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569Y1 -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 Google Patents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569Y1
KR200337569Y1 KR20-2003-0030456U KR20030030456U KR200337569Y1 KR 200337569 Y1 KR200337569 Y1 KR 200337569Y1 KR 20030030456 U KR20030030456 U KR 20030030456U KR 200337569 Y1 KR200337569 Y1 KR 200337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guide tube
lifting
pump
hollow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윤정
Original Assignee
문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윤정 filed Critical 문윤정
Priority to KR20-2003-0030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5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5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식 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가 싱크대 받침장 상에 싱크 구조로서, 상기 싱크대 받침장의 저판의 상면 중앙 및 4곳의 코너에, 중공의 가이드관과 상기 중공 가이드관 내에 삽입되어 중공 가이드관 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승강지주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승강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싱크대의 저면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수단 중 중앙의 가이드 수단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ink structure, wherein the sink is a sink structure on the sink support base,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uide tube and the hollow guide tube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and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support cabinet to be hollow. A guide means composed of an elevating column which slides up and down in the guide tube is install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ink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lumn of the guide unit by welding. Elevating means is provided.

Description

승강식 싱크 구조{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Retractable sink structure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본 고안은 승강식 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가 싱크대 받침장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식 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ink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sink structure is configured so that the sink is detachable from the sink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can be lifted by the lifting means.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싱크대 받침장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높이가 싱크대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의 평균 신장에 맞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장이 평균보다 상당히 크거나 작은 경우에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어깨를 들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허리와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In general, the sink is installed on the sink base, the height of which is fixed to the average height of the woman who mainly uses the sink. Therefore, when the user's height is significantly larger or smaller than the average, the user must bend the waist or lift the shoulders, causing pain in the user's back and shoulder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싱크대 받침장의 다리에 조절나사를 부설하여 싱크대 받침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싱크대 받침장의 초기 설치시에만 조절나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싱크대 받침장의 내부에는 냄비, 프라이팬 등의 그릇이 수납되어 있어 싱크대 받침장의 무게가 상당히 나가므로, 이러한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조절나사를 사용자에 의해 조절하기가 힘이 많이 들게 되는데, 특히 싱크대 받침장을 받치고 있는 4개의 다리들 중 싱크대 받침장 안쪽의 2개의 다리에 부설된 조절나사를 사용자에 의해 조절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has been developed to install the adjustment screw on the leg of the sink support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ink supporter, but this also has the problem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djustment screw only during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sink supporter. . In more detail, the inside of the sink base is equipped with a bowl of pots, pans, etc., so that the weight of the sink base is considerably high,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djustment screw supporting the weight by the user. In particular, among the four legs supporting the sink base,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adjusting the adjustment screw attached to the two legs inside the sink base by the user.

따라서, 주부 이외의 다른 사람, 즉, 남편, 자식, 친척, 친구 등이 설거지를 하게 될 때, 설거지하는 사람이 주부와 신장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 그 때마다 싱크대 받침장 다리에 부설된 조절나사를 조절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드는 작업이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싱크대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허리나 어깨의 통증을 감수하게 된다.Therefore, when someone other than the housewife, ie husband, child, relative, friend, etc., washes the dishes, and the person who washes the dishes has a large height difference from the housewife, each time the adjustment is placed on the sink legs of the sink Adjusting the screws is a very cumbersome and laborious task, so most users will suffer pain in the lower back or shoulders withou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nk.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가 싱크대 받침장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싱크대 받침장 내에서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싱크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structure in which the sink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ink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the sink structure is installed by the lifting means in the sink support.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abl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결합 사시도,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abl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횡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5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도 5의 (b)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5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도 6의 (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가압링의 단면도,Figure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ring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로킹링의 단면도,Figure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ring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결합 사시도,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abl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결합 사시도, 및9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abl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의 승강수단의 종단면도이다.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means of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승강식 싱크 구조는, 싱크대가 싱크대 받침장 상에 싱크 구조로서, 상기 싱크대 받침장의 저판의 상면 중앙 및 4곳의 코너에, 중공의 가이드관과 상기 중공 가이드관 내에 삽입되어 중공 가이드관 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승강지주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승강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싱크대의 저면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수단 중 중앙의 가이드 수단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is a sink structure on the sink base,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base, and the hollow guide tube The guide means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uide tube and made of a lifting column which slides up and down in the hollow guide tube is install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lumn of the guide means by welding, The eleva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enter guide means among the guide means.

이하,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for an Example.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싱크 구조는 싱크대 받침장의 저판의 상면 중앙 및 4곳의 코너에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수단의 승강지주의 상단부에 싱크대의 저면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되, 중앙의 가이드 수단에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이다.In the lifting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a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and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base, and the bottom of the sink is integrally attached by welding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lumn of the guide means. The lifting means are provided in the guide means.

가이드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가이드관(31)과 이 중공 가이드관(31) 내에 삽입되어 중공 가이드관(31) 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승강지주(33)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 가이드관(31)은, 그 저부에 플랜지(31a)가 형성된 것으로, 이 플랜지(31a)가 볼트에 의해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의 상면 중앙 및 4곳의 코너에 고정됨으로써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 상에 고정된다. 또한, 승강지주(33)의 상단부에는 싱크대(20)의 저면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guide means includes a hollow guide tube 31 and a lifting column 33 inserted into the hollow guide tube 31 to slide up and down within the hollow guide tube 31. have. The hollow guide tube 31 has a flange 31a formed at its bottom, and the flange 31a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by four bolts and to four corners. It is fixed on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2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lumn 33 by welding.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의 상면 4곳의 코너에는 단순히 가이드 수단(30)만 설치되고,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의 상면 중앙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싱크대(20)가 수직으로 승강하게 된다.Since only the guide means 30 is simply installed in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and the lifting means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The sink 20 is moved up and down vertically.

또한, 싱크대(20)의 저면에는 싱크대(20) 내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신축 관(4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신축 관(40)은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ink 20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ipe 40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in the sink 20, the expansion pipe 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It extends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11a.

도 2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는 싱크대(20)의 중앙 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승강지주(3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유압펌프 장치를 사용한 것이다.2 to 6 illustrate a sink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ses a hydraulic pump device as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down the lifting column 33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sink 20 by welding.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단에, 커버(101)가 승강지주(33)를 유밀적으로 포위하면서 볼트에 의해 유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부에 유체실(10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이 유체실(102)과 연통하는 펌프실린더(10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부의 지면 측에는 이 펌프실린더(103)와 작은 구멍의 연통공(104)을 통해 연통하는 주실린더(105)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실린더(103)에는 펌프피스톤(106)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삽입관통되어 있다. 이 펌프피스톤(106)의 상단에는 받침대(107)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받침대(107)와 중공 가이드관(31)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08)이 가설되어 있어 펌프피스톤(106)을 항상 상방으로 가압한다. 또한, 이 펌프피스톤(106)의 중간부에는 펌프실린더(10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대직경의 구획부(106a)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마찬가지로 펌프실린더(10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대직경의 구획부(106b)가 형성되어 있다.The cover 101 is oil-tightly coupled by a bolt while oil-tightly surrounding the lifting column 33 at the upp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The fluid chamber 102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guide tube 31, and the pump cylinder 103 which communicates with this fluid chamber 102 is formed in the lower one side, and this pump is provided in the lower ground side. The main cylinder 105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ylinder 10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04 of a small hole is formed. The pump piston 106 is inserted through the pump cylinder 103 so as to be slidable. A pedestal 107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pump piston 106, and a coil spring 108 is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 107 and the hollow guide pipe 31 to always provide the pump piston 106. Pressurize upwards. 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pump piston 106 is formed with a large diameter partition 106a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cylinder 103 and to be slidable, and similar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cylinder 103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large-diameter division part 106b is formed so that it may be in close contact and sliding.

이러한 구획부(1066a)와 구획부(106b)의 사이는,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펌프실린더(103)와 구획된 환형공극부(10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구획부에는 도 5의 (a)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복수의 절결유통홈(110a ‥‥‥, 110b ‥‥‥)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하부에 위치하는 구획부(106b)의 상방에는 적절한 폭을 갖는 환형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홈(111) 내에는 피스톤링(112)이 펌프실린더(103)의 내벽면에 가압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환형홈(111)의 폭은, 후술하는 작동레버(122)의 Ⅰ~Ⅱ의 작동범위에 대응하는 펌프피스톤(106)의 이동 스트로크에 상당하는 피스톤링(112)의 이동 폭을 가지고, 환형홈(111)과 피스톤링(112)으로서 도피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피스톤링(112)는 환형홈(111)의 상단면에 밀착한 경우에는 환형공극부(109)의 하단 개방면을 밀폐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린더(103)는 상부와 하부가 차단되게 되고, 또한 이 피스톤링(112)이 환형홈(111)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때에는, 환형공극부(109)와 하부구획부(106b)의 유통홈(110b ‥‥‥)은, 이 피스톤링(112)의 내주면이 환형홈(111)의 저부와 간극(134)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간극(134)을 통해 연통하게 되어 있다.Between the partition part 1066a and the partition part 106b, it is formed with the small diameter, and forms the annular space | gap part 109 partitioned with the pump cylinder 10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each partition part, as shown in detail in FIG.5 (a), the some notch distribution groove | channel 110a ..., 110b ...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urthermore, an annular groove 111 having an appropriate width is formed above the partition portion 106b positioned below, and in this annular groove 111, a piston ring 11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ump cylinder 103. It is fitted so that it can slide in an up-down direction in the state pressurized by. The width of the annular groove 111 has a moving width of the piston ring 112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troke of the pump piston 106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ranges of I to II of the operating lever 122 described later. An escape mechanism is formed as the groove 111 and the piston ring 112. And, when the piston ring 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annular cavity 109 is sealed, whereby the pump cylinder 103 is block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In addition, when the piston ring 112 deviates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the distribution grooves 110b... Of the annular void portion 109 and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06b are formed by the piston ring (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12 has a bottom portion of the annular groove 111 and a gap 134,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ap 134.

이 경우, 유체실(102)과 펌프실린더(103)의 하부는, 상부구획부(106a)에 형성된 유통홈(110a ‥‥‥), 환형공극부(109), 환형홈(111) 및 하부구획부(106b)의 유통홈(110b ‥‥‥)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이 펌프실린더(103)와 주실린더(105)는 연통공(104)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통공(104)에는 역지밸브기구인 개폐밸브기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밸브기구(113)에 대해서는 도 5의 (a)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연통공(104)에는 펌프실린더(103)와 연속하는 밸브공(114)이 형성되고, 이 밸브공(114)에는 연통공(104) 측에 밸브시트(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시트(115)에는 연통공(104) 측으로부터 밸브체(116)가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fluid chamber 102 and the pump cylinder 103 is the distribution groove 110a ..................... formed in the upper division part 106a, the annular space | gap part 109, the annular groove 111, and the lower division. I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via the distribution grooves 110b ... of the part 106b. The pump cylinder 103 and the main cylinder 105 are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hole 104, and the communication hole 10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mechanism 113 which is a check valve mechanism. The opening / closing valve mechanism 113 is shown in detail in FIG. 5 (a),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mmunication hole 104 is provided with a valve hole 114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pump cylinder 103. In the valve hole 114, a valve seat 115 is formed at the communication hole 104 side. The valve seat 116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115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communication hole 104 side.

이 밸브체(116)는 밸브공(114)을 개폐하는 경사면(116a)을 가짐과 동시에 이 경사면(116a) 보다 선단부에 가압부(116b)를 가지고, 이 가압부(116b)에는 관통공(117)이 그 선단면으로부터 측면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밸브체(116)은 코일스프링(118)의 일단이 압접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118)의 타단은 밀폐체(119)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밸브체(116)는 항상 밸브공(114)을 밀폐하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실린더(103)의 하단 일측면에는 복귀용의 유통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통홈(120)은 관통공(117)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통홈(120)의 길이는 펌프피스톤(106)의 하면으로부터 환형홈(111) 상면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116)의 가압부(116b)는, 그 일부가 펌프실린더(103) 내에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펌프피스톤(106)이 최하단까지 하강된 때에 이 펌프피스톤(106)에 의해 내리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밸브공(114)는 개방되고, 동시에, 밸브체(116)에 설치된 관통공(117)은 유통홈(120)에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실린더(105) 내에는 승강지주(33)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승강지주(33)는 주실린더(105)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유체실(102)을 관통하여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공(104)은 주실린더(105)의 하부에 개통되어 있다.The valve body 116 has an inclined surface 116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hole 114, and has a pressurizing portion 116b at a distal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16a, and has a through hole 117 in the pressing portion 116b. ) Extends laterally from its tip surface.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il spring 118 is press-contacted to the valve body 116,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118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body 119. Accordingly, the valve body 116 is always pressurized to seal the valve hole 114. In addition, a return groove 120 for retur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ump cylinder 103, and the flow groove 120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117.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groove 12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ump piston 106. In addition, a part of the pressurizing portion 116b of the valve body 116 protrudes into the pump cylinder 103, and is pushed down by the pump piston 106 when the pump piston 106 is lowered to the lowest end. It is meant to be built. At this time, the valve hole 114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through hole 117 provided in the valve body 116 is continuous to the distribution groove 120. Then, the elevating column 33 is inserted into the main cylinder 105 so that the elevating column 33 can elevate, and the elevating column 33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cylinder 105 and penetrates through the fluid chamber 102 to provide a hollow guide tube. It protrudes on the upper part of 31. The communication hole 104 is opened below the main cylinder 105.

또한,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부에는 작동레버(122)가 그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작동레버(122)는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는 축(122a, 122b)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축(122a, 122b)에는, 중공 가이드관(31) 내의 유체실(102)에 위치하도록 펌프가압아암(123)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가압아압(123)은 승강지주(33)의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ㄷ자형을 이루고 또한 그 중간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피스톤(106)의 상단면에 맞닿게 된다. 또한, 가압아암(123)의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124, 124)(일단부만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압부(124, 124)는 작동레버(122)의 회동에 따라 로킹기구(125)를 가압작동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lever 1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guide tube 31. The actuating lever 122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shafts 122a and 122b. The pump pressurizing arms 123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hafts 122a and 122b so as to be located in the fluid chamber 102 in the hollow guide tube 31. The pressure sub-pressure 123 forms a c-shape so as to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column 33,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piston 106 as shown in FIG. Further, pressing portions 124 and 124 (only one end is show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ressing arm 123 to protrude downward. In addition, the pressing units 124 and 124 are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locking mechanism 125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22.

상기 로킹기구(125)는, 중공 가이드관(31)의 유체실(102) 내에 형성되어 있고, 중공 가이드관(31)에는 주실린더(105) 상부에 있어서 승강지주(33)를 포위하도록 오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126)에는, 도 6의 (b)에 상세하게 도시된 로킹링(127)이 끼워져 있다. 이 로킹링(127)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료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 환형체이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27a)에 승강지주(33)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킹링(127)에는 상면이 개방된 단면 V자형의 홈(128)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로킹링(127)에는 복수개의 절결부(129)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로킹링(127)의 상면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가압링(130)이 중첩되어 있다. 이 가압링(130)은 강성을 가지고, 그 하면에는 로킹링(127)의 V자형 홈(128)에 끼워지는 V자형으로 경사진 돌출부(131)를 전체에 걸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가압링(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0a)에는 승강지주(33)가 미끄럼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가압링(130)의 상면에는 보조링(132)이 중첩되어 있고, 이 보조링(132)도 강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링(132)은 그 상면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가 가압부(124, 124)에 맞닿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133은 O 링을 도시한다.The locking mechanism 125 is formed in the fluid chamber 102 of the hollow guide tube 31, and the hollow guide tube 31 is recessed so as to surround the lifting column 33 above the main cylinder 105. 126 is formed. And the locking ring 127 shown in detail in FIG.6 (b) is fitted in this recessed part 126. As shown in FIG. The locking ring 127 is an annular bod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lifting column 33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27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locking ring 127 is provided with a V-shaped groove 128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hroughout. In addition, the locking ring 12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touts 129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127, the pressing ring 130 shown in (a) of FIG. 6 overlaps. The pressing ring 130 has rigidity, and its lower surface has a V-shaped inclined protrusion 131 fitted into the V-shaped groove 128 of the locking ring 127 over its entirety. In addition, the lifting column 33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0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essing ring 130. In addition, the auxiliary ring 132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ing 130, this auxiliary ring 132 is also formed of a rigid material. The auxiliary ring 132 is positioned so that the opposing positions of the auxiliary ring 132 abut on the pressing portions 124 and 124. Also,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33 denotes an O ring.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작동레버(122)가 도 2의 Ⅰ의 위치에 있게 되면, 로킹장치(125)에 의해 승강지주(33)는 로킹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펌프피스톤(106)의 환형홈(111)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피스톤링(112)은 작동레버(122)가 Ⅰ의 위치로 상승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환형홈(111) 내의 하단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작동레버(122)를 Ⅰ에서 Ⅱ의 위치까지 내리누르면, 가압아암(123)의 가압부(124, 124)는 보조링(132)의 가압을 해제하고, 이 때문에 가압링(130)은 로킹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고, 따라서, 로킹링(127)은 승강지주(33)를 해제시킨다. 그런데, 피스톤링(112)은, 환형홈(111)의 하단면 맞닿음 위치에서, 펌프피스톤(106)의 하강시에, 즉시 이동을 행하지 않고 환형홈(111)의 상단면에 맞닿고 나서야 비로소 이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즉, 작동레버(122)가 Ⅰ의 위치에서 Ⅱ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는, 피스톤링(112)은 그 자체의 장력에 의해 펌프실린더(103)의 내벽에 압착하여 정지하고, 이 때문에, 환형공극부(109)는 환형홈(111) 및 간극(134)을 통하여 펌프실린더(103)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When the operation lever 122 is in the position I of FIG. 2, the lifting column 33 is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125. In this state, the piston ring 112, which is slidably fitted into the annular groove 111 of the pump piston 106, is lowered in the annular groove 111 by the operation lever 122 being raised to position I. Abuts on the side Then, when the operation lever 122 is pushed down from the position of I to II, the pressing portions 124 and 124 of the pressing arm 123 release the pressing of the auxiliary ring 132, and thus the pressing ring 130 It is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ring 127, and thus the locking ring 127 releases the lifting column 33.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iston ring 112 does not move immediately at the lower end of the annular groove 111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To start the move. In other words, while the operating lever 122 moves from the position I to the position II, the piston ring 112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pump cylinder 103 by its own tension, and thus stops. The air gap 109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pump cylinder 103 through the annular groove 111 and the gap 134.

그 결과, 작동레버(122)의 Ⅰ에서 Ⅱ 위치까지의 작동에 대해서는 펌프실린더(103) 내의 유체는 압축되지 않고 유체실(102) 내로 도피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122)가 Ⅱ의 위치에 도달하면, 환형홈(111)의 상단면이 피스톤링(112)과 밀착하고, 여기에서 상기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즉, 작동레버(122)의 Ⅰ~Ⅱ 위치의 사이는 펌프 무작동상태로 되고, 이 때문에 펌프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로킹장치(125)를 원활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작동레버(122)를 도 2의 Ⅱ에 도시된 위치에서 Ⅲ에 도시된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소정의 속도로 승강작동을 반복한다. 그러면, 이 작동레버(122)에 연결 설치된 펌프가압아암(123)은 펌프피스톤(106)을 내리누르며, 또한, 이 펌프피스톤(106)은 코일스프링(108)의 복귀력에 의해 상승하므로, 이 펌프피스톤(106)은 승강운동, 즉 펌프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 펌프피스톤(106)이 하강할 때에는 환형홈(111)에 장착된 피스톤링(112)은 그 자체의 장력에 의해 정지하기 때문에 환형홈(111)의 상면에 맞닿게 되고, 이 때문에 환형 공극부(109)를 밀폐한다.As a result, for the operation from the I to II positions of the actuating lever 122, the fluid in the pump cylinder 103 does not compress and escapes into the fluid chamber 102. Then, when the operating lever 122 reaches the position of II,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ring 112, whereby the communication is blocked. That is, between the I-II positions of the operating lever 122 is in a non-operating state of the pump, so that the locking device 125 can be smoothly releas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pump portion. Then, the operation lever 122 repeats the lif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in a range from the position shown in II in FIG. 2 to the position shown in III. Then, the pump pressure arm 123 connected to the actuating lever 122 pushes down the pump piston 106, and the pump piston 106 is lifted by the return force of the coil spring 108. The pump piston 106 repeats the lifting movement, that is, the pumping operation. When the pump piston 106 is lowered, the piston ring 112 mounted on the annular groove 111 is stopped by its own tension, so that the piston ring 1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The air gap 109 is sealed.

그 결과, 이 상태에서 이 펌프피스톤(106)을 하강시키면, 피스톤링(112)은 펌프피스톤(106)과 일체로 되어 하강하고, 이 펌프피스톤(106)의 하방에 있는 펌프실린더(103) 내의 유체는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증압된 유체는 개폐밸브기구(113)의 밸브체(116)를 코일스프링(118)에 대항하여 내리누르고, 이 때문에 밸브공(114)이 개방되므로 유체는 밸브공(114) 및 연통공(104)을 통하여 주실린더(105) 내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펌프피스톤(106)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피스톤링(112)은 환형홈(111)의 상면에서 벗어나 하면에 맞닿게 되고, 이 때문에 환형공극부(109)는 개방된다. 그런데, 펌프피스톤(106)이 상승하면, 펌프실린더(103)는 부압이 되고, 밸브체(116)는 밸브공(114)을 밀폐하므로, 유체실(102) 내에 충전되어 있던 유체가, 유통홈(110a ‥‥‥), 환형공극부(109), 환형홈(111) 및 유통홈(110b ‥‥‥)을 거쳐 펌프실린더(103) 내로 유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펌프피스톤(106)의 승강운동에 의해 유체는 주실린더(105) 내로 압송된다. 그리고, 이 주실린더(105) 내의 유압이 높게 되면, 이 유압에 의해 승강지주(33)는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pump piston 106 is lowered in this state, the piston ring 112 is integrally lowered with the pump piston 106 and lowered in the pump cylinder 103 under the pump piston 106. The fluid is to be compressed. Then, the pressure-increased fluid pushes down the valve body 116 of the on-off valve mechanism 113 against the coil spring 118, and because of this, the valve hole 114 is opened,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the valve hole 114 and the communication hole. I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ylinder 105 through the 104. In addition, when the pump piston 106 is raised, the piston ring 1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and thus the annular cavity 109 is opened. However, when the pump piston 106 rises, the pump cylinder 103 becomes negative pressure, and the valve body 116 seals the valve hole 114, so that the fluid filled in the fluid chamber 102 is in the distribution groove. (110a ...), the annular void portion 109, the annular groove 111 and the distribution groove (110b ...) is introduced into the pump cylinder 103. In this way, the fluid is pumped into the main cylinder 105 by the lifting motion of the pump piston 106. And when the oil pressure in this main cylinder 105 becomes high, the lifting column 33 will raise sequentially by this oil pressure.

다음, 승강지주(33)가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되어, 작동레버(122)를 해제하면, 펌프피스톤(106)은 코일스프링(108)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도 2의 Ⅰ에 도시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상승한다. 그러면, 이 작동레버(122)에 연결 설치된 펌프가압아암(123)의 가압부(124, 124)가 보조링(132)을 내리누르면서 정지한다. 그리고, 보조링(132)은 가압링(130)을 가압한다. 그러면, 이 가압링(130)에 형성된 돌출부(131)는, 로킹링(127)의 V자형 홈(128) 내에 진입하고, 이 때문에, 이 V자형 홈(128)을 가압하여 확장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 로킹링(127)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오목홈(126) 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반경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지주(33)의 외주면에 탄성가압되게 된다. 이에 의해, 승강지주(33)는 로킹링(127)에 잡아 매어지게 되어 그 이동이 구속된다.Next, when the lifting column 33 is rais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operating lever 122 is released, the pump piston 106 is pressed upward by the coil spring 108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Ascend automatically. Then, the pressurizing portions 124 and 124 of the pump pressure arm 123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122 stop while pressing the auxiliary ring 132. The auxiliary ring 132 pressurizes the pressure ring 130. Then, the protruding portion 131 formed in the pressing ring 130 enters into the V-shaped groove 128 of the locking ring 127, and therefore, the V-shaped groove 128 is pressed to expand. However, the locking ring 127 is not on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but also inserted in the concave groove 126 so that the locking ring 127 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being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column 33. As a result, the lifting column 33 is held by the locking ring 127 to restrain its movement.

다음, 이러한 승강지주(33)를 하강시키려고 하면, 작동레버(122)를 최하단위치, 즉 도 2의 Ⅳ로 도시된 위치까지 내리누른다. 그러면, 최초의 Ⅰ~Ⅱ 까지의 범위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압링(130)으로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로킹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31)를 통하여 가압링(130)이 상방으로 가압되어 되돌아가고, 로킹링(127) 자체도 원래의 자연상태로 복귀되어 승강지주(33)의 구속을 해제한다. 다음, 작동레버(122)의 Ⅲ 위치까지의 하강에 의한 펌프작동에 의해 승강지주(33)는 일단 약간 상승하지만, 작동레버(122)의 Ⅳ 위치 도달에 의해 펌프피스톤(106)은 펌프실린더(103)의 저면에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펌프실린더(103) 내에 돌출되어 있는 밸브체(116)가 가압되어 밸브공(114)을 개방한다. 그러면, 밸브체(116)의 가압부(116b)에는 그 측면에서 상면으로 연통하는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공(117)을 유체가 통하게 한다.Next, when attempting to lower the lifting column 33, the operation lever 122 is pushed down to the lowes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shown by IV in FIG. Then, in the range from the first I to II, when the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ring 13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ring 130 through the protrusion 1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ring 127. It is pressed upward and returned, and the locking ring 127 itself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natural state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ifting column 33. Next, the lift column 33 slightly rises by the pump operation by the lowering to the III position of the actuating lever 122, but the pump piston 106 is pumped by the arrival of the IV position of the actuating lever 122. Abuts the bottom of 103). Thereby, the valve body 116 which protrudes in the pump cylinder 103 is pressurized, and the valve hole 114 is opened. Then, since the through hole 117 is formed in the pressurizing part 116b of the valve body 116 from the side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fluid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17.

그런데, 이 관통공(117)은 펌프실린더(103)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통홈(120)에 연속하고, 또한 이 유통홈(120)은 펌프피스톤(106)의 하면으로부터 환형홈(111) 상면에 걸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관통공(117)은 유통홈을 통하여 환형공극부(109)에 연통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주실린더(105) 내의 유체는, 연통공(104), 밸브공(114), 관통공(117), 유통홈(120), 환형공극부(109) 및 상부구획부(106a)의 유통홈(110a)을 통하여 유체실(102)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실린더(105) 내의 유압의 저하에 따라 승강지주(33)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 각 통로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량제한작용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지주(33)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However, the through hole 117 is continuous to the distribution groove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pump cylinder 103, and the distribution groove 12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groove 11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ump piston 106. Since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ver, through-hole 117 is eventually communicated with the annular cavity 109 through the distribution groove. The fluid in the main cylinder 105 flow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04, the valve hole 114, the through hole 117, the distribution groove 120, the annular gap portion 109,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06a. It returns to the fluid chamber 102 through the groove 110a. Then, the lifting column 33 moves down as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main cylinder 105 decreases. In addition, at this time, since the respective passages are narrowly formed, the flow rate limiting action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the sudden drop of the lifting column 33 and generating a buffering action.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는 싱크대(20)의 중앙 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승강지주(3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래크 피니언 장치를 사용한 것이다.7 and 8 illustrate a sink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ses the rack pinion device as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column 33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sink 20 by welding.

싱크대(20)의 중앙 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승강지주(33)의 외주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래크(218)가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column 33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sink 20 by welding, the rack 218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단 외측에는 기어박스(213)가 끼워 설치되어 있다. 기어박스(213)에는 반경방향으로 워엄축(220)이 관통되어 있고, 워엄축(220)의 기어박스 외측 단부에는 크랭크 핸들(212)이 연결되어 있고, 워엄축(220)의 기어박스 내측 단부에는 워엄(2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워엄(21)의 하부에는 피니언(219)이 치합되어 있고, 피니언(219)은 승강지주(33)의 래크(218)에 치합되어 있다. 피니언(219)이 회전하면 래크(218)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핸들(212)의 회전조작에 의해를 피니언(219)이 래크(218)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승강지주(3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ear box 213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The worm shaft 220 penetrates through the gearbox 213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crank handle 212 is connected to the gearbox outer end of the worm shaft 220, and the inner end of the gearbox of the worm shaft 220 is connected. The worm 221 is formed therein. The pinion 219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worm 21, and the pinion 219 is engaged with the rack 218 of the lifting column 33. When the pinion 219 rotates, the rack 218 moves up and down. Therefore, the pinion 219 moves the rack 218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rank handle 212, and the lifting column 33 moves up and down.

기어박스(213) 아래측의 중공 가이드관(31)에는 걸림 돌기(233)가 힌지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걸림 돌기(233)는 중공 가이드관(31)에 형성된 관통공(31b)을 통해 승강지주(33)의 래크(218)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걸림 돌기(233)가 승강지주(33)의 래크(218)에 걸림으로써 승강지주(33)의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The hollow guide tube 31 under the gearbox 213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33 by a hinge,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3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b formed in the hollow guide tube 31. The rack 218 of the lifting column 33 is caught. Thus, the locking projection 233 is locked to the rack 218 of the lifting column 33,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ifting column 33 is fixed.

도 9 및 도 10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싱크 구조는 싱크대(20)의 중앙 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승강지주(3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모터 스크루 장치를 사용한 것이다.9 and 10 illustrate a sink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uses a motor screw device as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down the lifting column 33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sink 20 by welding.

싱크대(20)의 중앙 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승강지주(33)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스크루 너트(330)가 고정되어 있다.The lifting column 33,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sink 20 by welding,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screw nut 330 is fixed to the lower end thereof.

또한, 중공 가이드관(31)의 하단에는 모터(310)가 그 회전축(311)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311)에는 싱크대(20)의 스크루 너트(330)에 치합하는 스크루(31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313)이 회전하면 스크루 너트(330)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3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크루(313)가 스크루 너트(33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승강지주(33)가 상하로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motor 31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so that its rotating shaft 311 faces upward, and the screw 313 which engages with the screw nut 330 of the sink 20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311. ) Is extended. When the screw 313 rotates, the screw nut 330 is moved up and down. Therefore, the lifting support 33 moves up and down by the screw 313 moving the screw nut 330 up and down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310.

모터(3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터(310)의 회전축(311)이 정지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승강지주(33)의 상하위치도 고정된다.Although not shown, since the electromagnetic brake is provided inside the motor 310, the rotation shaft 311 of the motor 310 is kept in a stopped state, and thus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lifting column 33 are also fixed.

모터(310)의 정역회전은 싱크대 받침장(10)의 아래에 설치된 페달 스위치(34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310 may be operated by a pedal switch 340 installed under the sink support 10.

전술한 본 고안의 승강식 싱크 구조에 의하면, 싱크대가 싱크대 받침장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싱크대 받침장 내에서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싱크대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lifting sin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k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ink support base and is installed to be liftable by the lifting means in the sink support base, the height of the sink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t can be adjusted easily.

Claims (4)

싱크대(20)가 싱크대 받침장(10) 상에 설치되는 싱크 구조로서,As a sink structure in which the sink 20 is installed on the sink base 10, 상기 싱크대 받침장(10)의 저판(11)의 상면 중앙 및 4곳의 코너에, 중공의 가이드관(31)과 상기 중공 가이드관(31) 내에 삽입되어 중공 가이드관(31) 내에서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승강지주(33)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uide tube 31 and the hollow guide tube 31 at the center and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ink base 10, and up and down within the hollow guide tube 31. Guide means consisting of the lifting column 33 to slide is installed, 상기 가이드수단의 승강지주(33)의 상단부에 상기 싱크대(20)의 저면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2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column 33 of the guide means by welding, 상기 가이드수단 중 중앙의 가이드 수단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구조.Si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enter guide means of the guide means.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강수단은 유압펌프 장치이며, 상기 유압펌프 장치는,The lifting means is a hydraulic pump device, the hydraulic pump device, 상기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단에 커버(101)가 상기 승강지주(33)를 유밀적으로 포위하면서 유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공 가이드관(31) 내에 형성된 유체실(102)과,A fluid chamber 102 formed in the hollow guide tube 31 by being cover flui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while being oil-tightly enclosing the lifting column 33. 일단이 상기 유체실(102)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주(33)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주실린더(105)에 역지밸브(116)를 통해 연결된 펌프실린더(103)와,A pump cylinder 10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luid chamber 10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cylinder 105 for receiving the lifting column 33 slidably through the check valve 116; 상기 펌프실린더(103)에 승강가능하게 수납되어 작동레버(122)의 동작에 연동하는 가압아암(123)을 통하여 가압력과 스프링력에 의한 복귀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피스톤(106)과,A pump piston 106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pump cylinder 103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which is operated by the return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spring force through the pressure arm 123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22; 상기 펌프피스톤(106)의 중간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부 유통홈(110a)을 통해 상기 유체실(102)에 연통하는 환형공극부(109)와,An annular cavity 109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pump piston 106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chamber 102 through an upper flow groove 110a; 일단이 상기 환형공극부(109)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하부 유통홈(110b)을 통하여 상기 펌프피스톤(106)의 하단에 연통하도록 상기 펌프피스톤(10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111)과,One end is connected to the annular cavity 109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n annular groove 1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piston 106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pump piston 106 through the lower distribution groove 110b. , 상기 환형홈(111)에 상하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펌프실린더(103)의 내주면에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환형홈(111)의 저부와 간극(134)을 형성하는 피스톤링(112)을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 piston ring 1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111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nd pressuriz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cylinder 103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bottom and a gap 134 of the annular groove 111. 상기 펌프피스톤(106)이 내리눌려질 때에만 상기 피스톤링(112)이 상기 환형공극부(109)를 밀폐하여 상기 펌프실린더(103) 내의 유체가 가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구조.The piston ring (112) seals the annular cavity (109) only when the pump piston (106) is pressed so that the fluid in the pump cylinder (103) is pressurized.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강수단은 래크 피니언 장치이며, 상기 래크 피니언 장치로서,The lifting means is a rack pinion device, and as the rack pinion device, 상기 승강지주(33)의 외주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래크(218)가 형성되어 있고,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column 33, a rack 218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상기 중공 가이드관(31)의 상단 외측에는 기어박스(213)가 끼워 설치되어 있고,A gear box 213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상기 기어박스(213)에는 반경방향으로 워엄축(220)이 관통되어 있고,The worm shaft 220 is penetrated in the gear box 213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워엄축(220)의 기어박스 외측 단부에는 크랭크 핸들(212)이 연결되어 있고,The crank handle 212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gearbox of the worm shaft 220, 상기 워엄축(220)의 기어박스 내측 단부에는 워엄(221)이 형성되어 있고,The worm 221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gearbox of the worm shaft 220, 상기 워엄(21)의 하부에는 피니언(219)이 치합되어 있고,The pinion 219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worm 21, 상기 피니언(219)은 상기 승강지주(33)의 래크(218)에 치합되어 있고,The pinion 219 is engaged with the rack 218 of the lifting column 33, 상기 기어박스(213) 아래측의 상기 중공 가이드관(31)에는 걸림 돌기(233)가 힌지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The hollow projection tube 31 below the gear box 213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33 by a hinge, 상기 걸림 돌기(233)는 상기 중공 가이드관(31)에 형성된 관통공(31b)을 통해 상기 승강지주(33)의 래크(218)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구조.The locking projection 233 is a si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218 of the elevating column (33) through the through hole (31b) formed in the hollow guide tube (31).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 스크루 장치이며, 상기 모터 스크루 장치로서,The lifting means is a motor screw device, the motor screw device, 상기 승강지주(33)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스크루 너트(330)가 고정되어 있고,The lifting column 33 is formed in a hollow and the screw nut 330 is fixed to the lower end, 상기 중공 가이드관(31)의 하단에는 모터(310)가 그 회전축(311)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있고,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guide tube 31, the motor 310 is install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311 is upward, 상기 회전축(311)에는 상기 싱크대(20)의 스크루 너트(330)에 치합하는 스크루(313)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The rotating shaft 311 is formed with a screw 313 extending to engage the screw nut 330 of the sink 20, 상기 싱크대 받침장(10)의 아래에 페달 스위치(3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싱크 구조.A si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al switch 340 is installed under the sink support (10).
KR20-2003-0030456U 2003-09-26 2003-09-26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KR2003375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56U KR200337569Y1 (en) 2003-09-26 2003-09-26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56U KR200337569Y1 (en) 2003-09-26 2003-09-26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791A Division KR100597173B1 (en) 2003-09-26 2003-09-26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569Y1 true KR200337569Y1 (en) 2004-01-07

Family

ID=4942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56U KR200337569Y1 (en) 2003-09-26 2003-09-26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56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2974B2 (en) Fluid control system for chair
KR100597173B1 (en)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KR200337569Y1 (en) Vertically movable sink structure
KR200250703Y1 (en) A Washstand Of Controlled Height
JP3484760B2 (en) Filling valve
JP2005185320A (en) Height adjuster
KR200380190Y1 (en) Height adjustable washstand
GB2111592A (en) Chair with hydraulic elevator and pump
KR20060091685A (en) Chair for use in beauty salon
CN219033432U (en) Drain valve controlled to be opened by water pressure
KR100686349B1 (en) Reducing valve apparatus with flow shuttering function
US5294086A (en) Adjustable oleopneumatic amortized support column, for chairs and armchairs
KR100687222B1 (en) A gas cylinder
KR100616452B1 (en) A gas cylinder having an automatic return and height-adjustment functions in a chair
US1233859A (en) Dental chair.
JPH06102Y2 (en) Lifting mechanism in patient lifting device
JP6661331B2 (en) Expansion / contraction device and elev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expansion / contraction device
CN211082945U (en)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core
KR100884005B1 (en) A gas cylinder for table height-control
CN211082904U (en)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core
MX2012010330A (en) Device with hydraulic actua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d and the seat of a toilet in an independent or simultaneous manner.
US11873630B2 (en) Pneumatic valve control device
JP2728869B2 (en) Lifting mechanism in patient lifting device
KR102330765B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sink
CN210783363U (en) Liftable computer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