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833Y1 -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 Google Patents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833Y1
KR200333833Y1 KR20-2003-0027760U KR20030027760U KR200333833Y1 KR 200333833 Y1 KR200333833 Y1 KR 200333833Y1 KR 20030027760 U KR20030027760 U KR 20030027760U KR 200333833 Y1 KR200333833 Y1 KR 200333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touch
outer bag
fr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협
Original Assignee
김동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협 filed Critical 김동협
Priority to KR20-2003-0027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기름종이 재질의 봉지가 포함된 5각형 형태의 외부 봉지 상부에 과일을 넣을 수 있는 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입구에 탄성력과 복원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텐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한 손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일 봉지를 과수농가에서 사용함으로써 과일 재배 과정 중 가장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하여 과수 농가의 수익성 향상 효과가 있으며, 과일의 훼손을 막고 적절한 숙성을 통해 과일의 품질 향상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An advanced one touch type paper bag for fruits}
본 고안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기름종이 재질의 봉지가 포함된 5각형 형태의 외부 봉지 상부에 과일을 넣을 수 있는 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입구에 쉽게 좌굴(buckling)이 발생하고 복원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텐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한 손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과일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농가에서 과일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에서 결정된다. 과수나무의 가지의 줄기중 한 곳에서 발생한 다수의 어린 과일중 하나의 과일만을 남긴채 그 외의 과일을 쳐낸후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통해 좋은 품질의 과일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영양분의 분산을 억제하여하나의 과일에 영양분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 남은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요구된다.
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조류에 의한 과일의 피해를 어느정도 방지하며, 또한 원하는 시기에 적절한 태양광선에 노출시켜 과일의 성숙 시기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과수농가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종이에 풀칠을 하여 제작한 봉지를 철사로 묶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일반적으로 높이 솟은 과일나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 형태를 감안하면 상당한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다. 즉, 한 손으로 봉지를 씌우고 다른 손으로 철사를 이용해 고정을 하기 때문에 작업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방법을 통해 대단위 과수 농가에서 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요구되는 인력이 많아 막대한 인건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고 농촌의 노동력 부족 현상과 맞물려 필요한 인력조차 공급받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이에 따라 작업의 시기를 놓치게 됨으로 인해 그 피해액이 상당한 수준에 이름은 쉽게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이미 2003년 7월 10일 '원터치형 과일봉지'를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3-21863호로 출원한 바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기본 형태를 지닌 원터치형 과일봉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이 안출한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기출원된 실용신안에서 발생한 예측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상기 기출원된 실용신안의 경우 사각형의 기본 형태를 지닌 외측 봉지의 상부에 입구를 형성하여 과일에 씌우도록 하였으나, 이는 과일이 자람에 따라 불시에 봉지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사각형의 외측 봉지가 충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수 농가의 봉지 씌우기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5년 5월 24일자로 공고된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실1995-4290호 '과실봉지의 개폐장치'는 과실봉지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복수개의 탄발력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박판이 서로 합접되어 설치되되, 상기 박판의 중간부에는 과경홈이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암수의 고정부가 각각 서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과실봉지의 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고안의 경우 봉지 재배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그 작업을간소화하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극소화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나, 실제로 과일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한 후, 추후 과일 봉지를 벗겨낸 후에 기름종이로 태양을 가리기 위한 작업을 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과경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암수의 고정부가 고정됨으로써 탈거가 필요한 경우, 쉽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노동력의 효율적 이용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한 손으로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제작 원가와 기능성이 최적화된 형태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출원인이 기출원한 원터치형 과일 봉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텐션 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10. 과일 20. 외측 봉지
30. 텐션 장치 40. 과일 꼭지 삽입구
50. 내측 봉지 60. 절취선
70. 배수 구멍 80. 고정핀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해 씌우는 과일 봉지에 있어서, 사각형의 한쪽 측면을 절개하여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봉지(20); 상기 외측 봉지(20)의 절개부에 구비된 텐션 장치(30) 및 고정핀(80); 상기 텐션 장치(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과일 꼭지 삽입구(40); 및 상기 외측 봉지(20)의 내부에 구비된 외측 봉지(20)와 동일한 형태의 내측 봉지(50)의 결합으로 구성된 원터치형 과일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봉지(20)는 부직포 또는 종이류로 제조되며 표면에 절취선(60)이 다수 구비되고 배수 구멍(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봉지(50)는 기름 종이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출원인이 기출원한 종래의 원터치형 과일 봉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출원된 고안의 과일 봉지는 부직포 또는 종이류로 제조되며 표면에 절취선(60)이 다수 구비된 외측 봉지(20)의 상부에 한 손으로 벌릴 수 있도록 텐션 장치(30)가 구비된 것으로 손을 놓을 경우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는 외측 봉지(20), 텐션 장치(30), 고정핀(80) 및 내측 봉지(5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종전의 기출원된 과일봉지와는 외측 봉지(20)의 형태를 달리한 것이다.
과수농가에서 사과, 복숭아, 포도등의 과일을 재배할 때 가장 노동력이 많이요구되는 미숙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할 때 한 손으로 벌려서 봉지를 씌운후 손을 떼기만 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텐션 장치(30)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한 뒤, 비 또는 바람에 의해 봉지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80)을 구비함으로써 과일나무의 가지에 묶어둘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핀(80)은 주로 철사등의 변형이 용이한 재료를 사용하며, 텐션 장치(30)와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같은 면적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더욱 큰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사각형의 봉지의 일측부를 잘라내어 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원래의 사각형 봉지의 대각선방향을 이용하여 과일을 쌀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을 통해 종래의 고안이 갖는 문제점 중의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대각선 방향을 이용할 수 있어, 과일의 성장에 따라 발생했던, 과일 봉지의 찢어짐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텐션 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텐션장치는 얇은 철판 또는 플라스틱을 길게 절단한 것으로 양쪽에서 힘을 가했을 때 버클링(buckling,좌굴)이 발생하여 입구 양쪽에 구비된 상태에서 과일을 충분히 집어넣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양쪽에서 가한 힘이 제거된 경우 다시 자체의 복원력을이용하여 원형을 회복하도록 한 것이다. 원형의 상태에서는 중앙부에 과일 꼭지 삽입구(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 봉지는 미숙과를 외측과 내측의 봉지에 동시에 삽입할 수 있으며, 텐션 장치(3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내측 봉지는 기름종이 재질이며, 외측 봉지는 부직포로 제조되어 비바람에 의한 손상이 적은 것이다. 고정핀(80)은 도4에서와 같이 구부려서 나뭇가지에 고정하여 비나 바람에 의한 낙과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숙과에 씌운 과일봉지가 성숙한 경우 쉽게 벗겨낼 수 있도록 외측 봉지(20)에 절취선(60)이 제공된다. 외측 봉지(20)를 제거하면 기름종이로 제조된 내측 봉지(50)가 성숙과를 감싸고 있게 된다. 이는 태양열에 의해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1주일 정도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태양에 과일을 노출시켜 원하는 정도로 과일을 익힌 후 출하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비가 오거나 기타 지나치게 많은 수분이 유입되어 과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봉지(20) 및 내측 봉지(50)의 하부에 배수 구멍(70)을 구비하여 쉽게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절취선(60)이 텐션장치(30)의 말단부에 닿도록 하여, 외측 봉지(20)를 제거하는 작업을 할 때, 손쉽게 외측봉지와 텐션장치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개량형 원터치 과일봉지를 사용함으로써, 과일 재배 과정 중 가장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어린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과일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어 과수 농가의 수익성 향상, 작업의 안전성 향상 및 과일의 품질 향상이라는 세 가지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어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해 씌우는 과일 봉지에 있어서, 사각형의 한쪽 측면을 절개하여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봉지(20); 상기 외측 봉지(20)의 절개부에 구비된 텐션 장치(30) 및 고정핀(80); 상기 텐션 장치(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과일 꼭지 삽입구(40); 및 상기 외측 봉지(20)의 내부에 구비된 외측 봉지(20)와 동일한 형태의 내측 봉지(50)의 결합으로 구성된 원터치형 과일 봉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봉지(20)는 부직포 또는 종이류로 제조되며 표면에 절취선(60)이 다수 구비되고 배수 구멍(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과일 봉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봉지(50)는 기름 종이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과일 봉지
KR20-2003-0027760U 2003-08-29 2003-08-29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KR200333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60U KR200333833Y1 (ko) 2003-08-29 2003-08-29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60U KR200333833Y1 (ko) 2003-08-29 2003-08-29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03A Division KR100541941B1 (ko) 2003-08-29 2003-08-29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833Y1 true KR200333833Y1 (ko) 2003-11-17

Family

ID=4941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60U KR200333833Y1 (ko) 2003-08-29 2003-08-29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8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59B1 (ko) * 2006-11-10 2007-12-06 김우용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59B1 (ko) * 2006-11-10 2007-12-06 김우용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237B2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cucumber, eggplant. et al.
KR101009765B1 (ko) 볼록형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KR100541941B1 (ko)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KR200333833Y1 (ko) 개량형 원터치 과일 봉지
KR10100626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과일 봉지
KR200328610Y1 (ko) 원터치형 과일봉지
JP2004236656A (ja) 保護カバー
JP6653105B1 (ja) 水耕栽培装置、および、水耕栽培方法
KR100782559B1 (ko)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KR200495312Y1 (ko) 과실수용 제초패드
KR20120054305A (ko) 주름 구간이 형성된 과일 봉지
KR20090006366A (ko) 과일 보호구
KR20180105517A (ko) 전개형 패브릭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KR200199901Y1 (ko) 과일재배용 봉투
KR200406246Y1 (ko) 과일 보호구
KR200403649Y1 (ko) 유실수 가지 유인지지구
CN210184065U (zh) 一种瓜果种植用便于固定的罩体
CN219305479U (zh) 一种果树高位嫁接装置
CN219612679U (zh) 一种烟垄揭膜培土用烟叶保护装置
KR20022739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CN215736098U (zh) 一种树木防草布
US5429646A (en) Method of killing photobiotic plants
KR200258520Y1 (ko) 과실보호용 봉지
KR102274869B1 (ko) 상추 보호용 덮개
KR19990003936U (ko) 과실보호용 합성수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