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guide column 110. The spring support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ings 121a bolt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reby supporting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40 to be described later.

L자 거치대(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한 거치부(131)와, 상기 거치부(131)의 일측변에 수직으로 결합된 슬라이드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33)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슬라이딩을 위한 이동수단(135)으로서 상기 ㄷ자의 양 날개부(133a)를 관통하는 복수의 롤러바퀴(1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L자 거치대(130)는 상기 롤러바퀴(135)의 양단에 배치된 롤러(135a)가 상기한 한쌍의 가이드 컬럼(111)의 ㄷ자 홈부에 롤러결합된다(도 3 참조). 이로써, 상기 L자 거치대(130)는, 상기 가이드 컬럼(111)을 따라 상기 롤러(135a)가 구르게 됨으로써 가이드 컬럼(111)을 따라 왕복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A, the L-shaped holder 130 includes a horizontally mounted mounting portion 131 and a slide portion 133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31. The slide portion 133 has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s shown in FIG. 4B, a plurality of roller wheels passing through the U-shaped wings 133a as the moving means 135 for sliding thereof. 135 is provided. In the L-shaped holder 130, rollers 135a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wheel 135 are roller-coupled to the U-shaped groove portions of the pair of guide columns 111 (see FIG. 3). As a result, the L-shaped holder 130 is reciprocated along the guide column 111 by rolling the roller 135a along the guide column 111.

높이조절수단(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지지부(121) 상에 결합된 지지고리(121a)에 연결되는 스프링(141)과, 상기 제 1 지지봉(113) 상에 설치된 회전풀리(143)와, 일단이 상기 스프링(141)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회전풀리(143)에 감기며 타단이 상기 L자 거치대(130)의 상부 롤러바퀴(135)에 연결된체인(1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41)은 양단에 스프링고리(141a)가 형성되어 하단의 스프링고리(141a)로는 상기 지지고리(121a)에 결합되고, 상단의 스프링고리(141a)로는 상기 체인(145)의 끝단과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의 설치에 의해 상기 L자 거치대(130)가 상기 가이드 컬럼(111)상에서 왕복운동하는 것을 조절하게 된다.Height adjustment means 140, as shown in Figure 5, the spring 14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ing 121a coupled on the spring support 121, and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rod 113 Rotating pulley 143,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pring 141, the middle portion is wound on the rotation pulley 14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roller wheel 135 of the L-shaped holder 130 chain 145 It consists of. Here, the spring 141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pring ring 141a is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1a as a spring ring 141a at the bottom, and the chain 145 as the spring ring 141a at the top. Engage with the ends. By instal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140, the L-shaped holder 130 is controlled to reciprocate on the guide column 1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가 되기 전 상태의 스프링(141)에는 L자 거치대(130)의 무게에 해당하는 인장력만이 작용하고, 이때의 상기 L자 거치대의 높이를 영점으로 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점은 작업자의 허리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작업상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거치부(131)에 부품박스 등을 적층하여 적재하는 경우, 하나의 부품박스가 적재된 때에는 스프링(141)에 인장력이 적게 미쳐 상기 스프링(141)은 조금,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품박스의 박스높이만큼 늘어나게 되어 부품박스의 높이가 결국 영점과 일치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부품박스가 적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41)에 인장력이 하나의 부품박스의 경우의 두배로 작용하게 되어 스프링 인장 또한 두배로 늘어나게 되어, 결국 부품박스이 높이는 다시 영점에 맞추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거치부(131)에 거치되는 부품박스의 개수에 관계없이 작업대상인 부품박스는 항상 영점에 위치해 있게 된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only the tensile forc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L-shaped cradle 130 acts on the spring 141 in the state before loading, and the height of the L-shaped cradle is zero. Here, the zero point is preferably at the height of the waist of the worker. Then, in the case of stacking the component box, etc. in the mounting portion 131, when one component box is stacked, the spring 141 has a small tensile force, the spring 141 is a little, more specifically the The height of the component box is increased by the height of the component box so that the height of the component box eventually coincides with zero. On the other hand, when two component boxes are loaded, the tension force acts on the spring 141 twice as in the case of one component box so that the spring tension is also doubled, so that the component box is set to zero again. By this principle, the component box to be worked on is always located at zero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mponent boxe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31.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적재장치의 구성요소 중, 상기 L자 거치대의 슬라이딩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상기 롤러바퀴 대신 슬라이딩 부재에 의할 수도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거치대(230)의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부(233)의 양측 날개부에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 부재(233a)가 측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각 슬라이딩 부재(233a)의 마주보는 측면간에는 복수의 지지봉(235)에 의해 고정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L자 거치대(230)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33a)가 상기 가이드 컬럼(111) 상에서 슬라이딩결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슬라이딩운동에 의해 상기 L자 거치대(130)가 상기 가이드 컬럼부(110) 상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ving means for sliding the L-shaped holder, may be by a sliding member instead of the roller wheel.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L-shaped holder 230, the c-shaped sliding member 233a protruding laterally symmetrically on both wings of the slide portion 233, , Between the opposite sides of each sliding member 233a are fixed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rods 235. According to the L-shaped holder 230 of this configuration, the sliding member 233a is slidingly coupled on the guide column 111, the L-shaped holder 130 is the guide column portion by the sliding movement accordingly Up and down the reciprocating motion (1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 적재장치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 적재장치에 적재되는 부품박스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대로 부품이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mponent box to be loaded on the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is always kept constant so that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carry out parts transfer to the workbench. Productivity is improved.

Claims (4)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진 한쌍의 가이드 컬럼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컬럼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제 1, 제 2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컬럼부와;A guide column portion comprising a pair of guide columns vertic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guide columns; 상기 가이드 컬럼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프레임과;A moving fram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column; 상기 가이드 컬럼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L자 거치대와;An L-shaped holder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reciprocating on the guide column; 일단이 상기 L자 거치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컬럼부 또는 이동프레임과 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One end is coupled to the L-shaped cradle, the other end is a height adjustment means coupled to the guide column or the moving frame; Height adjustment load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The means for moving, 상기 L자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컬럼과 롤러결합하는 복수의 롤러회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shaped holder,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 rotating portion for roller coupling with the guide colum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The means for moving, 상기 L자 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컬럼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shaped holder, height-adjusting st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ides slidingly coupled with the guide colum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상기 이동프레임에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제 1 지지봉 상에 설치된 회전풀리와, 일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회전풀리에 감기며 타단이 상기 L자 거치대에 연결된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적재장치.A spring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a rotating pulley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rod,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an intermediate part of which is wound on the rotating pulle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shaped cradle Adjustable stacker.
KR20-2003-0032490U 2003-10-16 2003-10-16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KR2003385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90U KR200338554Y1 (en) 2003-10-16 2003-10-16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90U KR200338554Y1 (en) 2003-10-16 2003-10-16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554Y1 true KR200338554Y1 (en) 2004-01-16

Family

ID=4942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90U KR200338554Y1 (en) 2003-10-16 2003-10-16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55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7262B2 (en) 2020-01-31 2023-11-28 John Stephen Lanphear Adjustable height multi shelf c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7262B2 (en) 2020-01-31 2023-11-28 John Stephen Lanphear Adjustable height multi shelf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060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work piece from a first machine to a second machine
US4400984A (en) Handling mechanism for a rectilinear movement with connecting perpendicular movement segments at the ends
CN107932365A (en) A kind of positioning turning device of template material
CN100506421C (en) Conveying device
CN1128965A (en) Transfer device in a forming machine, in particular in a transferpress
KR200338554Y1 (en) Height control loading device
KR101658986B1 (en) Pipe Forming Machine
CN105883404A (en) Five-axis carrying manipulator
CN101157107B (en) Manipulator slamping pressing automated production transfer transition bench
JP2977658B2 (en) Press transfer equipment
CN218987930U (en) Novel feeding and discharging device in synchronization
KR101484451B1 (en) Multiple spindle bending machine for steel pipes bending
CN109843466B (en) Workpiece conveying device
JP2911289B2 (en) Press machine transfer equipment
CN210756648U (en) Guardrail structure of workpiece conveying device
KR200409609Y1 (en) Feeder system for controlling a pitch of press
CN208232367U (en) A kind of reciprocating hold-down devices
CN207430989U (en) Aluminium section bar bending system
CN218595304U (en) Conveying mechanism
EP1132159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 tools
CN109641258B (en) Workpiece conveying device
CN216574957U (en) Straightening device for laser cutting machine and laser cutting machine
CN218618644U (en) Height-adjustable transmission chain conveyor
CN220739207U (en) Prefabricated part finished product punch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CN215092886U (en) Superfinishing device and superfinishing machine equipp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