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071Y1 - 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071Y1
KR200336071Y1 KR20-2003-0029799U KR20030029799U KR200336071Y1 KR 200336071 Y1 KR200336071 Y1 KR 200336071Y1 KR 20030029799 U KR20030029799 U KR 20030029799U KR 200336071 Y1 KR200336071 Y1 KR 200336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uilt
folder
portab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07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제 1 안테나를 구비하고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제 2 안테나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환경에 맞게 안테나를 스위칭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with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in a mobile terminal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antenna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folder and an upper end of a lower fo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having a second antenna and switching the antenna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용 안테나는 통상 외장형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쉽게 파손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antenna fo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normally mount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s an external ty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ut also can be easily damag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또한,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의 상부에 안테나를 내장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배터리 상부 내장형 안테나는 그 크기가 제한되어 성능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화시에 사용자의 손에 의해 안테나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므로 복사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external antenna has been proposed a technology for embedding the antenna on the top of the battery, such a built-in antenna on the top of the battery is limited in size it is not good performance and in the hands of the user during the call As a part of the antenna is covered by this,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radiation efficiency is drastically lowered.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테나가 내장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스위칭 작용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환경에 적합한 안테나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effect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operating the antenna suitable fo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antenna built-in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Description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Built-in antenna with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and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본 고안은 스위칭에 의해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제 1 안테나를 구비하고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제 2 안테나를 구비하여 사용 조건에 맞게 스위칭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mprov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y switching, and more particularly, in a folding terminal, a first antenna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folder and a second part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a lower fo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and switching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용 안테나는 통상 외장형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도록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쉽게 파손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antenna fo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sually mount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s an external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ut also can be easily damag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형 안테나와 신축가능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형 안테나(103)와 신축가능 안테나(104)는 통상 단말기(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에 안테나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나사 체결에 의한 방식으로 장착하게 된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fixed antenna and a flexib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As shown, the fixed antenna 103 and the expandable antenna 104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usually provided with fixing means (not show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tenna in a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terminal 100. And screw) to the mounting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장형 안테나들은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휴대시에 불편함을 수반하게 되고, 더욱이 안테나의 측면으로부터 강한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게 될 경우 쉽게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색상이나 형태가 다양하지 않으므로 단말기의 디자인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external antennas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which causes inconveniences in carrying, and moreo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antennas are easily damaged when a strong force or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antenna.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harmonize with the design of the terminal because the color or shape is not varied.

이러한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의 상부에 안테나를 내장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내장형 안테나는 통화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안테나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므로 복사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external antenna, a technology for embedding the antenna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has been proposed, but such an internal antenna has a part of the antenna covered by the user's hand during a call, and thus the radiation efficiency is drastically lowered. There is another problem.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직접 접속되어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는 통화시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감싸쥐는 형태로 잡고 통화를 하게 되며, 단말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집게 손가락으로 안테나가 위치한 부분을 지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안테나가 가려지게 되어 복사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된다.That is, the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generally mounted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not shown) in the space formed on the top of the battery. However, the built-in antenna as described above is held in the form of the user holding the terminal during the call, and the call is made, and the antenna may be covered by the user's hand because the terminal may support the portion where the antenna is located with the index finger so as not to fall. The radiation efficiency is drastically reduced.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제 1 안테나를 구비하고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제 2 안테나를 구비하되 스위칭 작용에 의해 각각 수신대기 상태와 사용 상태에 적합한 안테나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foldable terminal having a first antenn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and a second antenna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but the receiving standby state and each by a switching action;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y allowing an antenna suitable for a use state to operat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fix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가능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flexib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c는 상기 도 1a 또는 도 1b의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정면 사용상태 예시도.Figure 1c is an illustration of the front use state of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antenna of Figure 1a or 1b.

도 1d는 상기 도 1a 또는 도 1b의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측면 사용상태 예시도.Figure 1d is an illustration of the side use state of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antenna of Figure 1a or 1b.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상기 도 2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2A.

도 2c는 상기 도 2a의 수신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ption standby state of FIG. 2A.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상기 도 3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3A.

도 3c는 상기 도 3a의 수신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ption standby state of FIG. 3A.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정면 사용상태 예시도.Figure 4a is an illustration of a front use state of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측면 사용상태 예시도.Figure 4b is an illustration of the side use state of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0, 200. 휴대 단말기 101, 201. 상측 폴더100, 200. Mobile terminal 101, 201. Upper folder

102, 202. 하측 폴더 103. 고정형 안테나102, 202. Bottom folder 103. Fixed antenna

104. 신축가능 안테나 105, 207. 사용자의 손104. Flexible antenna 105, 207. User's hand

203, 303. 제 1 안테나 204, 304. 제 2 안테나203, 303. First antenna 204, 304. Second antenna

205. 배터리 206. 스위치205. Battery 206. Switch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는, 통상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로 구분되어 힌지 등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내장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내장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가 맞닿는 부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단말기가 사용 상태일때는 상기 상측 폴더가 열림으로써 상기 제 1 안테나가 동작되도록 스위칭되고, 단말기가 수신대기 상태일때는 상기 상측 폴더가 닫힘으로써 상기 제 2 안테나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folded by a hinge or the like, usually divided into an upper folder and a lower folder, and is built i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an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and a switch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contact each other; and when the terminal is in use, the upper folder is opened. The first antenna is switched to operate, and when the terminal is in a reception standby state, the upper folder is closed to switch the second antenna to operate, thereby improv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y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상측 폴더(201)의 바깥면에 제 1 안테나(203)가 내장되고, 하측 폴더(202)의 상단부, 즉 배터리(205)를 제외한 부분에 제 2 안테나(204)가 내장되며, 상기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가 맞닿는 부분의 소정 위치에 스위치(206)가 장착되어 있다.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ntenna 203 is built i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201,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lder 202, that is, the portion excluding the battery 205 The second antenna 204 is built in the switch, and the switch 206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contact each other.

상기 스위치는 고주파 신호를 절환하되 2개의 경로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주파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기계적 접점을 구동하는 고주파 스위치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는 전자적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witch is a high-frequency signal for switching the high-frequency signal, but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 paths, a high-frequency switch for driving a mechanical contact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high-frequency line, or an electronic switch using a switching element can be used. .

도 2b는 상기 도 2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경우 상측 폴더(201)를 열어 송수신 모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상측 폴더가 열리면 스위치(206)에 의해 제 1 안테나(203)가 단말기 내부의 송수신 회로와 접속되어 동작하게 된다.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igure 2a, when receiving a call from the other party or a call to the other party to open the upper folder 201 i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when the upper folder is opened by the switch 206 The first antenna 203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circuit inside the terminal to operate.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측 폴더에 내장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갖는 저자세형(low profile)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회로기판에 형성된 패치 안테나, 프린티드 안테나 또는 박막 필름에 인쇄된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low profile having a flat shape to be embedded in an upper folder. For example, a patch antenna formed on a circuit board, a printed antenna, or an antenna printed on a thin film may be used. Can be used.

도 2c는 상기 도 2a의 수신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통상의 휴대 상태에서 상측 폴더(201)를 닫아 수신대기 모드가 된 상태이며, 이때는 상기 상측폴더가 닫히므로 스위치(206)에 의해 제 2 안테나(204)가 송수신 회로와 접속되어 동작하게 된다.FIG. 2C is a view showing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FIG. 2A. In the normal portable state, the upper folder 201 is closed to be in the reception standby mode.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folder is closed, the second folder is closed by the switch 206. FIG. The antenna 204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to operate.

상기 제 2 안테나는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갖는 저자세형(low profile)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회로기판에 형성된 패치 안테나, 프린티드 안테나 또는 역-에프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antenna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low profile having a flat shape so as to be embedd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a lower folder. For example, a patch antenna, a printed antenna, or an inverted-f antenna formed on a circuit board may be used. Can be used.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상측 폴더(201)의 바깥면에 제 1 안테나(303)가 내장되고, 하측 폴더(202)의 상단부, 즉 배터리(205)를 제외한 부분에 제 2 안테나(304)가 내장되며, 상기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가 맞닿는 부분의 소정 위치에 스위치(206)가 장착되어 있다.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ntenna 303 is built i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201,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lder 202, that is, the portion excluding the battery 205 The second antenna 304 is built in the switch, and the switch 206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contact each other.

도 3b는 상기 도 3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동작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측 폴더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 1 안테나는 선형(linear)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예로써 다이폴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안테나로서 이득이 높고 복사패턴이 우수한 선형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상태에서 송수신 효율이 종래에 비해 향상된다.FIG. 3B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FIG. 3A, the operation of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tenna is mounted to be embedded in the upper fol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antenna may be used if it is linear. For example, a dipole antenna or a monopole antenna may be used. Can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a linear antenna having a high gain and an excellent radiation pattern as the first antenna improv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in use.

도 3c는 상기 도 3a의 수신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동작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안테나는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경사지도록 내장되어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 2 안테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저자세형(low profile)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예로써 회로기판에 형성된 패치 안테나, 프린티드 안테나 또는 역-에프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안테나를 실제 사용환경에 적합하도록 경사지게 장착함으로써 수신대기 상태에서도 수신 효율이 종래에 비해 향상된다.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ception standby state of FIG. 3A, and its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is embedded and mounted to be inclin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For this purpose, the second antenna may be any low profile having a planar shape. Patch antennas, printed antennas or inverted-f antenna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antenna is inclined to be suitable for the actual use environment, the reception efficiency is improved even in the reception standby state.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장착된 단말기의 정면 및 측면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내장된 제 1 안테나에 의해 통화하게 됨으로써 통화시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감싸쥐는 형태로 잡고 단말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집게 손가락으로 하측 폴더의 상부(도 3a에서 제 2 안테나가 내장된 부분)를 지지하면서 통화를 하게 되더라도 복사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상측 폴더에 의해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가려지므로 휴대 단말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의 영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수신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하측 폴더의 상부에 내장된 제 2 안테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상태이므로 전술한 사용 상태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front and side use states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by the first antenna built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to make a call in the form of the user to hold the terminal in the call,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older with the index finger so that the terminal does not fall (see FIG. 3A 2) The copying efficiency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user makes a call while supporting the built-in antenna, and the head of the user is covered by the upper folder, thereby greatly affec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n the reception standby state, since the second antenna buil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lder is carried by the user,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user's hand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일실시예로써 상기 스위치에 의해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상기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되 상기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회로부 내에 전자적 스위칭 소자를 더 부가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separately used by the switch as an embodiment, but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simultaneously used, but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provided with the switch. An electronic switching element may be further added in the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to be used as a diversity antenn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위칭 작용에 의해 각각 수신대기 상태와 사용상태에 적합한 안테나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operating an antenna suitable for a reception standby state and a use state, respectively, by a switching action.

Claims (5)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로 구분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folder-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상기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내장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내장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가 맞닿는 부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A first antenna embedded i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an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And a switch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단말기가 사용 상태일때는 상기 상측 폴더가 열림으로써 상기 제 1 안테나가 동작되도록 스위칭되고, 단말기가 수신대기 상태일때는 상기 상측 폴더가 닫힘으로써 상기 제 2 안테나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하여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When the terminal is in use, the upper folder is opened to switch the first antenna to operate, and when the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the upper folder is closed to switch the second antenna to operate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Antenna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는 내장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The built-in antenna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built-in antennas,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선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The built-in antenna having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is a linear antenna,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는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The built-in antenna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ntenna is inclinedly mounted,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상측 폴더와 하측 폴더로 구분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folder-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상기 상측 폴더의 바깥면에 내장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하측 폴더의 상단부에 내장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로부 내에 전자적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A first antenna embedded i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folder;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an upper end of the lower folder; An electronic switching element in the circui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an be used as a diversity antenna.
KR20-2003-0029799U 2003-08-22 2003-09-19 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KR20033607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92 2003-08-22
KR20030027092 2003-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071Y1 true KR200336071Y1 (en) 2003-12-18

Family

ID=4942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99U KR200336071Y1 (en) 2003-08-22 2003-09-19 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07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377B1 (en) 2005-07-0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s and apparatus' and a sensor structure of assistance antenna for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377B1 (en) 2005-07-0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s and apparatus' and a sensor structure of assistance antenna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ternal antennas
EP16480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built-in antenna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US20050243000A1 (en) Selectively engaged antenna matching for a mobile terminal
KR100539935B1 (en) Ground conne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WO2006049342A1 (en) Portable wireless unit
EP2190062B1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assembly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JP2007158718A (en) Portable radio terminal
US722500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39696A (en) Portable radio
WO2006082918A1 (en)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device
JP2006324805A (en) Portable radio unit
JP4826880B2 (en) Folding mobile phone
JP2006197418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ensitivity adjustment method
KR20020079936A (en) A hybrid antenna system for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00231458A1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KR200336071Y1 (en) Built-in antennas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KR100726234B1 (en) Antenna device for slide type mobile phone
US20030134669A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with helical antenna applied to hinge dummy
KR100778365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internal antenna
KR200347709Y1 (en) Portable phone with built-in antenna
KR20030061919A (en) Portable phone with helical antenna applied to hinge dummy
KR20000021662A (en) Antenna device of cellular phone
US7725083B1 (en) Antenna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