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51Y1 - 휴대형 밥상 - Google Patents

휴대형 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51Y1
KR200336851Y1 KR20-2003-0030579U KR20030030579U KR200336851Y1 KR 200336851 Y1 KR200336851 Y1 KR 200336851Y1 KR 20030030579 U KR20030030579 U KR 20030030579U KR 200336851 Y1 KR200336851 Y1 KR 200336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portable
cover
stora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20-2003-003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표면에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수납 그루우브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표면을 착탈 가능하게 덮는 커버; 플레이트의 이면 네 모서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고정블록의 나사공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밥상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형 밥상{Portable eating table}
본 고안은 휴대형 밥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편평하지 않은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고정하여 휴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휴대형 밥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유회 등에 의해 야외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에는 이를 위해 음식을 담는 용기 등을 별도로 포장하여 운반한다. 이를 위하여 용기를 보관하는 용기 팩이 되고 있다.
또한, 야외에서 조리하는 음식을 제외한 김치 등과 같은 밑반찬은 별도의 용기에 넣어 가져가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분산하여 운반함으로서 야외에서 모두 취합하여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식사를 하는 경우, 통상은 돗자리 등에 직접 용기를 배열하여 이용하는데, 야외의 특성상 돗자리를 펼친 자리가 경사지거나 굴곡이 심하여 용기들은 배치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특히 예상치 못한 외부의 충격, 예를 들어, 바람 등에 의해도 용기가 엎어져 음식물이 쏟아지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한 휴대형 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나 굴곡이 심한 야외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형 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밥상을 보여주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야외에서 밥상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용기수납 그루우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리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휴대형 밥상의 다른 사용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버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휴대형 밥상에 따르면, 표면에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수납 그루우브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이면 네 모서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고정블록의 나사공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용기수납 그루우브의 내측벽의 중간위치에 내측벽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걸림턱까지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용기의 측면에 돌출되는 돌기가 가이드 슬롯을 따라 가이드되고 걸림턱에 의해 걸려 용기가 용기수납 그루우브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힌지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의 표면을 착탈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커버의 이면에는 표면이 경면 연마된 조리용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조리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이면에는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수저통이나 물통이 적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밥상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밥상으로 사용되는플레이트(20)의 표면 측에 다수개의 용기수납 그루우브(24)가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할 수 있으며, 경계면에 힌지(25)를 설치하여 접철되도록 한다.
접철식으로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레이트(20)를 덮는 커버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야외에서 밥상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a는 용기수납 그루우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플레이트(20)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이 가능하며, 무게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한다.
플레이트(20)의 표면에는 음식(60)을 담은 용기(50)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수납 그루우브들(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3과 도 3a를 참조하면, 용기수납 그루우브(24)는 수납되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호퍼형상이나 사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벽의 중간위치에 내측벽을 따라 걸림턱(26)이 형성되고, 플레이트(20)의 표면으로부터 걸림턱(26)까지 가이드 슬롯(25)이 형성되어 용기(50)의 측면에 돌출되는 돌기(51)가 가이드 슬롯(25)을 따라 가이드되고 걸림턱(26)에 의해 걸려 용기(50)가 용기수납 그루우브(2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50)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3-20867호에 개시된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일정한 두께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52)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부가 커버 플레이트(52)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며 몸체가 용기(50)를 밀봉하여 감싸는 밀폐유닛(54)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커버가 용기(50)를 덮은 상태에서 용기수납 그루우브(24)에 끼워진다.
한편, 바람직하게, 플레이트(20)의 이면에는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들(27)이 형성되어 수저통이나 물통(70)이 적재되어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0)의 이면 네 모서리에는 고정블록(28)이 형성되고, 고정블록(28)의 내부에는 나사공(29)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다리(22)의 일부에는 나사(22a)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형 밥상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야외에서 이용할 경우를 예로 들면, 밑반찬을 용기(50)에 담고 용기 커버로 밀폐한 후에 용기(50)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51)가 용기수납 그루우브(24)의 가이드 슬롯(25)에 끼워지도록 조절한 후 밀면 용기(50)는 용기수납 그루우브(24)에 끼워진다.
돌기(51)가 가이드 슬롯(25)을 따라 진행하여 걸림턱(26)을 지난 후, 용기(5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돌기(51)가 걸림턱(26)에 걸려 용기(50)는 용기수납 그루우브(2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음식물을 담지 않은 용기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수납 그루우브에 각각 고정시킨다. 따라서, 용기들은 휴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물통이나 수저통을 플레이트(20)의 이면에 설치된 걸림돌기들(27)에 끼워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들(22)의 나사(22a)가 나사공(29)의 끝까지 삽입되도록 돌려서 끼우면, 돌출되는 부분이 짧기 때문에 작은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하고 별도의 가방(도 5의 200 참조)에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다.
야외에서는 밥상이 설치되는 지면의 경사를 고려하여 다리(22)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밑반찬을 담은 용기는 용기 커버를 열러 곧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은 비어 있는 용기에 담게 된다.
이때, 용기는 기본적으로 용기수납 그루우브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야외라는 상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충격에도 용기가 엎어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식사를 끝마친 후에도 용기를 용기 커버로 덮은 상태에서 가방에 넣어 가지고 오면 되므로 야외에서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확률도 감소한다.
도 5는 휴대형 밥상의 다른 사용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운반시에 플레이트(20)에 용기를 장착하지 않고, 커버가 달린 별도의 보온캐리어(100)에 보온용 수납부(110)를 형성하여 밥이나 국 등의 음식을 담은 용기(120)를 수납하고, 다른 수납부에는 반찬을 담은 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더욱이, 물이나 다른 음료를 담는 물통이나 수저통(130)을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밥상과 보온캐리어(100)를 가방(200)에 수납하고, 뚜껑(220)을 덮고 체결한 후, 가방(200)에 연결된 멜빵끈(210)을 이용하여 어깨에 매고 운반할 수 있다.
야외에서는 휴대용 밥상 위에 운반해온 용기를 단지 용기수납 그루우브에 끼워 고정하여 이용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버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이면에는 일정 영역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조리용 블록(31)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표면을 경면 연마처리하여 음식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도마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두께를 용기수납 그루우브에 고정되는 용기와 접촉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용기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저통 등의 장착을 위해 플레이트의 측면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용기수납 그루우브에서 가이드 슬롯을 대향하도록 쌍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돌기도 쌍으로 용기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한 구조 이외에 다른 결합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용기를 플레이트에 고정을 한 상태에서 운반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경사나 굴곡이 심한 야외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는 기본적으로 용기수납 그루우브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야외라는 상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충격에도 용기가 엎어져서 음식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식사를 끝마친 후에도 용기를 용기 커버로 덮은 상태에서 가방에 넣어 운반하면 되므로 냄새를 차단할 수 있고, 다른 물건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야외에서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라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확률도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표면에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수납 그루우브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이면 네 모서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의 나사공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밥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수납 그루우브의 내측벽의 중간위치에 내측벽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걸림턱까지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측면에 돌출되는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려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수납 그루우브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밥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힌지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밥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을 착탈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이면에는 표면이 경면 연마된 조리용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밥상.
KR20-2003-0030579U 2003-09-27 2003-09-27 휴대형 밥상 KR200336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79U KR200336851Y1 (ko) 2003-09-27 2003-09-27 휴대형 밥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79U KR200336851Y1 (ko) 2003-09-27 2003-09-27 휴대형 밥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51Y1 true KR200336851Y1 (ko) 2003-12-24

Family

ID=4942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79U KR200336851Y1 (ko) 2003-09-27 2003-09-27 휴대형 밥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63Y1 (ko) 2013-08-14 2014-02-11 이대영 회전 취식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63Y1 (ko) 2013-08-14 2014-02-11 이대영 회전 취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507B2 (en) Insulated ice chest with accessory holders
US7334684B1 (en) Versatile lunch box
US10940972B2 (en) Configurable container assembly
US5244268A (en) Carrying case for food items
US5445276A (en) Food container attachment for lunch pails and coolers
USD540992S1 (en) Large pet food storage container
US20090321503A1 (en) Foldable Container for Picnics
US5350081A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USD417956S (en) Storage container
US6209346B1 (en) Tailgate picnic device
KR200336851Y1 (ko) 휴대형 밥상
US3372690A (en) Insulated lunch box
KR200466532Y1 (ko) 휴대용 컵
US4361356A (en) Dual use cushion and container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0767396B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US5765689A (en) Drink tray
US20220295959A1 (en) Combination Meal and To-Go Box
KR930000359Y1 (ko) 휴대용 도시락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KR100833324B1 (ko) 음식물용기뚜껑
KR200319757Y1 (ko) 그릇의 자루형손잡이겸용 밀착고정식뚜껑
KR101671968B1 (ko) 접이식 종이컵
KR200319758Y1 (ko) 접시의 손잡이겸용 밀착고정식뚜껑
KR200242802Y1 (ko) 반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