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01Y1 -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01Y1
KR200336801Y1 KR20-2003-0029125U KR20030029125U KR200336801Y1 KR 200336801 Y1 KR200336801 Y1 KR 200336801Y1 KR 20030029125 U KR20030029125 U KR 20030029125U KR 200336801 Y1 KR200336801 Y1 KR 200336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main board
port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수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백전자
Priority to KR20-2003-0029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자유롭게 프로그램하는 것에 의하여 하드웨어의 구동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보드와, 메인보드에 임베디드 프로세서 및/또는 시스템온칩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중앙처리부와, 중앙처리부와 연결되도록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A/D 및 D/A 컨버터와,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텝모터와,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 숫자와 특정 기호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와,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발광점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도트매트릭스와,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와, 중앙처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메모리부와,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스위치와,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Practicing Device for System-on-Chip and Embeded System}
본 고안은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입출력장치를 임베디드 프로세서 및/또는 시스템온칩에 연결하여 각종 하드웨어장치가 어떻게 설계되고 제어되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공학분야를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연구하는 고등학교, 대학교, 학원, 연구소 등에서는 특정 제어신호에 의하여 표시장치나 모터 등의 각종 하드웨어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종 출력장치를 구동시키는 실험과 실습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험과 실습은 하나의 하드웨어에 대해서만 행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하드웨어에 대해서 행하게 되므로, 복합적인 실험과 실습을 행할 수 있는 실습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습장치는 공부와 실험을 위한 것이므로, 가격이 저렴할 필요성이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하기가 편리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나의 메인보드에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ed Processor) 및/또는 시스템온칩(SoC;System-on-Chip)과 각종 입출력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프로그램하는 것에 의하여 하드웨어의 구동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는 메인보드와, 리눅스(Linux)나 WinCE 등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ed Processor) 및/또는 시스템온칩(SoC)을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A/D 및 D/A 컨버터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텝모터(step motor)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 숫자와 특정 기호를 표시하는 복수의 7-세그먼트(7-segment)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발광점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도트매트릭스(dot matrix)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하나이상의 메모리(memory)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스위치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보드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브래드보드(bread board)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보드(2)와, 리눅스(Linux)나 WinCE 등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앙처리부(10)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A/D 및 D/A 컨버터(20)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텝모터(22)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0)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 숫자와 특정 기호를 표시하는 복수의 7-세그먼트(24)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0)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발광점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도트매트릭스(26)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0)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30)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는 하나이상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18)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입력스위치(40)와,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장착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보드(2)는 상자형상의 케이스(1)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1)에는 전원선, 프린터 케이블, USB 케이블, RJ45 케이블 등의 다양한 전선 케이블이 내장된다.
상기 메인보드(2)의 한쪽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브래드보드(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드보드(3)에는 장착되는 다양한 전자부품과 상기 중앙처리부(10)를 연결하기 위한 확장버스(70)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또 상기 메인보드(2)에도 상기 중앙처리부(10)와 외부 장치 등을 연결하기 위한 확장버스(70)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앙처리부(10)를 구성하는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는 68xx계열 제품, 모토롤라사의 MPC계열 제품, AMD사의 x86계열 제품, Intel사의 MCS960계열 제품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는 상기한 계열의 제품 이외에도 각 프로세서 제조회사에서 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부(10)를 임베디드 프로세서로 구성하면, 강력한 네트워크 기반 통신 구축을 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종 오디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여 실습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버스(BUS)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받도록 상기 메인보드(2)에 프로그래머블 LED(2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래머블 LED(28)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 외부 I/O 메모리맵의 해당 번지에 해당 비트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프로그래머블 LED(28)가 점등 또는 소등이 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8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부(32)의 메모리로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SDRAM, SRAM 등에서 선정하여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모리부(32)를 고집적도의 메모리로 다수개 선정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종 리눅스나 WinCE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상기에서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으로 리눅스(Linux)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면, 오랜기간 많은 사람이 사용하여 안정성과 다양한 기능을 인정받은 소프트웨어이며, 소스가 공개되어 수많은 개발자에 의하여 수시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며 요구되는 기능도 적합하게 향상되고, 디버그 등의 문제점 해결도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리눅스 프로그램은 소규모 모듈단위로 설계가 되어 있어 구조변경 및 재구성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수행크기(object size)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리눅스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중앙처리부(10)를 구성하면, PPCBOOT 포팅 및 리눅스 커널 포팅, 램디스크 커널 부팅, NFS 커널 부팅 등을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고, NAT 라우터 제작, 웹서버 제작 및 웹을 통한 원격 제어 등도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A/D 및 D/A 컨버터(20)는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입력신호 또는 출력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A/D 및 D/A 컨버터(20)에는 마이크입력, 라인입력, 아날로그입력 등의 입력포트(단자)와 앰프(AMP) 출력, 아날로그 출력 등의 출력포트(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스텝모터(22)는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며, 해당 상(phase)에 대응하는 데이터(제어신호)에 의하여 1상여자, 2상여자, 1-2상여자 방식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1상여자 방식은 실시간에 한번만 온(on)하는 방식으로, 0001→0010→0100→1000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1000→0100→0010→0001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2상여자 방식은 실시간에 두번 온(on)하는 방식으로, 0011→0110→1100→1001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1001→1100→0110→0011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1-2상여자 방식은 0001→0011→0010→0110→0100→1100→1000→1001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1001→1000→1100→0100→0110→0010→0011→0001의 순서로 반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1상여자 방식은 2상여자 방식보다 회전 토크가 크며, 1-2상여자 방식은 회전 토크는 1상여자 방식과 2상여자 방식의 중간이지만 더 정밀하게 회전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스텝모터(22)의 회전을 제어하는 상태를 LED 등을 통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스텝모터(22)를 제어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4개의 상태LED가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는 것에 의하여 제어신호에 따른 스텝모터(22)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등을 연계하여 확인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가 프로그램에 따른 스텝모터(22)의 구동에 대하여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7-세그먼트(24)는 8개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각각의 7-세그먼트(24)는 8개의 LED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7-세그먼트(24)는 숫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8"형상으로 배열된 7개의 막대 LED와 소수점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8"의 하단 좌측에 배치되는 1개의 도트 LED로 이루어진다.
상기 7-세그먼트(24)는 LED 대신에 형광표시관(VFD)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7-세그먼트(24)는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며, 상기 7-세그먼트(24)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64개(하나의 7-세그먼트(24)가 8개의 LED로 구성되고 8개의 7-세그먼트(24)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므로 8×8=64)의 출력 비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출력 신호선을 줄이기 위하여 다이나믹 스캐닝 방식으로 상기 7-세그먼트(24)를 구동하게 되면, 시분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8개의 출력 비트와 8개의 자릿수 지정 비트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실제로는 16개의 출력 비트만으로 8개가 한세트인 상기 7-세그먼트(24)의 구동에 대한 설계와 실습이 가능하다.
상기 도트매트릭스(26)는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며, 14×10 등의 다양한 조합의 행과 열을 갖는 매트릭스방식으로 발광점을 구성하도록 다수의 LED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도트매트릭스(26)는 14×10=140개의 LED를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온/오프하도록 출력 비트(제어신호)를 지정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이나 문자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트매트릭스(26)의 경우에도 상기 7-세그먼트(24)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버스를 렛치하여 원하는 엘리먼트를 다이나믹 스캐닝 방식으로 구동하면, 출력 비트를 14+10=24개(14개의 온/오프 출력 비트와 10개의 자릿수 지정 비트)로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상표시부(30)는 텍스트 LCD(32) 및 TFT LCD(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텍스트 LCD(32)는 예를 들면 20×2 등으로 구성되고,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다.
상기 화상표시부(30)의 텍스트 LCD(3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문자데이터의 구현방법을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상표시부(30)의 텍스트 LCD(32)를 LCD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ASCII 도형 문자와 일본어 가다가나 문자 이외에도 몇가지 특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TFT LCD(34)는 그림이나 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을 겸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화상표시부(30)는 텍스트 LCD(32)와 TFT LCD(34) 이외에도 PDP나 EL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스위치(40)는 다수의 키패드(42)와 푸시스위치(44)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로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통하여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키패드(42)는 0∼9의 10개 숫자와 *, # 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12개로 구성되며, 입력 포트를 절약하기 위하여 3×4 매트릭스로 스캐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원을 공유하기 위하여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푸시스위치(44)는 온/오프 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8개로 구성한다.
상기 입력스위치(40)는 8개의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는 2개의 딥스위치(46)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딥스위치(46)는 설정번지를 16비트 단위로 읽을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가 환경을 미리 딥스위치(46)로 설정을 하고 프로그램이 부팅시 그 설정상태를 보고 프로그램의 환경을 재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가 PC 또는 외부 장비에 연결되기 위한 RJ-45 포트 4개, ATM25 포트, RS-232 커넥터, RS-485와 연결되는 HDLC 포트, 랜 포트, 컴퓨터의 프린터 포트와 프린터 연장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BDM(Background Debugging Mode) 연결용 프린터 포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연결하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모니터, 디지털카메라, 마우스, 키보드 등)의 필요에 따라 시리얼포트, 패러렐포트, PS/2 포트, USB 포트 등의 해당 포트를 증감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블루투스(Bluetooth)연결을 위한 Bluetooth UART 포트, 적외선 입력을 위한 IrDA transceiver 포트, 오디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Audio CEDEC 포트, PCMCIA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PCMCIA 포트(슬롯) 등을 더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버스(70)를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온칩(1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스템온칩(12)은 ARM 프로세서, FPGA, DSP 등을 필요에 따라 하나이상선정하여 상기 브래드보드(3)에 장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스템온칩(12)은 중앙처리부(10)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되며, 상기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온칩(12)에는 플래시메모리, SDRAM 등의 메모리(19)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온칩(12)은 하드웨어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연결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온칩(12)은 상기 프로그래머블 LED(28), 7-세그먼트(24), 도트매트릭스(26), 화상표시부(30), 입력스위치(40) 등을 상기 중앙처리부(10)의 임베디드 프로세서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시스템온칩(12)에 프로그래머블 LED, 7-세그먼트, 도트매트릭스, 화상표시부, 입력스위치 등을 별도로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온칩(12)에는 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한 VGA 포트, 키보드나 마우스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PS/2 포트 등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더넷 포트, 시리얼 포트, 확장 포트 등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온칩(12)은 상기 임베디드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중앙처리부(1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50)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별도의 인터페이스부(51)를 시스템온칩(12)에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시스템온칩(12)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51)는 상기 중앙처리부(1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5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시스템온칩(12)에 적합한 포트만을 특정하게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온칩(12)을 구성하면, FPGA/ARM 프로세서 등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실습하는 것도 가능하며, VGA 포트를 이용한 모니터 제어, PS/2 포트를 이용한 마우스와 키보드 제어, 화상표시부 제어, 7-세그먼트 제어 등을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더넷 포트를 이용한 LAN 제어, 시리얼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 확장 포트를 통한 USB, TFT LCD, AD-DAC 제어 등을 실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메인보드(2)에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중앙처리부(10)를 구성하고 브래드보드(3)에 시스템온칩(12)을 장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메인보드(2)에 시스템온칩(12)을 장착하여 중앙처리부(10)를 구성하고 브래드보드(3)에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의하면, 소스공개로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하게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한 리눅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실험 및 실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프로그램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장에서 직접 다양한 하드웨어(스텝모터, 7-세그먼트, 화상표시부, 도트매트릭스 등)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쉽게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가 어떻게 설계되고 제어되는 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의하면,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강력한 네트워크 기반 통신 구축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픽과 오디오 등에 대한 실험과 실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의하면, 시스템온칩을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장착하므로, 입력과 출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및 통신에 대한 실습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오디오와 비디오, 적외선, 블루투스 등 다양한 장치에 대한 실습이 가능하다.

Claims (4)

  1.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임베디드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A/D 및 D/A 컨버터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텝모터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 숫자와 특정 기호를 표시하는 복수의 7-세그먼트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발광점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도트매트릭스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표시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하나이상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스위치와,
    상기 중앙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확장버스를 통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온칩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브래드보드를 설치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D 및 D/A 컨버터에는 마이크입력, 라인입력, 아날로그입력의 입력포트와 앰프 출력, 아날로그 출력의 출력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7-세그먼트는 8개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텍스트 LCD와 TFT LCD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12개의 키패드와 8개의 푸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가 PC 또는 외부 장비에 연결되기 위한 RJ-45 포트 4개, ATM25 포트, RS-232 커넥터, RS-485와 연결되는 HDLC 포트,랜 포트, 프린터 포트, VGA 포트, PS/2 포트, USB 포트, IrDA transceiver 포트, Bluetooth UART 포트, Audio CODEC 포트 중에서 복수개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KR20-2003-0029125U 2003-09-09 2003-09-09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KR200336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125U KR200336801Y1 (ko) 2003-09-09 2003-09-09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125U KR200336801Y1 (ko) 2003-09-09 2003-09-09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01Y1 true KR200336801Y1 (ko) 2003-12-24

Family

ID=4934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125U KR200336801Y1 (ko) 2003-09-09 2003-09-09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3B1 (ko) 2008-02-04 2008-12-10 장정우 마이크로 컨트롤러 실습용 트레이닝 키트
KR101411932B1 (ko) * 2013-09-17 2014-06-26 주식회사 한백전자 임베디드 환경의 스마트기기 융복합 플랫폼 실습장치
KR101585647B1 (ko) * 2014-04-07 2016-01-14 ㈜시소드림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교육용 보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3B1 (ko) 2008-02-04 2008-12-10 장정우 마이크로 컨트롤러 실습용 트레이닝 키트
KR101411932B1 (ko) * 2013-09-17 2014-06-26 주식회사 한백전자 임베디드 환경의 스마트기기 융복합 플랫폼 실습장치
KR101585647B1 (ko) * 2014-04-07 2016-01-14 ㈜시소드림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교육용 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llar et al. . net gadgeteer: A platform for custom devices
US5193069A (en) Portable computer to which different types of flat display panels can be attached
KR20170135481A (ko) 코딩 툴 키트
KR200336801Y1 (ko) 시스템온칩과 임베디드시스템 실습장치
CN202171892U (zh) 数字系统设计教学平台
Ali et al. Module-based Edukit for teaching and learning 8051 microcontroller programming
Hamblen et al. Introducing embedded systems in the first C/C++ programming class
CN110610639A (zh) 一种课程可扩展的综合教学实验平台
Donzellini et al. Microprocessor systems on FPGA
CN2621318Y (zh) 嵌入式系统教学仪器
Bell et al. Introducing Qwiic and STEMMA QT
KR100420112B1 (ko) 라이터 일체형 씨피엘디 에프피지에이 보드
KR200337962Y1 (ko) 트라이샌드 시스템 온 칩을 활용한 시스템 온 칩 및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장비
KR20230064747A (ko) 코딩교육용 메인 컨트롤러 보드
Fryza Practical training for development and programming of embedded systems
Hutchings et al. Interfacing with C
KR20050017641A (ko) 트라이샌드 시스템 온 칩을 활용한 시스템 온 칩 및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장비
Hamad et al. A PIC-based microcontroller design laboratory
KR200244712Y1 (ko) 라이터 일체형 씨피엘디 에프피지에이 보드
KR200355121Y1 (ko) 임베디드프로세서와 디지털신호처리프로세서 병렬 처리개발 및 실습 장치
KR200291743Y1 (ko) 센서 응용 학습을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학습 장치
Balon et al. Using VIDI-X Microcomputers i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FR2587812A1 (fr) Dispositif interface pour micro-ordinateur pour la commande dans l'automatisme industriel, la robotique et l'instrumentation
CN205050442U (zh) 一种立体便携式嵌入式系统开发教学仪器
Roy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SMS Controlled Faculty’s Status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