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501Y1 -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501Y1
KR200338501Y1 KR20-2003-0031967U KR20030031967U KR200338501Y1 KR 200338501 Y1 KR200338501 Y1 KR 200338501Y1 KR 20030031967 U KR20030031967 U KR 20030031967U KR 200338501 Y1 KR200338501 Y1 KR 200338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blocking plate
cap
vis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선희
Original Assignee
안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선희 filed Critical 안선희
Priority to KR20-2003-0031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얼굴부위의 차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자에 있어서, 모자챙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의 저면에 중첩되어 구비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를 제공함으로써, 직사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의 유해함으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큰 유익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A cap having apparatus for intercept ultraviolet rays}
본 고안은 야외활동시 얼굴부위의 차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챙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의 저면에 중첩되어 구비되는 차단판이 포함된 것으로 이루어져 직사광선으로 부터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비타민 D의 합성을 촉진하여 구루병을 억제하고 살균작용에 의한 환경을 조성을하는 등의 유익한 면도 있지만, 피부염 및 피부암을 일으키거나 각종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는 유해한 면도 가지고 있다.
자외선은 그 파장의 길이에 따라 A(장파장 자외선: UV-A : 320㎚~400㎚), B(중파장 자외선: UV-B : 290㎚~320㎚), C(단파장: UV-C : 200㎚~290㎚)형으로 나눠지는데, 인체에 가장 유해한 단파장 자외선(UV-C)은 성층권의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는 반면, 중파장 자외선(UV-B)에 비해 약 1/1000배 더 피부 투과력이 센 장파장 자외선(UV-A)은 썬텐시 피부색을 검게 만드는 주요 인자로, 피부를 이것에 장시간 또는 빈번하게 노출시키게 되면 반복적 피폭에 의한 피부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또, 중파장 자외선(UV-B)은 장파장 자외선(UV-A) 보다 피부 깊숙히 침투하지는 않지만, 에너지가 크고 진피 혈관을 확장시켜 피부를 빨갛게 붓게 하거나, 수포를 발생시켜 화상(sunburn)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우기 산업화와 더불어 함할로겐가스, 프레온가스 등이 대기중으로 과량 방출되어 오존층을 파괴함으로서, 보다 많은 양의 자외선이 지표면에 도달하고 있으며, 오존층의 농도가 1% 감소하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은 2% 증가하고, 피부암의 발생율은 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다방면에서 직사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이 지닌 유해성을 막기 위한 진보된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종래에 실시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3752호 및 제 20-0260947호에서 모자에 관련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챙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1a를 참조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3752호에서 개시한 기술의 내용을 살펴보면, 머리에 착용되는 모자부(5)와; 상기 모자부(5)의 내부 양측에 가이드홈(1a)이 형성된 한쌍의 보조부재(1)와; 상기 모자부(5)의 내측 전방에 마련되며, 전방이 개구된 케이싱부(3);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a)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돌출부(2)와; 상기 케이싱부(3) 내부에 수납 가능하며, 눈과 얼굴의 일부를 가릴수 있는 빛차단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빛차단부가 설치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3752호의 빛차단부가 설치된 모자의 경우, 일반적인 모자에 빛차단부(4)를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서 눈과 얼굴의 일부를 가리게 하는 고안의 목적이나, 상기 빛차단부(4)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싱부(3)를 마련하여 빛차단부(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수단(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3752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빛차단부(4)의 자외선 차단 영역이 눈과 얼굴의 국소부위에 한정됨으로 인해 썬글라스 등과 같은 타 수단의 이용효과를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빛차단부(4)를 결합시켜 주는 구성요소 즉, 가이드홈(1a)이 형성된 한쌍의 보조부재(1)와 상기 가이드홈(1a)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돌출부(2)가 상기 모자부(5)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구성으로 인해, 상기 빛차단부가 설치된 모자는 착용후 약간의 시간이 흐르고 나면, 상기 보조부재(1) 및 돌출부(2)에 의해 착용자의 관자놀이 및 머리의 특정부위가 압지되어 통증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빛차단부가 설치된 모자는 상기 빛차단부(4)를 사용하고자 할 때 마다 매번 모자를 벗고 상기 빛차단부(4)를 조정한 뒤, 착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운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첨부된 도면 1b를 참조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60947호에서 개시한 기술의 내용을 살펴보면, 모자에 부착되는 모자챙(6) 하측으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칼라 투명지로 형성된 보조챙(4')을 모자챙(6)과 봉재부(7)로 결합한 것으로, 상기의 보조챙(4')은 모자챙(6)과 봉재되지 않는 외주면으로 실리콘 테두리(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기능을 갖는 보조챙이 형성된 모자챙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60947호의 차양기능을 갖는 보조챙이 형성된 모자챙 역시,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3752호의 빛차단부가 설치된 모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수단을 구성요소로 하여 차양 및 빛의 차단을 기하고자 하는 고안의 목적이 동일 또는 유사한 분야의 기술로, 이것 또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다소 해소할 수 있는 면이 없지 않으나, 효과면에서 썬글라스 등과 같은 타 수단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하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특히, 상기 보조챙이 형성된 모자챙의 경우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보조챙(4')이 상기 봉재부(7)에 의해 모자챙(6)에 박음질 되어 있으므로 탈·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자챙(6)에 상기 보조챙(4')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때에 따라, 유지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의 어려움이 유발되며, 상기 보조챙(4')은 상기 모자챙(6)의 외측 봉재부(7)를 회동기준점으로 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개되는 구성상의 특징으로인해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과 보조챙(4')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므로 측면으로 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에 대한 차단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자챙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의 저면에 중첩되어 구비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직사광선으로 부터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는, 머리에 착용하는 캡부(50)와; 상기 캡부(50)의 전방에 결합되며 차양을 위해 마련된 모자챙(60)과;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80)와; 상기 힌지결합부(8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60)의 저면에 중첩되어 있는 차단판(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부(80)는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마련된 힌지홈(81)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마련된 힌지돌기(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는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끝단부에 구비되는 멈치돌기(92)와;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멈치홈(9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90)이 추가로 더 구성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일실시예에 의한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챙을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의 결합 구성요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 캡부 60 : 모자챙
70 : 차단판 80 : 힌지결합부
81 : 힌지홈 82 : 힌지돌기
90 : 고정수단 91 : 멈치홈
92 : 멈치돌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판의 결합 구성요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얼굴부위의 차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자는 머리에 착용하는 캡부(50)와 상기 캡부(50)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힌지결합부(80)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결합부(8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차단판(70)을 구성시킨 것으로, 상기 차단판(70)의 형상은 상기 모자챙(60)의 형상을 따르되, 크기는 상기 모자챙(60)의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 폭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비율로 축소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차단판(70)은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을 위해 다양한 색상의 칼라 투명판으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며, 구부림과 같은 형상의 변화가 용이하고 복원능력이 뛰어난 유연한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를 착용한 상태 즉, 상기 모자챙(60)의 저면에 상기 차단판(70)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눈부심 등으로 인한 자외선의 차단을 요할시에는 상기 차단판(70)을 아랫쪽으로 회동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80)는 상기 차단판(70)의 회동기준점이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힌지결합부(80)에 의해 상기 차단판(70)이 회동됨은 물론, 힌지결합부(80)의 압지력에 의해 차단판(70)의 차단각이 임의적으로 조절가능하게되며, 상기 차단판(70)이 모자챙(60)으로 부터 아랫쪽으로 회동될수록 양쪽 가장자리는 수축되고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동기준점이 되는 힌지결합부(80)측 상단의 만곡각이 최대가 되고, 아랫쪽으로 내려올수록 점점 줄어들어 차단판(70)에 의한 자외선 차단면이 넓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70)의 차단각이 최적의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안면 윤곽을 따라 차단면이 형성됨으로서, 자외선의 차단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80)를 힌지홈(81)과 힌지돌기(82)로 이원화시킴으로써, 상기 구성의 특성외에 차단판(70)의 탈·착이 자유로운 특징을 부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홈(81)은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일지점에 형성되되,모자챙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모자챙(60) 속으로 내삽되며, 상기 힌지돌기(82)는 차단판(70)의 내측 일지점에 마련되며, 상기 차단판(70)을 관통해서 압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70)의 이용이 불필요한 경우 차단판(70)을 손쉽게 분리하여 일반적인 모자의 용도로도 활용성을 높일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부수적인 구성요소로서,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끝단부에 구비되는 멈치돌기(92)와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멈치홈(9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90)이 추가로 더 구성된다.
상기 멈치돌기(92)는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지리 양끝단부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힌지결합부(80)와 근접한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멈치홈(91)은 모자챙(60)의 저면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차단판(70)의 차단각이 최적의 상태로 회동되었을때의 상기 멈치돌기(92)에 의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따라 구성되어지는 고정수단(90)은 상기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의 차단판(70)을 재치했을때, 상기 힌지결합부(80)의 압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차단판(70)의 고정을 더욱 더 확실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판(70)의 스톱멈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시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얼굴부위의 차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자에 있어서, 모자챙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의 저면에 중첩되어 구비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를 제공함으로써, 직사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의 유해함으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큰 유익한 고안이다.
또한, 간편한 구성으로 생산성이 높을뿐만 아니라, 원가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가 기대되며, 자외선 차단을 위한 특정 목적외 일반적인 모자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석이조의 실용성이 매우 높은 고안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기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야외활동시 차양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자에 있어서,
    머리에 착용하는 캡부(50)와; 상기 캡부(50)의 전방에 결합되며 차양을 위해 마련된 모자챙(60)과;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결합부(80)와; 상기 힌지결합부(8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자챙(60)의 저면에 중첩되어 있는 차단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80)는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마련된 힌지홈(81)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측 일지점에 마련된 힌지돌기(8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70)의 탈·착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70)의 내측 가장자리 좌·우 양끝단부에 구비되는 멈치돌기(92)와; 상기 모자챙(6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멈치홈(91)으로 이루어지는고정수단(90)이 추가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KR20-2003-0031967U 2003-10-11 2003-10-11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KR200338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67U KR200338501Y1 (ko) 2003-10-11 2003-10-11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67U KR200338501Y1 (ko) 2003-10-11 2003-10-11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501Y1 true KR200338501Y1 (ko) 2004-01-16

Family

ID=4942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967U KR200338501Y1 (ko) 2003-10-11 2003-10-11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5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34U (ko) * 2018-08-14 2020-02-24 임창선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102209436B1 (ko) * 2020-09-25 2021-01-29 김진복 안면보호 및 자외선 차단용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34U (ko) * 2018-08-14 2020-02-24 임창선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0491376Y1 (ko) * 2018-08-14 2020-03-27 임창선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102209436B1 (ko) * 2020-09-25 2021-01-29 김진복 안면보호 및 자외선 차단용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9815A (en) Eyelid shield
KR100266995B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101375532B1 (ko) 헤어밴드 겸용 자외선 보호 가리개 및 그 제조방법
KR200338501Y1 (ko) 자외선 차단판이 구비된 모자
US7051371B2 (en) Sun mask towel
KR101669500B1 (ko) 회전형 썬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36303Y1 (ko) 자외선차단 차양모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KR200469916Y1 (ko) 차양이 구비된 마스크
KR200363387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200468100Y1 (ko) 썬캡
KR20000072483A (ko) 차광모자
KR200246437Y1 (ko) 보조차양이 구비된 자외선 차단용 차양모
KR200289886Y1 (ko) 썬캡 겸용 모자
KR200366118Y1 (ko) 자외선차단 모자챙
KR200208074Y1 (ko) 접이식 차양을 갖는 모자
KR100300657B1 (ko) 모자
KR200196269Y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231986Y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CN211092082U (zh) 一种遮阳帽
KR200379221Y1 (ko) 보조커버가 형성된 차광모자
KR200323339Y1 (ko) Uv 차단 기능을 갖는 1회용 안면 마스크
KR200308833Y1 (ko) 선캡
KR200369583Y1 (ko)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