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903Y1 -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903Y1
KR200334903Y1 KR20-2003-0025651U KR20030025651U KR200334903Y1 KR 200334903 Y1 KR200334903 Y1 KR 200334903Y1 KR 20030025651 U KR20030025651 U KR 20030025651U KR 200334903 Y1 KR200334903 Y1 KR 200334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present
air outlet
pedest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웅일
Original Assignee
한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웅일 filed Critical 한웅일
Priority to KR20-2003-002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배출구를 갖는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특징은 내용물을 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와 외부사이에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용기내에 뜨거운 음식물 등을 넣더라도,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A VESSEL HAVING AN AIR OUTLET}
본 고안은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받침부에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용기의 본체부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더라도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 특히 음식물을 넣는 그릇, 접시, 컵 등은 음식물을 담는 본체부(100) 및 그 본체부의 저부에 받침대부(110)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받침대부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식탁과 같은 바닥면위에 놓는 경우, 받침대부의 내부와 식탁의 표면 사이에 일정한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용기의 내부에 뜨거운 음식물, 특히 뜨거운 물 등을 담은 후 식탁위에 놓으면, 용기 자체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받침대부 내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은 공기압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부의 내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용기는 식탁위의 표면에서 미세하게 들뜨게 되어 식탁의 표면을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릇과 같은 용기내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는 경우, 용기가 이리 저리 움직이게 되어 원치 않는 위치로 미끄러지게 되거나 식탁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사람이 다치거나 음식물이 쏟아지게 되는 등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수납 용기내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기더라도 식탁위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뜨거운 음식물이 담기더라도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지 않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릇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그릇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400, 500, 600 : 본체부
110, 310, 410, 510, 610 : 받침대부
320, 420, 520, 620 : 공기 배출구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특징은 내용물을 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와 외부사이에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부의 공기 배출구는 받침대부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통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대부의 공기 배출구는 받침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홈일 수도 있다.
상기 수납 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용기내에 뜨거운 음식물 등을 넣더라도,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본체부(300)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부(310)에는 공기 배출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그릇, 컵, 접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300)는 소정의 내용물, 특히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부(310)는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부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 배출구(3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수납 용기가 식탁위와 같은 바닥면에 놓여졌을 때, 그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부의 내부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의 공기는 받침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받침대부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부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되, 그 갯수는 공기 배출구의 형상에 따라 공기가 적절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 갯수로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받침대부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의 일 실시예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형의 형상뿐만 아니라,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구(420)는 받침대부(410)의 저부에 소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홈의 갯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공기가 적절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홈의 갯수는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로 형성되는 홈의 형상은 V자형 홈, 반원형의 홈, ┏┓형의 홈 등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담기 위한 컵 또는 머그컵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받침대부(510)에 원형의 통로 형상을 가진 2개의 공기 배출구(5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컵 또는 머그컵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받침대부(610)에 공기배출구(620)인 V자형 홈이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 용기는 그릇, 컵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고온의 물질, 예컨대 뜨거운 음료수 등을 담는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고안의 받침대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의 갯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그릇이나 물컵과 같은 용기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기더라도 상기 용기가 식탁위의 표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내에 어떠한 내용물이 담기더라도 항상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온도에 상관없이 항상 안전하게 용기를 놓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음식물이 아니더라도 고온의 액체나 고체 등을 담는 어떠한 용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내용물을 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와 외부사이에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부
    를 구비하는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부의 공기 배출구는 받침대부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부의 공기 배출구는 받침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본체부내에 상기 수납 용기를 열팽창시킬 수 있는 고온의 물질을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KR20-2003-0025651U 2003-08-08 2003-08-08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KR200334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51U KR200334903Y1 (ko) 2003-08-08 2003-08-08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51U KR200334903Y1 (ko) 2003-08-08 2003-08-08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903Y1 true KR200334903Y1 (ko) 2003-12-06

Family

ID=4942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51U KR200334903Y1 (ko) 2003-08-08 2003-08-08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985B2 (en) Insulated bottle holder
US4726553A (en) Drinking cup stabilizer
US4718555A (en) Carrying tray
US5086926A (en) Dual thermos
US6427864B1 (en) Accessory condiment container for drinking cup
CA2310620C (en) A food container
US6360885B1 (en) Mobile-dining mealholder with beverage container plate-lid
US6164485A (en) Container lid
CA2736328C (en) Cup and bowl carrier
AU2009294216B2 (en) Stackable cup
US20210137294A1 (en)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US20060266816A1 (en) Paper food container
US20030111468A1 (en) Beverage container
EP1659074A1 (en) Container for foods to be preserved with a preserving liquid
KR200334903Y1 (ko) 공기배출구를 갖는 용기
US20170021966A1 (en) Container offer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070254134A1 (en) Placemat with ribs
USD942856S1 (en) Beverage cup lid having a condiment container receptacle set
KR200481424Y1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CN216547577U (zh) 杯盖以及包括其的杯组件
AU2014336211A1 (en) Lid for drinking vessel
US20210022530A1 (en) Cup resistant to both slipping and tipping
KR200359540Y1 (ko) 식품용기
KR200226849Y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