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679Y1 -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 Google Patents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679Y1
KR200335679Y1 KR20-2003-0028609U KR20030028609U KR200335679Y1 KR 200335679 Y1 KR200335679 Y1 KR 200335679Y1 KR 20030028609 U KR20030028609 U KR 20030028609U KR 200335679 Y1 KR200335679 Y1 KR 200335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olar
unit
natural discharg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원
Original Assignee
조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원 filed Critical 조인원
Priority to KR20-2003-0028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6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한기 등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소형 농기계의 축전지의 자연방전을 방지하여 다음 사용기간에도 별도의 축전지 교체 또는 충전 작업 없이 바로 기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기 자체의 축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축전지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와, 키조작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그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태양열을 집진하는 솔라셀을 포함하며, 집진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집진부와; 상기 태양열 집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일방향으로 도통시켜 상기 축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자연방전을 방지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Small agricultural machine having protection apparatus of battery consumption}
본 고안은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한기 등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소형 농기계의 축전지의 자연방전을 방지하여 다음 사용기간에도 별도의 축전지 교체 또는 충전 작업 없이 바로 기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농기계로는 전동 비료 살포기, 소형 탈곡기, 심토 파쇄기, 농기계용 예취기 등을 들수 있다.
이와 같은 소형 농기계들을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배터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농사철에만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농한기 즉, 겨울 등에는 장기간 보관·방치해두었다가 다음 사용시기에서야 기계를 꺼내어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형 농기계들은, 농한기 등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어 그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가 자연방전되어 다음 사용기간에는 별도의 축전지를 교체하거나 또는 충전 가능할 경우 충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한기 등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소형 농기계의 축전지의 자연방전을 방지하여 다음 사용기간에도 별도의 축전지 교체 또는 충전 작업 없이 바로 기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착탈식 구조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양열 집진부 11 : 솔라셀
20 : 전류 제어부 21 : 다이오드
22 : 연결선 23 : 단자 집게
30 : 축전지 40 : 제어부
50 : 키조작부 60 : 표시부
70 : 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는 기기 자체의 축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축전지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와, 키조작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그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태양열을 집진하는 솔라셀을 포함하며, 집진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집진부와; 상기 태양열 집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일방향으로 도통시켜 상기 축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자연방전을 방지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열 집진부와 상기 전류 제어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축전지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태양열 집진부에서 연장된 각각의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 중 (+)단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각각의 연결선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의 (+)(-)단자에 착탈되는 단자 집게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착탈식 구조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태양열 집진부(10), 솔라셀(11), 전류 제어부(20), 다이오드(21), 연결선(22), 단자 집게(23), 축전지(30), 제어부(40), 키조작부(50), 표시부(60) 및 구동부(7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소형 농기계는 기기 자체의 축전지(30)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축전지(30)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70)와, 키조작부(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그 상태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태양열을 집진하는 솔라셀(11)을 포함하며, 집진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집진부(10)와,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일방향으로 도통시켜 상기 축전지(30)에 공급함으로써, 자연방전을 방지하는 전류 제어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와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축전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연장된 각각의 연결선(22)과, 상기 연결선(22) 중 (+)단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21)와, 상기 각각의 연결선(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30)의 (+)(-)단자에 착탈되는 단자 집게(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기 자체의 축전지(30)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축전지(30)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70)와, 키조작부(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그 상태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고, 농사철에 사용되던 소형 농기계를 보관·방치하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자연방전에 의하여 축전지(30)의 전류가 소모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태양열 집진부(10)는 솔라셀(11)을 통하여 태양열을 집진하고, 집진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통상적으로 상기 집진부(10)는 기기의 상단 또는 전면부에 설치되어 햇빛이 솔라셀(11) 면에 가급적 넓은 면적으로 직접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류 제어부(20)는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일방향으로 도통시켜 상기 축전지(30)에 공급함으로써 자연방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류 제어부(20)의 연결선(22)은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연장되고, 이 연결선(22)의 단부에는 상기 축전지(30)의 (+)(-)단자에 착탈되는 단자 집게(23)가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발생된 전류를 축전지(3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21)는 상기 연결선(22) 중 (+)단에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일방향으로 흘러 축전지(30)의 전원이 방전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와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축전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필요한 소형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에 의하면, 농한기 등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소형 농기계의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하여 다음 사용기간에도 별도의 축전지 교체 또는 충전 작업 없이 바로 기계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기 자체의 축전지(30)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축전지(30)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70)와, 키조작부(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며, 그 상태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태양열을 집진하는 솔라셀(11)을 포함하며, 집진된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집진부(10)와;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일방향으로 도통시켜 상기 축전지(30)에 공급함으로써, 자연방전을 방지하는 전류 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와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축전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상기 태양열 집진부(10)에서 연장된 각각의 연결선(22)과,
    상기 연결선(22) 중 (+)단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21)와,
    상기 각각의 연결선(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30)의 (+)(-)단자에 착탈되는 단자 집게(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KR20-2003-0028609U 2003-09-05 2003-09-05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KR200335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9U KR200335679Y1 (ko) 2003-09-05 2003-09-05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9U KR200335679Y1 (ko) 2003-09-05 2003-09-05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679Y1 true KR200335679Y1 (ko) 2003-12-11

Family

ID=4942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09U KR200335679Y1 (ko) 2003-09-05 2003-09-05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163A (ko)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무선 충전을 통한 자기 방전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163A (ko)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무선 충전을 통한 자기 방전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KR102225222B1 (ko) * 2019-08-07 2021-03-09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무선 충전을 통한 자기 방전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754B2 (en) Hybrid electric lawnmower
US8286721B2 (en) Electric power hoe
US7728534B2 (en) Hybrid electric lawnmower
EP1869965A2 (en) A motor-driven grass mover
US20150357853A1 (en) Motor-driven appliance and main body thereof
CN212699039U (zh) 一种骨钻设备
CN101447757A (zh) 电池供电割草机的控制方法
CN218919168U (zh) 电池包、供电系统及工具系统
EP1434328A3 (en) Battery charger
CN101919324A (zh) 电动耕耘机
CN117580726A (zh) 户外行走设备
KR200335679Y1 (ko) 축전지 자연방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소형 농기계
WO2021213396A1 (zh) 增程器、混合动力插秧机和混合动力插秧机的工作方法
CN105309069A (zh) 无刷直流松土机
US20230225252A1 (en) Outdoor moving device
CN201355803Y (zh) 电池供电割草机的控制装置
JP2011097681A (ja) 電動装置の電源システム
JP2003070168A (ja) 電動作業機
CN209030598U (zh) 一种节能高效推草机
CN209268010U (zh) 一种环保型施肥装置
CN209732013U (zh) 一种割草机
CN208892827U (zh) 一种多功能牙周探针
CN207604197U (zh) 一种液体肥料均匀喷洒追肥车
CN206509986U (zh) 动力装置及电动工具系统
CN205489746U (zh) 一种混合供电园林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