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31Y1 -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31Y1
KR200335231Y1 KR20-2003-0027661U KR20030027661U KR200335231Y1 KR 200335231 Y1 KR200335231 Y1 KR 200335231Y1 KR 20030027661 U KR20030027661 U KR 20030027661U KR 200335231 Y1 KR200335231 Y1 KR 200335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glasses
coupling groove
fixe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운 filed Critical 김상운
Priority to KR20-2003-002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에 있어서, 렌즈측면부를 감싸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사용하여, 렌즈의 파손을 막고, 렌즈측면부의 마모를 방지하며, 무테안경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각각 렌즈측면부와 접하는 면에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렌즈결합홈을 형성하여, 렌즈결합홈에 렌즈를 결합하게 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클립결합홈이 형성되어 그 홈에 고정클립을 장착하며, 고정클립에 의해 렌즈결합홈과 렌즈의 밀착이 강화되고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렌즈와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a safety device of rimless glasses which uses the frame }
본 고안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하여 무테안경의 렌즈를 감싸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테의 유무, 위치에 따라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그리고 무테형으로 분류한다. 그 중에 무테안경은 안경렌즈를 감싸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안경렌즈에 안경다리, 코받침대, 결합볼트 그리고 렌즈연결대 를 결합한 안경이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별도의 프레임이 없기에 안경의 무게가 줄어들고 안경착용자의 시야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무테안경은 완전테 안경보다 렌즈의 파손과 렌즈측면부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며, 무테안경 착용시 렌즈의 파손은 안경착용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야기한다. 또한 무테안경은 프레임에 의한 장식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무테안경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렌즈결합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렌즈를 결합하며, 고정클립을 결합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사용하여, 렌즈의 충격을 흡수하고 렌즈측면부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도.
도2a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2b는 본 고안에서 도2a의 원형점선부분의 확대분해도.
도3a는 본 고안의 도1에서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3b는 본 고안의 도1에서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한 분해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연결부재를 사용한 상태의 조립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상부프레임 20: 하부프레임
50: 안경다리 60: 코받침대
70: 렌즈 71: 렌즈측면부
80: 렌즈결합홈 81: 렌즈결합홈측면
90: 고정클립 91: 고정클립결합홈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도, 도2a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2b는 본 고안에서 도2a의 원형점선부분의 확대분해도, 도3a는 본 고안의 도1에서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3b는 본 고안의 도1에서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한 분해단면도, 도4는본 고안에서 연결부재(100)를 사용한 상태의 조립도이다.
본 고안은 안경프레임이 없는 무테안경의 렌즈(70)에 있어서, 렌즈측면부(70)를 감싸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20)이 렌즈측면부(71)와 접하는 면에 각각 렌즈(70)의 길이 방향으로 렌즈결합홈(80)을 형성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클립결합홈(91)이 형성되어, 그 홈에 고정클립(90)을 삽입하며, 이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은 각각 렌즈측면부(71)와 접하는 면에 렌즈(70)의 길이 방향으로 렌즈결합홈(80)을 형성하여, 우측렌즈연결대(30)와 좌측렌즈연결대(40)사이의 렌즈측면부(71)를 감싼다.
또한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은 각각 렌즈(70)의 중심 방향으로 굽어져 있으며, 렌즈(70)의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은 도3a에서 처럼, 상부프레임(10)의 전면부인 A면과 후면인 B면을 활용하여 생산자나 판매자의 상표를 등록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로고를 세겨 무테안경의 장식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렌즈결합홈(80)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이 렌즈측면부(71)와 접하는 면에 렌즈(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렌즈결합홈(80)에 렌즈(70)를 결합하게 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이 렌즈(70)에 결속되는 것이며, 도3b에서 처럼, 렌즈결합홈(80)의 입구를 렌즈(70)의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렌즈(7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상기 고정클립(90)은 도2b에서 처럼 한 면이 개방된 'ㄷ'자형의 강체로써,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양측 단면인 단부에 고정클립결합홈(91)이 형성되어, 그 홈에 고정클립(90)을 장착하며, 렌즈결합홈(80)의 입구가 렌즈(70)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렌즈결합홈(80)에 렌즈(70)를 결합시, 고정클립(90)은 외부로 휘어지게 되며 이러한 휨에 의해 고정홈측면(81)이 렌즈(7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며, 결국 이러한 힘에 의해 렌즈결합홈(80)과 렌즈(70)의 밀착이 강화되고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렌즈(70)와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2a에서 처럼, 통상 고정클립(90)은 상부프레임우측단부(11)와 상부프레임좌측단부(12) 그리고 하부프레임우측단부(21)와 하부프레임좌측단부(22)에 장착하며, 도2b처럼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클립결합홈(91)이 형성되어, 그 속에 고정클립(90)을 삽입한다.
도4에서 처럼, 우측결합볼트(31)와 우측렌즈연결대(30), 그리고 좌측결합볼트(41)와 좌측렌즈연결대(40)사이를 관통하는 신축성이 있는 연결부재(100)를 사용하여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연결부재(100)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렌즈와의 결합을 강화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테안경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완충작용을 하여 렌즈(70)의 파손을 막고, 렌즈측면부(71)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을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제작하여 무테안경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Claims (2)

  1. 본 고안은 안경프레임이 없는 무테안경의 렌즈(70)에 있어서, 렌즈측면부(70)를 감싸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20)이 렌즈측면부(71)와 접하는 면에 각각 렌즈(70)의 길이 방향으로 렌즈결합홈(80)을 형성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클립결합홈(91)이 형성되어, 그 홈에 고정클립(90)을 삽입하며, 이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00)를 사용하여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KR20-2003-0027661U 2003-08-28 2003-08-28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KR200335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61U KR200335231Y1 (ko) 2003-08-28 2003-08-28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61U KR200335231Y1 (ko) 2003-08-28 2003-08-28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31Y1 true KR200335231Y1 (ko) 2003-12-03

Family

ID=4942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61U KR200335231Y1 (ko) 2003-08-28 2003-08-28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87B1 (en) Windproof glasses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CA2295250C (en) Eyeglass frame coupling system
US6742891B2 (en)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one-piece lens to temples
US20070252942A1 (en) Eyewear with inner and outer frame and lens
US20060268217A1 (en) Side guards for eyeglasses
KR200354906Y1 (ko) 스포츠웨어형 선글래스와 안경어셈블리
US6386705B1 (en) One-piece lens nose-pad assembly
CA2287760C (en) Sport eyeglasses having removable lenses
KR200335231Y1 (ko)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이용한 무테안경렌즈의 보호장치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CN108139595B (zh) 用于光学设备的电子镜架以及包括这样的镜架的光学设备
US7086734B2 (en) Position-adjustable lens and nose-pad assembly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102124192B1 (ko) 보호경
US6966646B1 (en) Self-assembly glasses
US20040046929A1 (en) Integrally formed pair of lenses for a pair of glasses
KR200238981Y1 (ko) 안경용 코
KR20038926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US20210055571A1 (en) Eyeglasses
US20090027615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glass frame and wearing portion
US7556372B2 (en) Eyeglasses structure and an eyeglasses frame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373664Y1 (ko) 스포츠웨어형 선글래스와 안경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