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652Y1 -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652Y1
KR200334652Y1 KR20-2003-0027043U KR20030027043U KR200334652Y1 KR 200334652 Y1 KR200334652 Y1 KR 200334652Y1 KR 20030027043 U KR20030027043 U KR 20030027043U KR 200334652 Y1 KR200334652 Y1 KR 200334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condenser
pipe
tank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27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9/00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Abstract

본 고안은 터빈 복수기(Condenser)의 열응축 매체로 사용되는 해수가 동관의 리크(Leak)로 인하여 복수기 내부로 누입되어 복수의 도전율이 상승될 때 사용되는 정수를 이용한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빈 복수기 내에 톱밥을 주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형은 원통형이며 그 원통형의 내측이 V자형의 경사벽을 이루며, 하부에는 정수 유입구와 경사벽에는 톱밥이 장입되는 맨홀과 상부에는 두 개의 배출구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그 하부에 고정대에 의해 고정되는 거름망과, 일정폭을 가지는 반원모양으로 구부러진 호 형태이며 경사벽만큼 기울어져 내부의 중상부에 설치된 와류판을 포함하는 V자형 톱밥탱크와 상기 V자형 톱밥탱크의 상기 배출구가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관이 다시 분리되어 각각 복수기 A측 해수관, 복수기 B측 해수관을 관통하며 그 끝단에 설치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직선구와 그 직선구를 중심으로 8개의 나선형 고정날개가 장착된 분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기 동관의 해수 리크 부위를 신속히 폐쇄하며 복수기 해수 참버(Chamber)에 에어 포켓(Air Pocket) 현상을 방지하므로 2차적인 대형 설비 사고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sawdust in the turbine condenser using the water}
본 고안은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기 동관에 해수가 소량 누출한 경우에 설비를 정지시켜도 그 원인을 찾기 어렵거나, 부하관리를 위하여 발전기 연속 운전이 필요할 때 톱밥을 해수관내로 주입하여 복수기 내의 진공에 의해 톱밥이 동관의 누출 부위를 폐쇄하도록 하여 발전 설비의 정지없이 연속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수식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통상 제철소내의 발전소에서는 터빈복수기(1)의 열응축 매체로 해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수 누출시에는 도 1과 같은 공급라인을 따라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공기를 공기탱크(5)를 거친 후 톱밥 탱크(6)하부 측을 지나게 하여 톱밥탱크(6) 상부의 감압변(9)에 의해 감압된 공기의 압력의 차로 톱밥을 공기와 함께 해수 배관을 통하여 수백개의 동관(3)으로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톱밥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탱크 내에서 톱밥을 제대로 배출시키지 못하며, 톱밥 주입시에 발생되는 다량의 공기가 해수관(7, 8) 내로 들어가게 되므로 복수기 참버(2) 내에는 공기가 차게 되며, 상부측으로부터 에어 포켓 현상이 발생되어 동관(3) 내로의 해수 흐름을 차단하여 2차적인 동관의 손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톱밥의 주입시 한쪽으로만 톱밥이 분사되어 복수기 내의 특정 해수 동관(3)으로만 집중 공급되어 누출 부위를 폐쇄시키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고 동관(3)을 폐쇄시키는 성공율이 낮아 관수에 염분이 계속 농축되어 보일러 수관및 터빈 날개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문제들이 내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복수기 동관에 해수가 소량 누출한 때에 톱밥을 주입하여 복수기 내의 진공에 의해 주입된 톱밥이 누출 부위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폐쇄시키고 톱밥 주입시 발생되는 복수기 해수 참버 내의 에어 포켓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정수를 이용한 톱밥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의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의 V자형 톱밥 탱크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분출관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빈 복수기 2 : 복수기 해수 참버 3 : 동관
5 : 공기 탱크 6 : 톱밥 탱크 9 : 감압변
100 : 정수용 V자형 톱밥 탱크 110 : 정수 유입구
120 : 정수 배출구 130 : 톱밥 140 : 경사벽
150 : 와류판 160 : 점검 홀 170 : 거름망
180 : 거름망 고정대 200 : 탱크 드레인 구
300 : 분출관 310 : 나선형 날개
320 : 직선구 330 : 연결대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터빈 복수기 내에 톱밥을 주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형은 원통형이며 그 원통형의 내측이 V자형의 경사벽을 이루며, 하부에는 정수 유입구와 경사벽에는 톱밥이 장입되는 맨홀과 상부에는 두 개의 배출구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그 하부에 고정대에 의해 고정되는 거름망과, 일정폭을 가지는 반원모양으로 구부러진 호 형태이며 경사벽만큼 기울어져 내부의 중상부에 설치된 와류판을 포함하는 V자형 톱밥탱크와 상기 V자형 톱밥탱크의 상기 배출구가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관이 다시 분리되어 각각 복수기 A측 해수관, 복수기 B측 해수관을 관통하며 그 끝단에 설치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직선구와 그 직선구를 중심으로 8개의 나선형 고정날개가 장착된 분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설치 사시도이고, 표현의 편의상 크기는 복수기의 비율보다 과장되게 표현했으며, 도 3은 V자형 톱밥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출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인 V자형 톱밥탱크(100)가 복수기 해수관(7, 8)의 인접한 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톱밥의 가벼움을 감안하여 톱밥의 이동 매체를 공기에서 정수로 변경하여 V자형 톱밥 탱크(100)의 하부에는 정수 유입구(110)가 밸브(220)와 함께 연결되고 유입구 밸브 전단에는 정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280)가 설치되며, 정수 유입구(110)의 입구측에는 탱크 내 정수를 드레인(Drain)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 구(200)와 밸브(230)가 설치된다.
V자형 톱밥 탱크(100)의 외형은 원통형이며 그 원통형의 내측이 일정한 경사를 가진 V자형태를 이루고, V자형태의 내면에는 두 개의 맨홀(190)이 설치되어 통하여 그를 통하여 탱크내로 톱밥(130)이 장입될 수 있으며, V자형태의 외면에는 점검구(160)가 설치되어 정수와 톱밥의 혼합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V자형 톱밥탱크(100)의 상부에는 톱밥과 정수가 배출되는 두 개의 배출구(120)가 설치되며 이 두 개의 배출구(120)는 일정거리 두고 다시 한 배관으로 합쳐지고 다시 복수기 A측 해수관(7), 복수기 B측 해수관(8)으로 나누어지고, 각 나누어진 배관의 입구에는 주입밸브(240, 250)이 설치되며, 다시 배관은 각 해수관(7, 8)을 관통하여 참바(2)로 연통된다.
각 해수관(7, 8)을 관통한 배관의 끝단에는 주입구(260)가 있으며,주입구(260)의 끝단에 연결대(330)로 부착설치된 분출관(300)이 장착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V자형 톱밥탱크(100)의 내부를 알 수 있는데, 탱크하부에는 톱밥이 정수 유입구 밸브 시트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170)이 설치되고, 거름망(170)은 고정대(180)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정수의 흐름을 도우기 위하여, V자형 톱밥탱크(100)의 경사벽(140)은 일정한 내각을 가지며, 와류판(150)을 설치하되 그 기울기는 경사벽(140)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점검구(160)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경사벽(140)의 기울기는 60°가 바람직하며, 와류판(150)의 기울기는 30°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각도에서 정수의 흐름이 가장 원활하기 때문이다.
와류판(150)은 일정폭을 갖는 판으로서 반원모양으로 구부러진 호 형태를 띄며 판의 윗면이 V자형 톱밥탱크(100)의 내부에 부착된다.
또한, V자형 톱밥탱크(100)의 상부에는 두 개의 공기 빼기 배관(210)이 설치되어 초기에 정수 통수시 탱크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분출관(300)의 사시도로서, 연결대(330)는 상기 주입구(260)의 외부에 고정되며, 분출관(300)의 중앙에는 주입구(260)보다 직경이 작은 직선구(320)가 설치되며, 직선구(320)를 중심으로 8개의 나선형 날개(310)가 설치되는데 이 나선형 날개(310)는 주입구(260)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의 외부고정대(34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V자형 톱밥탱크(100)의 하단에 위치한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정수는 맨홀(190)을 통하여 장입된 톱밥(130)과 거름망(170)을 통해 탱크 내에서 함께 섞이게 되며 이 때 톱밥은 비중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내부는 경사벽(140)은 정수의 흐름을 도우며 점검구(160) 상부측에 와류판(150)은 탱크 내에서 정수를 와류시켜 탱크 내에서 톱밥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며 이 때 배출되는 상태는 두 개의 점검구(16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된 정수와 톱밥은 V자형 톱밥탱크(100)의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120)를 거쳐 배출되는데 양쪽으로 분리된 배관 각각에 주입밸브(240, 250)를 설치하여 이 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분출관(300)을 거쳐 참바(2)의 내부로 분출된다.
분출관(300)을 통과하여 분출될 때, 상기 직선구(320)를 통과한 톱밥은 동관(3)을 향해 직선으로 분출되며, 상기 나선형 날개(310)를 통과한 톱밥(130)은 해수배관 전체로 분출되게 되므로 한 쪽으로 치우침 없이 복수기 동관(3)내로 톱밥이 골고루 통과하게 되어 해수 누출 부위를 신속하게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정수로써 톱밥을 V자형 톱밥 탱크에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며 해수관 내에서는 분출관을 통하여 톱밥을 복수기 동관 내로 주입하여 동관의 해수 누출 부위 폐쇄가 신속하고 완벽하며, 공기가 아닌 정수를 사용하므로 복수기 해수 참버에서 발생되는 에어 포켓 현상이 완전 방지되므로 이를 통해 설비의 2차 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터빈 복수기 내에 톱밥을 주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형은 원통형이며 그 원통형의 내측이 V자형의 경사벽(140)을 이루며, 하부에는 정수 유입구(110)와 경사벽(140)에는 톱밥이 장입되는 맨홀(190)과 상부에는 두 개의 배출구(120)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그 하부에 고정대(180)에 의해 고정되는 거름망(170)과, 일정폭을 가지는 반원모양으로 구부러진 호 형태이며 경사벽(140)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내부의 중상부에 설치된 와류판(150)을 포함하는 V자형 톱밥탱크(150)와;
    상기 V자형 톱밥탱크(150)의 상기 배출구(120)가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관이 다시 분리되어 각각 복수기 A측 해수관(7), 복수기 B측 해수관(8)을 관통하며 그 끝단에 설치된 주입구(260)와;
    상기 주입구(260)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2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직선구(320)와 그 직선구(320)를 중심으로 8개의 나선형 고정날개(310)가 장착된 분출관(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자형 톱밥 탱크(100)의 외부 중상부에는 점검홀(160)이 더 설치되어톱밥의 혼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0)에서 나온 배관에는 톱밥을 주입할 수 있도록 각각 주입밸브(240, 2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140)의 각도는 60°, 상기 와류판(150)의 설치각도는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KR20-2003-0027043U 2003-08-22 2003-08-22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KR200334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43U KR200334652Y1 (ko) 2003-08-22 2003-08-22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43U KR200334652Y1 (ko) 2003-08-22 2003-08-22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652Y1 true KR200334652Y1 (ko) 2003-11-28

Family

ID=4942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43U KR200334652Y1 (ko) 2003-08-22 2003-08-22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6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9824B (zh) 水下自吸气喷嘴射流流动特性一体化测试装置系统
EA024584B1 (ru) Система сжатия газа
CA2550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oir mixing
CA2416884C (en) Gas condenser
KR20170033438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0334652Y1 (ko) 정수를 이용한 터빈 복수기 톱밥 주입 장치
KR101047297B1 (ko) 해양 거품 제거 장치, 이를 갖는 해양 거품 제거 모듈 및 해양 거품 제거 방법
CN108005598B (zh) 一种矿山钻孔用气射流除尘器
RU87100U1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RU2354433C1 (ru) Сепаратор
US4462766A (en) Device for automatic circulation in a waste water pump station
CN207337942U (zh) 用于核动力系统的安注箱
JP5002233B2 (ja) ロータリーフィーダ
CN212451949U (zh) 管道输送染化料出料口消溅装置
CN108072041B (zh) 一种火电厂用的排渣系统
CN107485897B (zh) 提砂装置及砂水分离系统
RU2634545C1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CN102409649B (zh) 调水渠道漂浮污染物收集器
CN207245956U (zh) 一种抽放泵站出气端正压放水器
CN111744276B (zh) 一种起伏管路低点的凝析液排除装置与方法
CN205226864U (zh) 过滤型天然气疏水阀
CN204958450U (zh) 一种无头喷雾式除氧器
TWM451422U (zh) 船舶排氣管之降溫構造
CN220379451U (zh) 一种天然气放空装置
KR101540158B1 (ko) 선박 외부 배출배관의 저소음 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