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405Y1 - Placard supporter - Google Patents

Placard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405Y1
KR200336405Y1 KR20-2003-0028657U KR20030028657U KR200336405Y1 KR 200336405 Y1 KR200336405 Y1 KR 200336405Y1 KR 20030028657 U KR20030028657 U KR 20030028657U KR 200336405 Y1 KR200336405 Y1 KR 200336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upport rod
bar
holder
weigh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Priority to KR20-2003-0028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40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40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들 사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막대와; 상기 중량체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변형부를 갖는 세로 바아와; 상기 세로 바아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막대와; 상기 중량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와; 상기 세로 바아 또는 상부 지지막대에 장착되는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holder, two or more weights; At least one lower support rod fixed between said weights; Vertical bars each provided on the weight body and having elastic deformation parts; An upper support ro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bars; A low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to the weight body via an elastic member; It consists of an upp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on the vertical bar or the upper support rod.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풍압을 이중으로 흡수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현수막을 지지하며, 탄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현수막이 크게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중량체로 세로 바아를 지지하며, 상기 중량체를 고정 못을 통해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mount banners of various sizes, and when installed outdoors, it absorbs wind pressure twice so that the banners are more stably supported,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elastic part remain undeformed. Since the banner is not significantly deformed,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enhanced. In addition, the vertical bar is supported by the weight, and the weight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ing nail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Description

현수막 거치대{Placard supporter}Banner Holder {Placard supporter}

본 고안은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옥외에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현수막을 지지하기 위한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ner holder for supporting a banner for advertising purposes indoors or outdoors.

광고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현수막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로수와 같은 지지체에 양단을 고정하거나 별도의 설치대를 사용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수에 장착하는 것은 불법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어렵고, 설치대를 특정한 장소에만 설치되어 있어 자유로운 사용이 불가능하다.Banners commonly used for advertising purposes are generally posted on fixed supports such as roadside trees or by using separate mounts. However, it is not only illegal to install on the roadside tree, but also very difficult to install, and since the mounting table is installed only at a specific place, it is not free to use.

따라서, 임의의 크기를 갖는 현수막을 실내외 구별 없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에 대해 여러 가지 형태의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types of banners have been proposed for a banner holder for freely installing a banner having an arbitrary siz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3054호(출원번호 : 20-2000-0016594호)에서와 같이 하부에 중량체를 장착하고 여기서 탄성을 갖는 폴대를 사용하여 현수막을 장착하는 구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중량체를 사용하여 안정감 있게 현수막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설치할 수 있는 현수막의 크기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 사용하는 경우에 강한 바람이 불면 풍압을 폴대의 변형만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현수막이 올바르게 펼쳐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폴대가 변형될 우려도 있다.As an example,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3054 (Application No .: 20-2000-0016594) discloses a structure for mounting a heavy weight on the lower part and mounting a banner using an elastic pole Doing. According to the above technolog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can be used to support the banner stably,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size of the banner that can be installed, and when the wind is used outdoors, the wind pressure is absorbed only by the deformation of the pole. As a result, the banners may not be spread correctly, and in some cases, the poles may be deform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을 자유롭게 게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이 부는경우에도 풍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현수막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post banners of various sizes freely, but also absorbs wind pressure effectively in the event of strong winds to maintain a stable unfolded banner. It is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 placard hold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상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하부 지지막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support ro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현수막 지지막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nner support b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세로 바아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installed in the vertical ba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높이 조절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shown in FIG.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중량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ight bod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중량체에 대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the weight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중량체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ight shown in FIG. 8. FIG.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상당도이다.11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둘 이상의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들 사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막대와; 상기 중량체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변형부를 갖는 세로 바아와; 상기 세로 바아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막대와; 상기 중량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와; 상기 세로 바아 또는 상부 지지막대에 장착되는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wo or more weights; At least one lower support rod fixed between said weights; Vertical bars each provided on the weight body and having elastic deformation parts; An upper support ro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bars; A low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to the weight body via an elastic member; It consists of an upp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on the vertical bar or the upper support rod.

즉, 본 고안에서는 둘 이상의 중량체를 사용하여 적어도 현수막의 양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의 하부에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현수막이 장착되는 세로 바아에도 별도의 탄성 변형부를 부여함으로써 풍압을 이중으로 흡수하면서도 각각의 지지 바아나 막대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강한 바람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t least two weights, not only can be stably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banner, but also the elastic member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nner, and a separate elastic deformation part is also provided to the vertical bar on which the banner is mounted. While absorbing the wind pressure twice, each support bar or rod can be kept undeformed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by strong winds.

여기서, 상기 중량체는 자체 중량이 무거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취급의 편의를 위해 내부에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비사용시에는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중량체의 상부면에는 유체 주입구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Here, the weight body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eavy weight, but for easy handling, it form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fluid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when not in use. To this end, a fluid inlet should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상기 하부 지지막대는 인접한 중량체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에 상기 하부 지지막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하부 지지막대가 홈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상기 홈의 단부에 수직 방향의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지지막대의 양단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절곡시켜서 삽입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서 횡방향의 힘에 대해 지탱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support rod is for supporting adjacent weights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nd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lower support rod may form a groov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of the weight to support the lower weight. It can be fixed with the rod inserted inside the groove. In this case, in order to fix more stably, it is preferable to form insertion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grooves, and to be insert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rod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This makes it possible to bear against lateral forces.

이때, 상기 하부 지지막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위해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는 중량체의 표면을 덮는 덮개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 ro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for a beautiful appearance, a cover for covering the surface of the weight body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body.

이 경우, 유체 주입구를 덮개가 가리는 부분이 아닌 곳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장착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덮개의 중앙부에 상기 유체 주입구와 대응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과 유체 주입구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마개를 사용하여 동시에 홀과 유체 주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마개를 나사산을 이용하여 끼우게 되면 유체 주입구를 막을 뿐만 아니라 덮개가 중량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luid inlet may be formed at a portion other than that covered by the cover, but for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luid inle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and coupl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at the hole and the fluid inlet. It is recommended to use a stopper to close the hole and the fluid inlet at the same time. Threading the stopper with a thread prevents the cover of the fluid inlet and prevents the cover from escaping from the weight.

한편, 상기 세로 바아는 중량체에 고정되는데, 중량체의 상면에 별도의 장착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의 내부에 세로 바아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면 중량체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착 또한 편리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bar is fixed to the weight body, but may be formed a separate mount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preferably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vertical bar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Not only is it easy, but it is also convenient to mount.

상기 탄성부재는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장착 후 현수막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상기 중량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가 현수막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되는데, 현수막에 구멍을 뚫은 후 여기에 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장착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지지막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후크를 장착하여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correspond to a banner of various sizes and is intended to maintain a taut unfolded state after mounting. 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one end of the weigh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while the lower banner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banner. After drilling a hole in the banner,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connected thereto,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for convenience of mounting. A hook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rod may be mounted for easy detachment.

상기 중량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중량체의 타단부에 고정용 못이 삽입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따라서,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 중량체의 내부에 유체를 채운 후 고정용 못을 상기 고리를 관통하도록 지면에 박으면 매우 안정적으로 중량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upport the weight more stably, the other end of the weight may form a ring into which the fixing nail is inserted. Therefore, in the case of installing on the ground, if the fluid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weight body and the nail is fixed to the ground so as to pass through the ring,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weight very stably.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는 현수막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끼워져서 현수막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보관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막대가 막대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중간 연결구에 의해 결합되며, 지지막대의 양단에는 지지막대의 내부를 관통하는 탄성줄이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banner support rods ar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anner to maintain the banner in an unfolded state, a rod having a fixed length can be us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it takes up a lot of volume during storage, preferably, a plurality of rods are coupled by intermediate connectors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ods, and elastic cords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rods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rods. It is good to have a structure.

이로 인해, 미사용시에는 각각의 막대를 중간 연결구로부터 분리하여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Because of this, when not in use, each rod can be stored separately from the intermediate connector can be folded and occupy a small volume.

상기 탄성부재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허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상기 세로 바아에도 높이 조절 기구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높이 조절 기구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데, 예컨데 망원경식으로 다수개의 막대를 삽입하고 각 연결부마다 측면에서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식도 채용할 수 있다.Due to the elastic member, it is possible to use banners of various sizes, but it is preferable to add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to the vertical bar to widen the allowable range. Various types of height adjustment mechanisms can be used. For example, a telescopic type can be used to insert a plurality of rods and fix each side using a fixing bolt on the side.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세로 바아는 고정 바아와, 상기 고정 바아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 바아 및 고정 바아와 이동 바아를 연결하는 중간 고정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바아는 일단부에 직경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인접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정구는 내부에 상기 절개부를 중심방향으로 누르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형태의 것을 들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ertical bar is composed of a fixed bar, a moving bar inserted into the fixed bar and an intermediate fastener connecting the fixed bar and the moving bar, wherein the fixed bar can change the diameter at one end thereof. It includes a thread formed to the incision portion and the adjacent portion formed in the incision, the intermediate fastener may be of the form that is formed inside the inclined portion pressing the incision in the center direction.

이 경우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 바아를 고정 바아로부터 인출한 후 중간 고정구를 회전시키면 중간 고정구 내부의 경사부가 절개부를 눌러서 이동 바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도 간편하다.In this case, if the moving bar is withdrawn from the fixed bar by the desired height and the intermediate fixture is rotated, the inclined portion inside the intermediate fixture presses the incision to fix the moving bar. Therefore, not only can provide a more beautiful appearance, but also is easy to use.

한편, 상기 변형부는 세로 바아의 재질보다 우수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된 물체의 양단부에 세로 바아를 연결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deforma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to both ends of the object of the material having a superior elasticity than the material of the vertical bar, preferably a coil spring.

상기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는 한 쌍의 후크를 통해서 세로 막대 또는 상부 지지 바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upper banner support rod may be conveniently mounted by being mounted on a vertical bar or an upper support bar through a pair of hook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전체적으로 4각형의 프레임 형태를 갖고있으며, 최하부에는 한 쌍의 중량체(110)가 위치한다. 상기 중량체(110)는 비중이 큰 물체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취급의 편의를 위해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물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량체의 전단부에는 코일 스프링(21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리(11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is embodiment 100 has a quadrangular frame shape as a whole, and a pair of weights 11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thereof. The weight body 110 may be made of an object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but is made of a light material for convenience of handling, and a space for filling water is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weight body is formed with a ring 112, one end of the coil spring 210 is fixed.

상기 중량체(110)의 윗면에는 중량체의 윗면과 밀착되는 형태를 갖는 덮개(120)가 장착된다. 상기 덮개(120)는 중량체의 윗면을 덮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하부 지지막대(1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덮개(120)는 마개(130)를 통해 중량체와 고정되는데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110 is mounted with a cover 120 having a form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The cover 120 not only provides a beautiful appearance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but also serves to prevent the lower support rod 140 to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separated. The cover 120 is fixed to the weight through the stopper 130, the coupling relationship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중량체의 사이에는 한 쌍의 하부 지지막대(1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막대(140)는 철제 파이프로 구성되며 현수막이 게시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 설치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막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실내와 같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막대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각각의 지지막대(140)는 중량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막대(140)의 양단부에는 절곡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142)는 상기 중량체에 형성된 삽입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그 위를 상기 덮개가 덮게 된다. 이들의 상세한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pair of lower support rods 140 are connected between the weights. The lower support rod 140 is made of an iron pip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banner is posted. That is, two support rods may be used as shown, and when used in a stable environment such as a room, one bar may be used. Each support bar 140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weight body. Referring to FIG. 3, bent parts 14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140. The bent portion 142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weight body and the cover is covered thereon. These detailed coupling relations are mentioned later.

상기 마개(130)에는 각각 고정 바아(15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 바아(150)는 중량체(110)의 임의의 부분에 장착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30)의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끼워 넣는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 바아(150)의 상부에는 고정 바아(15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고정 바아(150)의 내부에 일부가 수용되는 이동 바아(160)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 바아(150)와 이동 바아(160)를 중간 고정구(170)가 단단히 연결하고 있다.Fixing bar 150 is mounted to the stopper 130, respectively. The fixing bar 150 may be mounted on any portion of the weight body 110, but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in the stopper 130 and insert it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r 15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xed bar 150, the moving bar 160 is accommodated in a portion of the fixed bar 150 is fitted, the fixed bar 150 and the moving bar ( The middle fixture 170 is firmly connected to 160.

이동 바아(160)의 상단부에는 변형부로서 코일 스프링(16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62)은 현수막에 작용하는 풍압이 높을 경우 변형되면서 풍압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162)의 타단부에는 중앙부가 90°로 절곡된 모서리부(16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부(164)에는 현수막을 걸기 위한 후크(166)가 설치되어 있다.The coil spring 162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bar 160 as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The coil spring 162 is configured to absorb the wind pressure while deforming when the wind pressure acting on the banner is high.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162 is coupled to the corner portion 164 bent at a 90 ° center portion, the corner portion 164 is provided with a hook 166 for hanging a banner.

상기 후크(1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164)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며 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데 여기에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200)가 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중공 파이프(202a, 202b, 202c)를 중간 연결구(204)에 의해 연결한 형태로서, 상기 중간 연결구(204)는 중공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또한, 양단부에는 마개(206)가 끼워지며 중공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무줄(208)의 양단이 상기 마개(206)에 각각 고정된다.The hook 166 extends to protrude from the edge portion 164 as shown, and has an end portion bent upwardly, and is supported with the upper banner support rod 200 mounted thereon. The upper banner support rod 200 is formed by connecting three hollow pipes 202a, 202b, and 202c by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4, as shown in FIG. 4,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4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It has the same inner diameter as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topper 206 is fitted, and both ends of the rubber band 208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hollow pipe is fixed to the stopper 206, respectively.

따라서, 현수막 지지막대(200)는 상기 고무줄(208)로 인해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중간 연결구에 모두 결합하면 고무줄의 장력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결합되며, 비사용시에는 도 4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nner support rod 200 is always kept connected due to the rubber band 208. When all ar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they are firmly coupled without being released due to the tension of the rubber band. As shown, it can be folded and stored to minimize the occupied space.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200)를 모두 연결한 후 현수막의 상부에 끼운 후 상기 후크(166)에 올려두면 현수막의 상부 지지가 완료되는데, 이때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현수막의 지점에 구멍을 뚫어서 현수막이 후크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After connecting all of the upper banner support rods 200 and inserting them on the top of the banner and placing them on the hook 166, the upper support of the banner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banner is made by drilling a hole in the banner corresponding to the hook position. Make sure that it is reliably supported by the hook.

상기 현수막의 하부에는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2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200')는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2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200')는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210)에 의해 중량체(11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 바아(16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210)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현수막이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바람이 부는 경우 현수막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차적으로 코일 스프링(210)의 인장으로 인해 흡수하고, 이차적으로 이동 바아(160)와 모서리부(164) 사이의 코일 스프링(164)의 변형으로 다시 한번 풍압을 흡수하므로 효과적으로 풍압에 대응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변형없이 유지되므로 현수막이 크게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lower banner support rod 200 ′ is installed below the banner. Since the lower banner support bar 200 ′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banner support bar 200,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is omitted. Meanwhile, the lower banner support rod 200 ′ is coupled to the weight body 110 by an elastic member, preferably the coil spring 210.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movement bar 160 is adjusted to maintain the coil spring 210 in a tensioned state. As a result, the banner is alway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and when the wind blows, the wind pressure applied to the banner is primarily absorbed due to the tension of the coil spring 210, and the moving bar 160 and the corner portion 164 are secondarily. Since the wind pressure is absorbed once again by the deformation of the coil spring 164 therebetween, the wind pressure can be effectively responded, and since the remaining part is maintained without deformation, the banner can be maintained in a largely undeformed state.

마지막으로, 상기 한 쌍의 모서리부(164)의 사이에는 상부 지지막대(180)가 고정된다.Finally, the upper support rod 180 is fixed between the pair of corner portions 164.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아(150)의 단부 부근에는 나사산(152)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4개의 조임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154)는 고정 바아(150)의 단부에 '+' 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외면은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5 to 7, a screw thread 152 is formed near the end of the fixing bar 150, and four fasteners 154 are formed at the end. The tightening portion 154 is formed by forming an incision in the '+' shape at the end of the fixing bar 150,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상기 중간 고정구(170)는 내부에 상기 고정 바아(150)와 이동 바아(16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두 개의 공간의 사이에는 상기 조임부(154)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72)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 바아(150)측 공간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 바아(15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fixture 170 has a space for inserting the fixing bar 150 and the moving bar 160 therein, the inclined portion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ightening portion 154 between the two spaces 172 is formed.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pace on the fixed bar 150 side, and is coupled to the thread formed on the fixed bar 150.

중간 고정구(170)를 돌려서 도 6과 같은 상태로 이동시키면 이동 바아(160)는 고정 바아(15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 바아(160)를 원하는 위치에 둔 후, 상기 중간 고정구(170)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중간 고정구(170)의 경사부(172)와 고정 바아(150)의 조임부(154)가 접촉하게 되고, 중간 고정구(170)가 고정 바아쪽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경사부(172)가 조임부(154)의 표면을 강하게 누르게 되며 조임부(154)안 중심을 향해 변형되면서 이동 바아(160)를 단단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intermediate fixture 170 is rotated and moved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6, the movement bar 160 may move freely inside the fixing bar 150. In this state, after the moving bar 160 is placed in a desired position, the intermediate fastener 17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172 of the intermediate fastener 170 and the fastening portion 154 of the fixing bar 150 are fixed. When the intermediate fixture 170 is moved further toward the fixing bar, the inclined portion 172 strongly presses the surface of the tightening portion 154 and is deformed toward the center in the tightening portion 154 while moving the bar ( 160) is firmly fixed. Through this, the height can be adjusted freely.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중량부(110)의 표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체 주입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주입구(114)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120)에도 유체 주입구(114)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홀(122)이 형성되며 그 내벽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마개(130)는 전체적으로 볼트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체 주입구(114) 및 홀(122)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여 덮개(120)가 중량체(110)에 고정되도록 하며,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고정 바아(150)가 삽입되면서 지지된다.8 to 10, a fluid inlet 1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eight part 110 to communicate with an internal space,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fluid inlet 114. In addition, the cover 120 also has a hole 1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uid injection port 114,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at the inner wall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130 has a bolt-like shape as a whole and is coupled to the thread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fluid inlet 114 and the hole 122 so that the cover 120 is fixed to the weight body 110, and inserted therein Grooves are formed and supported while the fixing bar 150 is inserted therein.

또한, 상기 중량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지지막대(14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118)의 안쪽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홀(119)이 형성되어 여기에 하부 지지막대의 절곡부(142)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 지지막대는 삽입홈(118)에 끼워진 상태에서 윗면에 덮개가 덮여지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중량체의 일단부에는 고리(1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113)를 관통하여 고정용 못(116)을 지면에 박으면 중량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11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8 for receiving the end of the lower support rod 140, the insertion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18) ( 119 is formed and the bent portion 142 of the lower support rod is fitted thereto to be fixed. Therefore, the lower support rod is covered in the upper surface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8 can be fixed stably without being separated. A hook 1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weight body, and penetrates the hook 113 to the fixing nail 116 on the ground, so that the weight body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중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사용되는 현수막의 크기에 따라서 세 개 이상의 중량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단부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중량체를 사용하며,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량체의 경우 상기 삽입홈(118)이 중량체의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게 된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use of two weights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ree or more weight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nner used. In this case, the same weight as described above is used for both ends, and in the case of the weight positioned at the center, the insertion groove 118 is formed to cross the surface of the weight.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210)의 일단부가 현수막을 뚫고 하부 지지막대와 결합되도록 설명되었으나, 코일 스프링(210)의 단부에 고리모양의 후크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탈착하는 실시예도 고려해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를 고정하는 후크(166)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막대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후크(166') 형태로 구성하면 현수막에 구멍을 뚫을 필요없이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one end of the coil spring 210 has been described to penetrate the banner and be coupled with the lower support rod, but an embodiment in which the hook-shaped hook is easily installed and detached at the end of the coil spring 210 may be considered. . Similarly, when the hook 166 fixing the upper banner support rod is also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ok 166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support rod as shown in FIG. 11, the hook 166 can be conveniently mounted without having to make a hole in the banner. ha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풍압을 이중으로 흡수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현수막을 지지하며, 탄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현수막이 크게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mount banners of various sizes, and when installed outdoors, it absorbs wind pressure twice so that the banner is more stably supported. Since the status is not maintained, the banner is not significantly de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advertising effect.

아울러, 중량체로 세로 바아를 지지하며, 상기 중량체를 고정 못을 통해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is supported by the weight, and the weight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ing nail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Claims (15)

둘 이상의 중량체와;Two or more weights; 상기 중량체들 사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막대와;At least one lower support rod fixed between said weights; 상기 중량체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변형부를 갖는 세로 바아와;Vertical bars each provided on the weight body and having elastic deformation parts; 상기 세로 바아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막대와;An upper support ro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bars; 상기 중량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와;A low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to the weight body via an elastic member; 상기 세로 바아 또는 상부 지지막대에 장착되는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로 구성되는 현수막 거치대.The banner holder is configured as an upper banner support rod mounted on the vertical bar or the upper support r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량체의 내부에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중량체의 상부면에는 유체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banner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fluid is formed inside the weight body, the fluid in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 지지막대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rod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홈의 단부에는 수직 방향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지막대의 양단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An insertion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roove,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 rod is a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는 중량체의 표면을 덮는 덮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덮개의 중앙부에는 상기 유체 주입구와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과 유체 주입구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마개가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And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luid inle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and a stopper coupled to a thread formed in the hole and the fluid inlet is additionally install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마개의 내부에는 세로 바아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량체의 일단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one end of the weigh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는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와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mounted for coupling with the lower banner support ba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중량체의 타단부에는 지면 고정용 못이 삽입되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Placar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weight is formed with a ring is inserted into the nail for fixing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및 하부 현수막 지지막대는 다수의 막대가 막대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중간 연결구에 의해 결합되며, 지지막대의 양단에는 지지막대의 내부를 관통하는 탄성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upper and lower banner support rod is a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ds are coupled by an intermediate connector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od,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are fixed with elastic lines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r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로 바아는 높이 조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vertical bar has a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로 바아는 고정 바아와, 상기 고정 바아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 바아 및 고정 바아와 이동 바아를 연결하는 중간 고정구로 구성되며,The vertical bar is composed of a fixed bar, a moving ba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bar, and an intermediate fastener connecting the fixed bar and the moving bar, 상기 고정 바아는 일단부에 직경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인접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며,The fixing bar includes an incision formed to change the diameter at one end and a thread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incision; 상기 중간 고정구는 내부에 상기 절개부를 중심방향으로 누르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intermediate fixture is a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press the incision in the cent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형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deformable portion of the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현수막 지지막대는 한 쌍의 후크를 통해서 세로 막대 또는 상부 지지 바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The upper banner support rod is a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vertical bar or the upper support bar through a pair of hooks.
KR20-2003-0028657U 2003-09-05 2003-09-05 Placard supporter KR2003364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57U KR200336405Y1 (en) 2003-09-05 2003-09-05 Placard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57U KR200336405Y1 (en) 2003-09-05 2003-09-05 Placard suppor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240A Division KR100452969B1 (en) 2003-09-05 2003-09-05 Placard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405Y1 true KR200336405Y1 (en) 2003-12-18

Family

ID=4942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57U KR200336405Y1 (en) 2003-09-05 2003-09-05 Placard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40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54U (en) * 2019-10-10 2021-04-21 정성의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54U (en) * 2019-10-10 2021-04-21 정성의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KR200494748Y1 (en) * 2019-10-10 2021-12-15 최호선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183B1 (en) Corrugated yard sign
KR100452969B1 (en) Placard supporter
CA2109752A1 (en) Non-furling flag mount
US11034186B1 (en) Pumpkin display system and method
KR200336405Y1 (en) Placard supporter
KR200410843Y1 (en)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KR100870072B1 (en) stand for attaching the advertising sign
US7421972B1 (en) Flag retaining device
KR200494127Y1 (en) Banner Stand for Gardening with Advertising Member
US20120234505A1 (en) Garage door storage space utilizer
KR101383154B1 (en) Hanging device for banner
US8474394B2 (en) Vertical flag display apparatus
CN202221705U (en) Plastic shell for anchor type quick plug-in capacitor
KR20140001549U (en) Placard a rack system
US20100050490A1 (en) Sign attachment device
US9881527B1 (en) Flexible tensioned banner
KR200181497Y1 (en) Placard a rack system
KR200365725Y1 (en) Supporting tool for screen-signboard device
KR200325616Y1 (en) a placard displayer
CN219085626U (en) Billboard mounting mechanism
KR102399889B1 (en) Banner stand
KR100661855B1 (en) A stand for hanging for placard
CN218001424U (en) Support base and multifunctional support
KR200200033Y1 (en) Supporter of hanging placard for advertisement of stand type
KR20240007977A (en) A mounting device for spring b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