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40Y1 -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 Google Patents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40Y1
KR200335540Y1 KR20-2003-0030411U KR20030030411U KR200335540Y1 KR 200335540 Y1 KR200335540 Y1 KR 200335540Y1 KR 20030030411 U KR20030030411 U KR 20030030411U KR 200335540 Y1 KR200335540 Y1 KR 200335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eat sealing
pack
open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욱 filed Critical 전정욱
Priority to KR20-2003-0030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부가 저부 열밀봉부(6)에서 열밀봉되어 형성되고, 몸통부(9)가 전후 2면의 벽면 필름의 양측 끝 테두리부를 몸통부 열밀봉부(7)에서 열밀봉하여 형성되고, 상부 열밀봉부(8) 아래에 개폐수단으로서 지퍼(20)가 부착되고, 개구부(0) 위치의 상부가, 내용물의 충진 후에 상부 열밀봉부(8)를 열밀봉하여 밀봉되며, 몸통부(9)의 내면에 요철부(10)가 형성된 밀봉팩(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요철부(10)에 의해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밀봉팩(100)을 개방하여 온수 형태의 물을 넣어 다시 지퍼(20)로 닫은 후 흔들어 내용물을 고르고 빠르게 분산 용해시켜 용해성과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Sealing-pack provided with embossing}
본 고안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의 용해성과 분산성을 향상시키기위해 몸통부(9)의 내면에 요철부(10)를 형성시킨 지퍼(20)가 부착된 합성수지제의 밀봉팩(100)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밀봉팩(100)에 적당한 온도의 온수를 넣어 지퍼(20)에 의해 닫은 후 내용물을 몸통부(9)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10)에 의하여 신속하고 고르게 분산 용해시킨 후 음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밀봉팩(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식, 이유식, 선식, 조제분유 등과 같이 많은 종류의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합성수지재 밀봉팩(100)에 보관하여 제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별도의 보조수단으로서 컵 내지 병에 옮기어 물을 부어 스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분산 용해시켜 여러 단계를 거쳐 밀봉팩(100)에 담겨 있는 제품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때 파우치 형태의 밀봉팩(100)의 재질은 나일론/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등의 필름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사용되고 있다.
1회 음용할 수 있는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밀봉팩(100)은 분말의 내용물을 포장용기에 충진 후 적층 필름의 개구된 일면을 열압착하여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질소 충전하여 장기간의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켜 보관이 용이하게 한 특성으로 인하여 포장용기로서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단지 내용물의 보관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 단순하게 포장용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기능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저부가 저부 열밀봉부(6)에서 열밀봉되어 형성되고, 몸통(9)부가 전후 2면의 벽면 필름의 양측 끝 테두리부를 몸통부 열밀봉부(7)에서 열밀봉하여 형성되고, 개구부(0) 위치의 상부가, 내용물의 충진 후에 상부 열밀봉부(8)를 열밀봉하여 밀봉되며, 상부 열밀봉부(8) 아래에는 개폐수단으로서 암수의 슬릿에 상부테이프체와 하부 테이프체로 구성된 지퍼(20)가 부착된 밀봉팩(100)에 있어서, 몸통부(9)의 내면에 요철부(10)를 형성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개구부 6 : 저부 열밀봉부
7 : 몸통부 열밀봉부 8 : 상부 열밀봉부
9 : 몸통부 10 : 요철부
11 : V자형 노치 100 : 밀봉팩
20 : 지퍼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부가 저부 열밀봉부에서 열밀봉되어 형성되고, 몸통부가 전후 2면의 벽면 필름의 양측 끝 테두리부를 몸통부 열밀봉부에서 열밀봉하여 형성되고, 내용물의 충전 후에 상기 열밀봉부를 밀봉하며 상부 열밀봉부 아래에 개폐수단으로서 지퍼가 부착된 형태로서, 몸통부 내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밀봉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고안은 이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봉팩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밀봉팩(100)은, 본체 부분이 파우치 형식의 주머니 모양으로만들어져 있다. 즉, 저부는, 저부 열밀봉부(6)에서 열밀봉되어 형성된다. 또 몸통부(9)는, 전후 2면의 벽면 필름의 양측 끝 테두리부를 몸통부 열밀봉부(7)에서 열밀봉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소형 내지 전체를 개구부(0)로 구성하는 상부는, 내용물의 충전 후에 상기 소형 개구부(0)를 형성하여 상부 열밀봉부(8)를 밀봉하지만, 개구부(0)에 위치한 밀봉팩(100) 내면에 슬릿과 테이프체로 구성된 지퍼(20)가 열접착에 의해 장착되고, 도 1에서는 좌측과 우측의 끝 테두리부에 V자형 노치(11)를 마련해 구성된다.
상기 지퍼(20)는 착탈이 가능한 개폐장치로서 요철 결합되는 구조로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프체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0)는 V자형 노치(11)에 의해 절취시 일부가 개봉되거나 전체가 개봉될 수 있도록 상부 열밀봉부(7)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밀봉팩(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요철부(10)를 구비한 밀봉팩(100)의 몸통부(9)에는 부분적으로 요철부(1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요철부(10)는 몸통부 열밀봉부(7) 외면에는 평면으로 주어지면서 몸통부 열밀봉부(7) 내면에만 요철부(1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몸통부 열밀봉부(7) 내면과 외면 모두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0)는 밀봉팩(100)의 몸통부(9) 전체에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밀봉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0)가 몸통부(9)에 고르게 점 모양의 엠보싱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몸통부(9)의 요철부(10)는 점, 선, 곡면 형태를 취하거나 이들의 조합 형태로서 주름 내지 엠보싱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다층 구조의 밀봉팩(100)의 몸통부(9) 내면에 요철부(10)를 형성시켜, 몸통부(9) 외면은 평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0)에 의하여 고형물 내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물에 용해 분산시 스푼으로 저어주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용해성과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몸통부(9) 내면에 요철부(10)를 구비한 개구부(0)가 형성된 지퍼(20)를 가진 밀봉팩(100)은, 절단 후의 외관이 뛰어남과 동시에, 건더기 내지 용해성이 낮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손쉽게 적은 힘을 사용하여 분산 용해시키는데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밀봉팩 내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포장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밀봉팩을 보호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 열밀봉부 아래에 지퍼를 구비한 밀봉팩의 몸통부의 내면에 요철부를 구비하여 컵과 스푼이라는 보조수단없이 고형물 내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밀봉팩에 곧바로 온수 또는 냉수를 부어 개폐수단으로서 지퍼로 잠근 후 흔들어 내용물을 빠르고 고르게 분산 용해시켜 내용물을 이물감없이 맛있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밀봉팩 내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포장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밀봉팩을 보호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저부가 저부 열밀봉부(6)에서 열밀봉되어 형성되고, 몸통부가 전후 2면의 벽면 필름의 양측 끝 테두리부를 몸통부 열밀봉부(7)에서 열밀봉하여 형성되고, 상부 열밀봉부(8)의 아래 위치에 개폐수단으로서 지퍼(20)가 구비된 밀봉팩으로서,
    몸통부(9) 내면에 요철부(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V자형 노치(11)에 의해 완전 절취시 소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3. 제 1항에 있어서, 요철부(10)는 점 모양, 선 모양, 곡면 모양 또는 적어도 이들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진 조합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KR20-2003-0030411U 2003-09-26 2003-09-26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KR200335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11U KR200335540Y1 (ko) 2003-09-26 2003-09-26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11U KR200335540Y1 (ko) 2003-09-26 2003-09-26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40Y1 true KR200335540Y1 (ko) 2003-12-11

Family

ID=4942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11U KR200335540Y1 (ko) 2003-09-26 2003-09-26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440B2 (en) Disposable seal and lock beverage pouch
US6334710B1 (en) Self-standing container
US8007174B2 (en) Bag-like container with spout
US20030156766A1 (en) Beverage container pouch
JP2012025453A (ja) 包装袋
JPH11301700A (ja) 指で触れることにより判別可能な包装袋
US20060285782A1 (en) Disposable seal and lock foil beverage pouch and the operating machinery to manufacture such product
KR100563798B1 (ko) 자체지지백및자체지지패키지및이들의제조방법
KR20180002522U (ko) 휴대용 음료 보관 파우치
JP3721121B2 (ja) 摺り切りバー付き袋
KR200335540Y1 (ko) 요철부를 구비한 밀봉팩
JP3110795U (ja) スライダタイプのファスナ付き包装袋
JP2004123152A (ja) 取出口付き袋体
FR2678584A1 (fr) Emballage en matiere plastique, forme de deux coquilles symetriques assemblees.
CN213893573U (zh) 液体分离自立袋
WO2017203024A1 (en) A multi-pocket pouch
JP2915407B2 (ja) 自立袋及び自立性包装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自立袋の製造装置
JP7487561B2 (ja) パウチおよびパウチの使用方法
JP4326911B2 (ja) 包装用袋
JP7310106B2 (ja) パウチ
CN207985619U (zh) 多功能食品包装袋
JP3055332U (ja) みそ等の粘稠物包装体
JP3079079U (ja) 留具付き包装用袋
TWM634005U (zh) 包裝袋
JPS61437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